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도"(으)로 총 1,589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2400년 난제의 비밀, 펠의 방정식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난 수학의 신. 똘똘한 인간에게 수학 문제를 내고 수학을 발전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지. 하여 언제나 인간 세계를 관심있게 바라보고 있도다.요즘 내가 주의 깊게 보고 있는 인간은 수학자 아르키메데스!과연 그가 ‘펠의 방정식’을 발전시킬 수 있을지 몹시 궁금하구나. ▼ 이어지는 기사를 보 ... ...
- [특집] 브라마굽타부터 페르마까지! 펠의 방정식을 푼 이유는?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데 딱이야! 펠의 방정식은 기원전 400년경부터 연구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고대 인도인과 그리스인은 제곱근의 유리수 근삿값을 구하기 위해 펠의 방정식을 풀었어요. 지금이야 가 1.414인 무리수라는 것을 모두 알고 있지만, 당시에는 무리수의 존재를 몰랐어요. 특히 그리스 수학과 철학을 ... ...
- [특집] 드디어 풀리다! 음의 펠의 방정식의 비밀!수학동아 l2022년 10호
- 어느새 2400년이란 시간이 지났구나. 하지만 아직 아무도 x2 - dy2 = -1의 정수해를 찾지 못하였다. 정말 안타깝더구나. 뭐라고? 최근 두 수학자가 음의 펠의 방정식의 정수해를 갖는 d 값의 빈도를 알아냈다고? 2022년 2월 오랫동안 풀리지 않았던 음의 펠의 방정식의 해를 갖는 d 값에 관한 비밀이 풀렸어 ... ...
- 달 토끼도 ‘다이너마이트’ BTS 품고 달 향한 다누리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중국 3개국이다. 달 궤도선 탐사에 성공한 국가는 미국, 러시아, 일본, 유럽연합(EU), 중국, 인도 6개국이 전부다. 이번 탐사에 성공하면 한국은 세계 일곱 번째로 달 궤도선 탐사에 성공한 국가가 된다.앞서 6월, 한국은 최초 한국형 발사체인 ‘누리호’를 발사해 위성을 저궤도에 올려놓는 데 ... ...
- [출동! 슈퍼M] "번호판만 보고도 자동차 종류를 안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이처럼 번호판의 숫자를 보고 특별한 수라는 것을 한눈에 알아챈 수학자가 있답니다. 인도의 수학자 스리니바사 라마누잔은 어렸을 때부터 수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어요. 우체국에서 일하면서도 수학 연구를 놓지 않았지요. 이런 라마누잔의 뛰어난 재능을 알아챈 영국의 수학자 하디는 ... ...
- [필즈상 시상식 취재기] 허준이 교수, 필즈상 수상! 그 뜨거운 현장 속으로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이래로 ‘세계수학자대회(ICM)’에 한 번도 빠지지 않고 현장 취재를 나갔습니다. 2010년 인도, 2014년 우리나라, 2018년 브라질이번엔 북유럽 국가 핀란드였지요. ‘유럽수학회’ 본부가 있는 핀란드는 필즈상 사상 첫 수상자를 배출한 나라로 수학과 인연이 깊은 나라입니다. 기자 2명이 ... ...
- 누리호 발사 성공 다음은 달이다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미국, 소련, 중국 등 3개국이, 달 궤도선 탐사는 미국, 소련, 일본, 유럽연합(EU), 중국, 인도 등 6개국이 성공했다. 이번 달 궤도선 탐사에 성공하면 한국은 세계 일곱 번째로 달 궤도선 탐사에 성공한 국가가 된다. 다누리 토대로 2031년 달 착륙선 추진다누리에는 국내 대학과 연구기관, 그리고 ... ...
- [특별기고] 한국 수학의 발전을 기원하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기반으로 2022년 한국은 IMU 최상위 등급인 5그룹으로 한 단계 더 상향됐습니다. ▲ 2010 인도 하이데라바드 ICM에서 초청강연을 한 오희 교수(왼쪽 하단)와 2010 필즈상 수상자 엘론 린덴스트라우스 교수(오른쪽 상단). 제 2의 허준이 교수가 나오려면… 허준이 교수의 필즈상 수상은 국내에서 대학교 ... ...
- [가상인터뷰] 박테리아씨, 제 눈에 당신이 보여요과학동아 l2022년 08호
- 티오마르가리타는 라틴어로 유황 진주라는 뜻이에요. 저는 고농도 유황이 풍부한 서인도제도 과들루프섬의 맹그로브 숲에서 유황을 먹고 사는데, 그 영향으로 진줏빛 광택이 돌거든요. 마그니피카는 ‘웅장한’이란 의미고요. 제가 박테리아라는 걸 알아낸 실비나 곤잘레스-리조 안틸레스 ... ...
- [에디터노트] 특별호의 비밀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그 기회가 생긴 것이지요. 는 2014년부터 필즈상 수상자를 예측했습니다. 2010년 인도 하이데라바드에서 열린 ICM에 참가했던 저는 대회 기간 2010 필즈상 수상자인 응오바오쩌우 교수님의 책 사인회를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분명 수상 사실은 시상식 전까지 비밀인데, 출판사에서 어떻게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