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품
유풍
잔존물
유적
유산
자취
기념품
d라이브러리
"
유물
"(으)로 총 443건 검색되었습니다.
[Go!Go!학자]곳곳에 숨겨진 유적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전 살았던 호모 에렉투스의 흔적이라 추측했지요. 전곡리 유적에서 발견된 가장 놀라운
유물
은 ‘아슐리안형 주먹도끼’였어요. 아슐리안형 주먹도끼는 돌의 양쪽 면에 날이 있는 형태로, 그 전 단계인 찍개보다 정교한 석기예요. 당시까지 주먹도끼는 유럽과 아프리카에서만 발견되어서, ... ...
수학 문화재는 어떻게 알아보나요?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만들어 썼을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바빌로니아인이 삼각비를 알았을까? 수학
유물
중에는 내용이 명확한 것도 있지만 해석의 여지가 많은 것들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학자들의 분석과 상상력이 동원돼 해석이 이뤄집니다. 그러다 보니 해석을 두고 논란이 벌어지기도 하죠.기원전 180 ... ...
[GO! GO! 고고학자] 테르모필레 전투의 비밀을 밝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찾기 위해 여러 분야를 알아야 해요. 땅을 파고 들어가야 하니 지질학이 필요하고, 찾은
유물
의 연대를 측정하려면 화학도 알아야 하죠. 뼈의 주인이 누구인지 알려면 생물학 지식도 있어야 해요. 고고학은 융합 학문인 셈이에요. 그러면 앞서 소개했던 테르모필레 전투가 어디서 일어났는지 ... ...
Part 3. 나가고 싶지 않아요! 먹지 말아 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이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요. 예를 들어 고래박물관에는 주로 장생포에 남아있던 포경
유물
등이 전시돼 있으며, 울산 반구대 암각화에 고래를 사냥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는 점을 들며 울산의 고래잡이가 신석기 시대부터 이어져 내려온 전통 문화라고 설명하지요. 또 1909년 일본이 장생포에 ... ...
Part 1. 한국 수학자 152명이 고른 ‘타임캡슐에 담을 수학’은?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생각이 드러나는 항목인 동시에, ‘다소 이상적’, ‘후손에게 무례’, ‘우리가 고대
유물
과 문명을 조사하면서 지적으로 더 풍부한 삶을 누리는 것처럼 새로운 생명체도 우리가 남긴 것에서 뭔가 알게 되고 흥미를 느낄 것’이라는 반대 의견도 많았던 재미있는 항목이기도 하다. a2+b2=c2. ... ...
[출동! 기자단] 반짝반짝 황금빛 보물을 간직한 엘도라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7호
가면을 꾸며 직접 써 보기도 했답니다.김찬우 기자는 “이번 엘도라도 전시에는 신기한
유물
이 많아서 더욱 흥미로웠다”면서 “저처럼 미스터리를 좋아하는 친구들에게 이 전시를 추천한다”며 소감을 말했답니다 ... ...
韓 문명의 뿌리는 과학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맥진기는 관람객이 직접 체험할 수 있다. 배재웅 국립과천과학관장은 “백화점식
유물
전시에서 벗어나 전통과학의 의미와 가치를 새롭게 알리는 데 중점을 뒀다”고 밝혔다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둘레도 넓이도 같은 두 삼각형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출판사업가인 조지 아서 플림톤이 단돈 10달러에 사들였거든요. 이후에 플림톤이 다른
유물
과 함께 미국 컬럼비아대학교에 이 점토판을 기부해 현재는 이 대학 도서관에 소장돼 있습니다. 3000년 전에도 알았던 피타고라스의 세 수 플림톤 322(사진 64쪽 참고)에 적힌 숫자의 비밀이 풀린 건 194 ... ...
[에디터노트] KSC의 품격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2017년 5월 20일 오전 7시,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 국제공항. 서쪽 끝 로스앤젤레스에서 밤비행기를 타고 5시간을 날아왔다. 비행기에서 쪽잠 ... 미 래의 화성을 향하게 한다. 압도적인 비주얼로 천장에 매달린 새턴 로켓은 과거의
유물
이 아니라 도전을 향 한 ‘영감’의 정수이자 상징이다 ... ...
Part 3. 과학으로 되살린 화려한 조선 옷감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설명했다.심 교수팀은 복원된 금사를 이용해 고려시대
유물
한 점과 조선시대
유물
두 점을 재현했다. 특히 고려 말인 1346년에 제작된 남색원앙문직금능(藍色鴛鴦紋織金綾)은 함께 복원한 문직기를 이용해서 재현했다. 이 직물은 남색 바탕에 금으로 원앙 무늬를 직조해 넣은 것이다. 연구팀은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