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양"(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과학사] 1915년 1월 5일 우유갑 특허 승인. 우유, 유리병이 아닌 종이에 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뾰족하게 접어 밀봉했어요. 손으로 잡기 편하게 하기 위해서였죠. 손잡이 부분을 양쪽으로 뜯으면 입을 대고 마실 수 있는 돌출부가 생기는 장점도 있어요. 워머가 발명한 우유갑은 1915년 1월 5일 특허 승인을 받았습니다. 우유갑 덕분에 사람들은 우유를 가벼운 용기에 담아 손쉽게 운반할 수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슈퍼컴퓨터, 바이오매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18년 이스라엘 와이즈만 과학연구소에서 계산한 결과, 지구상에 있는 바이오매스(탄소)의 양은 5500억 t(톤)이었습니다. 이중 식물이 4500억 t으로 전체의 82%를, 그 다음으로 미생물인 박테리아가 700억 t으로 13%를 차지했어요. 바이오매스로 따지면 지구의 주인은 식물인 셈이지요. 와이즈만 ... ...
- 수학자의 레시피, 그 맛은?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있으므로, 스콘 바로 위에는 잼을 발라야 한다. 수학적으로 가장 맛있는 피자 토핑의 양은? 바삭한 도우와 촉촉한 토마토 소스, 쫀득한 치즈가 완벽한 조화를 이룬 피자! 하지만 토핑이 너무 과하면 피자가 질척거리고, 그렇다고 토핑이 너무 적으면 심심한 맛의 피자가 만들어진다. 그러니 ... ...
- 어떤 모양도 단번에 나눈다! 햄 샌드위치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바로 ‘햄 샌드위치 정리’다. ‘n차원 *유클리드 공간에 놓인 양의 부피 혹은 면적을 가진 n개의 물체는 n-1차원의 공간으로 자를 수 있다’는 정리다. 쉽게 말하면 3차원 유클리드 공간에 놓인 3개의 물체는 2차원 평면으로 한 번에 반으로 자를 수 있다는 것이다. 반으로 ... ...
- 디지털 종이에 똑똑한 수학 기능 담다, 스티븐 챈 굿노트 CEO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수정할 수 있어 훨씬 편리하며 효율적이지요. 또한, 디지털 종이에서는 하나의 펜으로 다양한 색을 쓸 수 있고, 써둔 글씨를 원하는 위치로 옮길 수 있어서 사고 과정에도 도움이 돼요. Q. 독자들에게 한 마디 해주세요. 저는 유용한 무언가를 만들어서 다른 사람들을 행복하게 만드는 ... ...
- [특별기획] 중요한 일은 표면에서 일어난다 '금속 표면처리'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미친다. MKS 아토텍은 2010년 포르말린을 쓰지 않는 도금 약품 연구를 시작해 2019년부터 양산을 시작했다. 현재 국내외 주요 전자기기 제조 기업에 공급 중이다. 이렇게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이유는 세계 여러 국가와 기업에서 친환경 정책을 시행하기 때문이다. 홍 본부장은 “EU에서는 오래전부터 ... ...
- 군침 돌고 맛있게 계량 수학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수 있도록 단위를 변환하고 양을 계산하는 것은 모든 요리사가 갖춰야 하는 기본 소양이다. 까다로운 칠면조 조리 시간, 함수로 정한다 칠면조 구이는 미국과 유럽에서 크리스마스와 부활절 같은 명절을 기념하며 즐겨 먹는 대표적인 요리다. 하지만 맛있게 요리하기가 쉽지 않다. 너무 오래 ... ...
- 원두 맛 끌어올리는 수학 모형수학동아 l2024년 01호
- 것이다. 마치 바짝 마른 스펀지에 물을 부으면 스펀지에 공간 사이로 물이 스며들어 모양이 변하는 것처럼 말이다. 사용한 그라인더에 따라 가루 입자는 투박하게 클 수도 있고 미세하게 작을 수 있다. 그 결과 입자 사이의 공간의 크기도 달라진다. 커피 가루 입자가 크면 당연히 입자 사이에 ... ...
- 파인만도 못 푼 스파게티 미스터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쪼갤 수 없는 이유를 수학적으로 설명하는 논문을 발표한 것이다. 평범한 나무 막대는 양 끝을 잡고 천천히 힘을 주면 어느 정도까지는 휘어지지만, 한계를 지나는 순간 부러진다. 나무 막대가 견딜 수 있는 ‘곡률’이 한계를 넘어섰기 때문이다. 여기서 곡률은 곡선이 얼마나 휘었는지 나타내는 ... ...
- 가마 없이 고양이 털 빗을 수 있을까? 털 난 공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덮는 데 삼각형을 몇 개 쓰든 항상 2가 나온다. 따라서 공 모양의 자세를 취하고 있는 고양이의 털을 모든 점에서 가마 없이 빗는 건 불가능하다. 항상 2개의 가마가 생긴다. *오일러 지표 : 위상수학의 기초가 되는 불변량 중 하나로, 다면체의 오일러 지표는 ‘꼭짓점의 개수(v) - 모서리의 개수(e) +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