d라이브러리
"아이디어"(으)로 총 2,546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포그래픽] 금속질 소행성에서 자원 캐낸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지구를 파고, 깎고, 긁어내던 인류가 까만 밤하늘을 올려다보기 시작했다. 지구에서 자원을 캐내는 것보다, 우주에서 가져오는 시대를 상상하면서. 그중 금속질(M형) 소행성은 값비싼 금속 자원이 매장돼 있으리라 추정된다. M형 소행성 ʻ16 프시케’에 매장된 자원과 소행성 채굴 아이디어를 정리했다. ...
- 천재성이 빛났던 순간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양자계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나타내는 ‘슈뢰딩거 방정식’을 해결할 핵심 아이디어를 담은 논문을 발표했다. 타오 교수의 최근 연구는?고차원에서 ‘주기적인 타일링 추측’ 거짓이다 지금도 활발히 공동연구자들과 연구하는 타오 교수는 지난해 말 타일링에 관한 기하학 분야의 ... ...
- [Reth?nking] 미적분은 어떻게 꽃피웠는가?수학동아 l2023년 10호
- 번째 의문 : 라이프니츠는 뉴턴의 미적분을 표절했다? 비슷한 시기에 같은 개념에 관한 아이디어가 함께 무르익을 때가 많은데요. 뉴턴과 라이프니츠도 비슷한 시기에 미적분을 발표합니다. 문제는 뉴턴이 라이프니츠가 동시대에 독립적으로 미적분을 통합했다는 걸 인정하지 않을뿐더러 자신의 ... ...
- [Data Math] 뚫을 테면 뚫어 봐! 삼성전자 반도체 보안을 책임진다!수학동아 l2023년 10호
- 납득할 수 있도록 실험의 규모를 정해서 해야 하지요. 그래서 본인이 생각한 아이디어를 구현할 역량을 갖춘 연구원이 저희 조직에 필요해요. 암호 알고리듬이 수학 기반이기도 하고, 논리력이 뛰어나야 해서 우리 팀원의 20%는 수학과 출신 연구원이에요. 암호 알고리듬 구현도 다 직접 한답니다 ... ...
- [러셀 탐구생활] 러셀이라는 나비효과수학동아 l2023년 10호
- 받아 이와 관련한 연구를 했습니다. 연구 과정에서 그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했고, 핵심 아이디어를 정리해 쾨니히스베르크 학회에 참석했습니다. 학회 셋째 날에 괴델은 자신의 발견을 발표했지만, 괴델의 난해한 논증을 따라갈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었습니다. 그러나 위대한 수학자 존 폰 ... ...
- 슬기로운 수학생활 멘토링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아직 어려워서 다른 회원들의 풀이를 다 이해하지는 못했는데 전혀 생각하지 못한 아이디어로 문제를 푼 회원들을 보고 자극을 받았다”고 말했어요. 덧붙여 더 열심히 공부해서 슬기로운 수학생활 문제를 꼭 풀고 싶다고 밝혔습니다 ... ...
- [최신이슈] 지구 밖 ‘보물섬’을 향한 여정...프시케 미션 시작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증명된다면 소행성 자원 채굴도 탄력을 받을 수 있다. 소행성에서 자원을 채굴하려는 아이디어는 이미 오래 전에 나왔다. 지금으로부터 약 50년 전인 1977년, 미국의 우주비행사이자 과학자였던 브라이언 올리어리가 처음 제안한 이후 소행성의 광물을 채굴하려는 시도는 천천히 그렇지만 꾸준히 ... ...
- [빅잼] 이그노벨상을 타면 노벨상도 받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노보셀로프 연구원은 주사터널링현미경(STM)으로 흑연을 촬영하는 사람들을 보다가 아이디어를 얻었다. 이들은 시료를 정리하기 위해 흑연 시료 표면을 스카치테이프로 붙였다 떼는 과정을 거쳤는데, 이렇게 버려진 스카치테이프 표면에 흑연이 얇게 남아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해낸 것이다. ... ...
- [Reth?nking] 우리는 왜 미분에 관심을 갖게 됐는가?수학동아 l2023년 09호
- 위한 계산 도구가 필요했어요. 뉴턴은 수학적 도구를 총동원해서 지금까지 흩어졌던 아이디어들을 한데 모아서 미적분학을 집대성했어요. 그 결과가 1687년에 간행된 총 3권으로 이뤄진 이지요. 라이프니츠는 뉴턴과 별개로 여러 서신에 미분학적 연구를 ... ...
- [숫자로 보는 뉴스] 농게 눈 닮았네! 360° 찍는 카메라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9호
- 눈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동그란 공 모양 카메라가 개발됐어요. 광주과학기술원(GIST)과 부산대, 서울대 연구진이 모여 연구한 결과이지요. 생물이 가진 능력을 본떠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생체 모방’이라고 해요. 농게는 갯벌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게로, 몸통의 길이는 약 2cm예요. 한쪽만 큰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