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열심
열정
열성
열중
용기
열렬
진지
d라이브러리
"
열의
"(으)로 총 337건 검색되었습니다.
GIST 정자호 입학사정관 인터뷰 - “중요한 것은 ‘What’이 아니라 ‘How’”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점입니다. 중요한 것은 ‘What’이 아니라 ‘How’입니다. 자신이 경험한 것 중 진심으로
열의
를 갖고 참여한 일, 특별한 의미의 경험을 진솔하게 이야기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
Part 3. 라니냐는 남극 심층해류의 심술일까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이렇게 기후변화가 커질까. 이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서는 바닷물이 담을 수 있는
열의
양, 즉 ‘열용량’을 살펴봐야 한다. 열용량은 질량과 비열에 비례한다. 바다는 대기에 비해 비열이 4배 가량, 질량은 약 250배 크다. 열용량은 1000배 큰 셈이다. 때문에 해수면 온도가 0.01℃ 변하는 것은 기온이 1 ... ...
실험·탐구·체험으로 점프 업!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고등학교 중 처음으로 기숙사 운영을 시작했다. 멀리서 오는 과학중점과정 학생과 학습
열의
가 높은 학생들을 위한 것이다.교과교실, 과학중점, 열정적 교사수학·과학 교과교실제를 운영해왔기 때문에 실험이나 탐구활동을 할 수 있는 여건이 충분하다. 그래서 탐구위주 수업을 권장하는 ... ...
사람의 스토리로 공감대 만들자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항공우주시스템연구소장을 인터뷰했습니다.Do! 과학동아 청소년 기자에 대한 참여
열의
가 뜨겁습니다. 과학에 대한 여러분들의 관심과 기사 쓰기에 대한 열정을 느낄 수 있습니다. 과학동아 홈페이지에 접속해 다른 친구들이 쓴 기사에 의견도 교환하는 적극적인 활동을 기대해 봅다. 과학동아 ... ...
휴대전화 발열 잡는 기술 등장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힘’이 열이 전달되는 과정을 도와 열전도성이 증가됐기 때문이다. 반 데르 발스 힘은
열의
전도를 방해하는 것으로만 알려져 있었다. 실제로 위 두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나노 구조물들 사이에서는 반 데르 발스 힘이 열을 전달하는 ‘전도사’ 역할을 하는 입자(포논)의 움직임을 방해해 ... ...
고등학교 동아리의 한계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기억했다. 이 학생들이 학교와 선생님께 자항연을 다시 운영해달라고 건의했고, 이들의
열의
를 학교는 기꺼이 받아들였다.이 학생들이 바로 지금의 자항연반 학생들이다. 정지원 학생은 보통 학생들이 할 수 없는 다양한 활동을 하는 것을 즐거워했다. 실제로 대학교 동아리가 하는 것 이상의 활동을 ... ...
왕자님의 인어 찾기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5호
들어가기 때문에 전체 부피의 98%가 공기로 이루어진다. 작은 부피에도 공기가 많은 만큼
열의
출입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잠깐! 물속에서는 얼마나 먹어야 할까?수영장이나 바다에서 수영을 하고 놀다 보면 금새 배가 고파진다. 왜 그럴까? 바로 물의 저항 때문에 공기 중에서 움직이는 것보다 ... ...
세계 최고 그린에너지섬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 연구센터에서는 에너지를 전기 외에도 물이나
열의
형태로 저장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태양열을 이용해 해수를 담수로 바꿔놓으면(MVR해수담수화) 에너지를 물처럼 저장해둘 수 있다.제주도는 ‘삼다수’ 같이 화산암반수가 깨끗하기로 유명하다. 박 ... ...
스티브 잡스는 어떻게 시대의 아이콘이 되었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취직을 시켜달라고 생떼를 부렸다. 아타리는 잡스를 경찰에 신고할 생각까지 했지만,
열의
에 감동해서 결국 일자리를 줬다.잡스는 이런 배짱으로 사업을 하면서 협상의 달인으로 거듭났다. 스티브 워즈니악은 잡스와 같이 애플을 창업할 생각이 없었고 HP라는 안정된 직장을 그만둘 생각도 없었다. ... ...
인간단백질 백과사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질병단백질도 다 포함한다는데 말이다. 그러나 이번에 학회장에 모인 연구자들의
열의
를 직접 보니, 단백질 백과사전을 만드는 것이 그리 불가능한 일은 아닐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11,13번 염색체 한국이 맡는다아직 인간단백질 백과사전을 만드는 프로젝트에 들어오지 못한 연구자들은 계속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