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윗부분"(으)로 총 373건 검색되었습니다.
-
- Part 4.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고체일까, 액체일까?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떨었다. 그리고는 두 번째 방법으로 고양이처럼 손가락을 펼쳐 아래로 향하게 한 뒤 컵의 윗부분을 감싸 쥐고 걸으라고 제시했다. 한 씨는 “한국에서는 나이가 어리면 연구를 못할 거란 편견이 있다는 걸 느끼곤 했는데, 꼭 그렇지 않다는 걸 보여주고 싶었다”며 “이번 수상을 계기로 또래 ... ...
-
- Part 1. 유연해진 로봇이 온다!수학동아 l2017년 11호
- 길이를 정합니다. 마지막으로 피라미드의 절반 정도 높이의 밑 부분만 남기고 뾰족한 윗부분은 모두 잘라내요. 그러면 그림➌과 같은 정육각형층 하나가 돼요. 이를 기본으로 탑을 쌓으면 트위스터의 기본 골격이 완성됩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가볍게, 튼튼하게, 유연하게 ...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이렇게 태 어난 병 아리의 날 개 뼈는 독 특했습니다. 팔다리 싹의 아랫 부분과 윗부분이 모두 고농도의 Shh에 노출되다보니 2,3,4번째 손가락이 양쪽으로 발달한 겁니다(doi:10.1136/jmg.2008.057646, 위 그림). 이번 연구는 사람에게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Shh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는 경우 ... ...
-
- [Future] ‘작은 것’들의 반란 나노카 레이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스위스 팀이 공동으로 수상했다. 나노프릭스 팀의 나노카는 4개의 바퀴가 있으며, 윗부분에도 마치 태엽처럼 돌아가는 둥근 분자를 가지고 있다. 이 나노카는 은으로 만든 경기장을 29시간 동안 1000nm나 달렸다.스위스 팀의 나노카는 바퀴가 없다. 대신 호버크래프트처럼 공중에 떠서 앞으로 움직인다. ... ...
-
- [Issue] 때 아닌 ‘개 코’ 논란 사람도 개 만큼 맡는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미국 하버드대 신경생물학과의 린다 벅 교수는 사람과 쥐, 개의 후각상피(콧구멍 안쪽의 윗부분으로 후각세포가 모여 있는 부분)를 관찰했다. 그리고 종에 따라 후각상피에 후각수용체가 얼마나 있는지, 얼마나 넓게 분포하고 있는지 비교했다. 그 결과 후각수용체가 분포하는 넓이는 개, 쥐, 사람 ... ...
-
- [Issue] 이게 맥주야? 커피야? 질소 커피의 인기 비결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가라앉는 것처럼 보이는데, 아래에서 위로 일종의 띠가 연속적으로 생기면서 가장 윗부분에 조밀한 거품이 생긴다(왼쪽 사진). 심지어 맛이나 부드러운 목 넘김도 맥주와 비슷했다.이왕 일탈하는 김에 좀 더 맥주와 비슷하게 탄산을 쓰는 건 어떨까. 질소 커피의 창시자인 스텀프타운 커피 ... ...
-
- 최신 연구로 떠나는 미스터리 세계여행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보였습니다.그는 플라스틱 통에 모래를 채우고 그 위에 돌을 얹어놓은 뒤 물을 부어 돌의 윗부분만 겨우 물 밖으로 나올 정도로 만들었습니다. 이 수조를 냉동실에 넣어 완전히 얼린 뒤 다시 꺼내서 그 위에 물을 붓자 물이 얼음 밑으로 들어가 모래, 물, 얼음이 순서대로 층을 이뤘습니다. 얼음과 ... ...
-
- 수학이 빚은 조각 보석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커트’입니다. 브릴리언트 커트는 주로 다이아몬드를 깎을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윗부분은 마치 왕관처럼 둥글고 아래는 뾰족합니다. 이 모양은 1700년 이탈리아의 다이아몬드 연마사 빈센트 페루치가 고안했습니다. 이후 여러 학자가 광채를 최대로 할 수 있는 비율과 면의 개수를 수학적으로 ... ...
-
- [과학뉴스] 깃털 달린 공룡 꼬리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CT)과 X선 등으로 호박 속 꼬리 깃털을 자세히 관찰했지요.꼬리 길이는 총 36.73mm로 윗부분은 적갈색, 아랫부분은 흰색 깃털로 덮여 있었어요. 호박 속에는 8개의 척추 조각과 근육, 인대, 피부 흔적도 고스란히 남아 있었답니다.또한 꼬리의 깃털에는 ‘우축’이라고 불리는 깃털 줄기가 있는데, 그 ... ...
-
- [Future] ‘윈터솔저’의 미래형 의수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가장 어려운 문제는 팔꿈치 윗부분이 잘린 사람을 위한 의수를 개발하는 일이다. 팔꿈치 윗부분에서 측정한 근전기 신호에는 팔꿈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신호와 손가락을 움직이기 위한 신호가 혼합돼 있다. 그래서 팔꿈치를 움직이면서 동시에 손가락을 움직이면 정확도가 많이 떨어진다. 현재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