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정"(으)로 총 4,651건 검색되었습니다.
- [Space Math] 우주선 위치 파악부터 우주 쓰레기 탐지까지 센서 기술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전자기파인 펄서를 GNSS 위성과 같은 방식으로 활용하는 기술도 연구 중이다. 자전 주기가 일정한 중성자별의 펄서들은 GPS 위성이 보내는 전파 역할을 한다. 만약 누군가 GNSS를 사용하지 않고, 지금까지 알려진 방법을 쓰지 않고 현재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는 방법을 개발한다면 그것은 엄청난 경제적 ... ...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빛을 받아 전력을 계속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여명-황혼 궤도는 궤도면이 태양에 항상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는 태양동기궤도다. 태양동기궤도에서 인공위성은 특정 지역 상공을 늘 같은 시각에 지난다. 인공위성 관측과 시계열 데이터 확보에 강점이 있다. 한편 누리호 1~3호가 ‘한국형발사체 ... ...
- [과학 뉴스] 해냈다, 누리호! 3차 발사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2년 동안 지구를 하루에 15바퀴씩 돌면서 각종 데이터를 보내줄 예정이에요. 위성 4기가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나는, 이른바 편대 비행을 시도한 도요샛도 우주로 갔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이 개발한 도요샛은 각각의 중량이 10kg이 되지 않는 4기의 나노 위성으로, 우주 날씨를 관측할 예정이에요. ... ...
- 세계적인 물리학자와의 대화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교수의 바쁜 내한 일정 가운데 10월 24일 POSTECH 내부에 위치한 아시아 태평양 이론물리센터에서 직접 만나 1시간 가량 대화를 나눴습니다. Q. 이휘소상 수상을 축하드려요. 이휘소상을 받아서 영광이에요. 대학원생이었던 1973년 당시 대부분의 물리학과 학생이 이휘소 박사의 논문을 읽었던 것으로 ... ...
- 네 친구의 꿈, 12월 창공을 가르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기자에게 한 통의 문자를 보내왔습니다. 텀블벅 펀딩이 성공적으로 종료돼 다음 발사일정이 잡혔다는 소식이었죠. 이들은 12월 24일 오전, 충남 당진에서 새로운 로켓 ‘OSR-1’을 발사할 계획입니다. OSR-1의 동체에는 과학동아 로고도 각인될 예정이고요. 과연 OSR-1은 12월 창공을 날아 고도 30km에 닿을 ... ...
- [최신 이슈] 태우는 게 최선일까? 지구 오염시키는 우주 쓰레기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쓰레기의 궤도를 추적하고 감시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실제로 우주 쓰레기 중 크기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것들은 그 궤도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있고, 최근에는 지구와 달 사이인 ‘시스루나’ 공간의 우주 쓰레기 궤도를 추적하는 연구도 이뤄졌다. 미국 퍼듀대 연구팀은 달 주변의 우주 쓰레기를 ... ...
- [옥톡과 달냥의 우주탐험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어떤 물체가 한 점을 중심으로 일정하게 도는 길이에요.위성★ 어떤 행성의 주변을 일정하게 도는 천체예요.원시지구★ 현재의 모습을 갖추기 이전의 지구를 뜻해요 ... ...
- [최신 이슈] 넓디넓은 정수장에서 깔따구 찾기, eDNA면 가능!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확인하는 식이다. 이후 강물을 거름종이 필터로 여과시켜 타겟 DNA 농도를 높인다. 그다음 일정한 양으로 증폭시키기 위해 eDNA를 정량화한다. 이렇게 마련된 eDNA는 강물에 사는 여러 생물의 DNA 흔적이 섞인 ‘혼합’ 상태다. 이 중에 찾고 싶은 희귀종 물고기의 DNA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선, 해당 종의 ... ...
- 와그작! 탕후루 씹는맛의 비밀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식혀 설탕 결정을 만들지 않는 것입니다.결정은 원자나 분자가 규칙적으로 배열돼 일정한 형태를 이룬 물질을 의미합니다. 소금이 주사위 모양 정육면체로 굳는 것이 대표적인 예죠. 설탕 분자도 결정을 이룰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보석 사탕’이라 불리는 락캔디는 커다란 설탕 결정으로 ... ...
- [노벨상 2023] 30년 뒤 노벨상 수상자를 우리는 알아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현상부터 시작됐다. 불활성 기체 실험 결과 다양한 빛의 광파가 발생했는데, 이 광파는 일정한 주기를 갖고 있으면서 기존 레이저보다 더 짧고 강했다. 륄리에 교수는 여기에 궁금증을 가지고 연구를 시작했다. 륄리에 교수의 연구 덕에 빛의 파동을 펨토초(1000조분의 1초) 단위로 생성할 수 있는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