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확인시스템"(으)로 총 66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 반대편 남극, 매일 인공위성으로 봅니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남극 대륙을 뒤덮은 얼음은 지금 이 순간에도 변화하고 있다. 바다와 맞닿은 부분에서는 얼음이 떨어져 나가고 있고, 표면에서는 얼음이 갈라져 수십m의 절벽이 생긴다. 이런 위험한 변화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도구는 역시 인공위성이다. 현장 연구자들의 발길이 닿지 않은 극한의 남극을 가장 ... ...
- [비하인드 로켓] 절치부심, 두번째 도전에 나서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2009년 8월 나로호 1차 발사가 실패로 돌아간 뒤, 다음 발사를 준비하는 약 10개월은 기나긴 인고의 시간이었다. 연구원들은 주말도 자진 반납하고 발사 실패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험과 분석에 매달렸다. 나로호 발사는 오랫동안 준비한 국가사업으로서도 중요했지만, 연구원들의 자존심이 걸린 ... ...
- CHINA┃‘우주의 질문’에 답하러 간다.. 창정 5호에 실은 첫 성공의 꿈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특히 올해 말까지 인공위성 16기를 추가로 발사해 총 35기의 위성으로 구성된 중국판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인 ‘베이더우(北斗·BDS)’를 완성할 계획이다. 베이더우로 얻은 위치, 방향, 시간 정보는 교통과 물류, 통신 등에 활용할 수 있다.중국 정부는 자국의 우주 탐사 과정을 철저히 비밀에 ...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2. 외계인을 어떻게 찾아?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이렇게 수학으로 알아보고 나니 직접 보지 못했더라도 어딘가 외계인이 꼭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드네요. 그런데 제가 요즘 외계인에 관한 영상을 올리다 보니 외계인을 찾는 단체에서 연락이 왔어요. 그래서 어떤 단체인지, 어떻게 찾는지, 알아봤답니다. 제게 연락한 분들은 자신들을 세티 프로젝 ... ...
- 1980년 면역거부반응의 이유를 찾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장기 이식의 최대 난관은 면역거부반응이다. 면역거부반응은 수혜자의 면역시스템에 의해 기증자의 장기가 염증을 일으키며 손상되는 현상이다. 현상 자체는 일찍이 1900년대 중반부터 알려져 있었다. 1930년대 유전학 연구를 시작한 조지 데이비스 스넬은 암세포에서 이런 거부반응을 확인했다. ... ...
- [수학뉴스] ‘골든 타임’ 중요한 해난 구조 수학이 돕는다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방법으로 트랩을 추적할 수 있는 알고리듬을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실제 바다에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수신기를 부착한 마네킹을 표류시켜 실제 위치와 알고리듬으로 예측한 결과를 비교했죠. 그 결과 실제 위치와 예측이 매우 유사했습니다. 토머스 피콕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기계공학과 ... ...
- 누가 지방세포를 키우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우리가 살을 언급할 때 가장 먼저 떠올리는 것은 지방이다. 하지만 생물학적인 관점에서의 살은 지방뿐만 아니라 피부와 뼈 사이에 있는 모든 연조직을 의미한다. 우리 몸의 65%를 차지하는 연조직은 지방, 근육, 근막, 힘줄(tendon), 인대(ligament), 관절낭(articular capsule) 등을 포함하며, 더 넓은 범위 ... ...
- [과학동아 X 긱블] '밸런싱체어' 파도야 쳐라, 네가 아무리 거세도 나는 흔들림이 없으니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의 달 탐사 프로젝트였던 ‘아폴로 프로그램’에도 적용된 알고리즘이죠. 지금도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주식 예측 등 확률 기반으로 현재 또는 다음 상태를 예측해야 하는 곳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이렇게 카메라의 현재와 바로 다음 움직임까지 예측하면 구동 장치에 명령을 내리는 세 번째 ... ...
- 도심에서 발견된 여우, 너의 정체는?과학동아 l2020년 05호
- 현재까지 방사된 여우의 서식처를 계속해서 추적하고 있다. 여우를 방사할 때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과 고주파(VHF) 장치가 삽입된 목걸이를 채우는데, 이를 통해 개체별 위치 확인이 가능하다. GPS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 연구원들이 VHF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직접 들고 나가 여우의 ... ...
- [비하인드로켓] 개발모델, 인증모델, 비행모델, 나로호 2단의 쌍둥이들과학동아 l2020년 04호
- ◇ 보통난이도 | 조광래의 '비하인드 로켓' ❾ 2008년 여름, 나로우주센터 종합조립동은 뜨거운 열기로 가득했다. 낮 최고기온이 매일 30도를 웃돌던 전남 고흥군의 폭염 때문은 아니었다. 부품의 온도 유지를 위해 조립동 내부가 시원한데도 연구원들의 이마에선 굵은 땀방울이 흘렀다. 나로호 2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