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양새
매무새
모양
자세
맵시
포즈
맵씨
d라이브러리
"
자태
"(으)로 총 155건 검색되었습니다.
황새야 행운을 물어다다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전해져 내려오고 있는 것이다.심미적인 관점에서는 개인적인 차이가 있겠지만 황새의
자태
는 여느 새와도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우아하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예전부터 전해오는 황새의 모습을 칭송하는 많은 그림과 글들에서 그 증거를 찾을 수 있다. 크기도 새 중에서 1, 2위를 다툴 정도여서 ... ...
갈림길에선 한국의 천문 연구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지금은 번화한 도심 한복판이 돼 버렸다. 수만 평에 달하는 울창한 수목 사이사이로
자태
를 드러내는 관측시설들은 NAOJ의 역사를 고스란히 담고 있다. 카이후 노리오 NAOJ대장은 스바루 망원경을 제일 먼저 자랑했다. 역시 스바루 망원경은 현재 일본 천문학을 대표하는 상징이었다.NAOJ가 보유한 ... ...
지구의 거친숨소리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얼음 탑, 얼음 폭포 등이 환상적인 모습을 자랑한다.세계에는 온갖 최고의 수직 절벽들이
자태
를 뽐낸다. 미국 캘리포니아 요세미티 공원에 있는 엘 캐피탄 바위는 세계에서 가장 큰 화강암 바위로 높이가 1000m에 달한다. 노르웨이 서해안에도 높이 1100m에 달하는 편마암 수직절벽이 늘어서 있다 ... ...
의사가 안내하는 몸속 미시세계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01. 깊은 바다 속 산호 강석진·수원 성빈센트병원 임상병리과심해 바닥에서 요염한
자태
를 뽐내고 있는 산호 같다. 내시경으로 대장암 조직을 떼어낼 때 묻어나온 정상조직을 광학현미경 100배 배율로 찍은 작품. 대장 점막 사이사이에 진하게 염색된 부분에서는 중성 점액이, 파랗게 염색된 ... ...
남북극점 지나 세계일주 도전하는 거스 매클라우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수는 없다. 다시 고도를 높였다. 밖에서 바라 본 구름은 얄밉게도 여전히 아름다운
자태
를 뽐내고 있다. 항로를 변경해 구름 뒤로 돌아갔다. 이번엔 우뚝 솟은 빙하가 떡 버티고 있다. 저 빙하만 넘으면 바로 남극점이 있다. 빙하를 넘어야 한다. 머릿속에는 계속 이 말만 맴돌았다. 이럴 때일수록 ... ...
뇌에도 유쾌한 운동이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선보였다. 아직까지 그의 책은 대형서점의 과학서적 베스트셀러 진열대에서 당당히 그
자태
를 뽐내며 식을 줄 모르는 인기를 누리고 있다.그가 수학퍼즐 삼매경에 빠진 것은 중학교 때부터였다. 사촌누나가 우연히 가져 온 책의 부록에 퍼즐이 있었는데 그게 너무 재미있어서 관심을 갖게 된 것이 ... ...
우주의 닭이 머리 숙여 모이 쪼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알영이라는 이름의 우물가에 용이 나타나 옆구리에서 여자아이를 낳고 갔다. 아이의
자태
와 얼굴은 아름다우나 신기하게도 입술은 닭의 부리를 닳았다. 아이를 월성에 있는 북천으로 데려가 목욕을 시켰더니 부리가 떨어졌다. 이 아이는 우물의 이름을 따 알영이라 했고 훗날 박혁거세 왕의 아내가 ... ...
혜성, 스키장 밤하늘을 가로지르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혜성들은 태양이 지고 난 직후 초저녁 서쪽하늘이나, 뜨기 직전 동쪽하늘에서 아름다운
자태
를 드러냈다. 그 결과 관측기간이 대단히 짧았다. 그러나 이 혜성의 경우 다른 일반 혜성들과 관측조건이 완전히 다르다.맥홀쯔혜성과 태양의 거리가 가장 가까워지는 때는 1월 25일로, 태양에서 약 1.2AU(1AU는 ... ...
새들에게 세상의 경계는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기러기의 힘찬 날갯짓, 아름다운 호숫가를 미끌어져 가듯 저공비행하는 고니의 우아한
자태
, 사랑의 본능이 솟구쳐 암수가 서로를 유혹하며 춤을 추는 두루미의 관능적인 교태는 보는 사람들의 감탄케 한다. 그러나 매사가 순조로웠던 것은 아니다. 때로는 새들의 무리가 어디론가 사라져 며칠씩 ... ...
풀꽃이 된 사람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3호
살았다던 우포늪의 각종 곤충과 꽃과 풀들벼리는 어린 시절 보았던 우포늪 가시연꽃의
자태
를 떠올려 보았다. 지구의 환경오염과 이상기후로 인해 멸종위기에 처해 있던 꽃이기에 특별하게 관리되던 식물이었다. 세월이 흘러 벼리가 어른이 되어 찾아갔을 때는 이미 지구상에서 사라져버려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