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잡기"(으)로 총 548건 검색되었습니다.
- [보드게임] 개발자의 서류함 본격 게임 전 몸풀기수학동아 l2020년 05호
- 구성물을 가지고 함께 모여서 즐길 수 있는 게임 종류다. 예를 들어 술래잡기는 구성물이 없으므로 보드게임이 아니다.따라서 보드게임을 개발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은 ❶ 메커니즘, ❷ 구성물, ❸ 목표를 만드는 것이다.여기에 테마, 스토리, 디자인 작업이 더해지면 우리가 아는 ‘보드게임’이 ... ...
- [Dr.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보면? 조회수 : 470만 회채널명 : The Slow Mo Guys (구독자 수 : 1300만 명) 여름철에 모기 잡기가 왜 짜증나는지 아세요? 벽에 붙은 모기를 잡으려고 아무리 조심해서 다가가도 어떻게 눈치를 챘는지 휙 날아가 버리기 일쑤거든요. 이런 때엔 카멜레온이 정말 부러워요. 곤충을 향해 긴 혀를 쭉 뻗어서 잡아 ... ...
- 로봇, 100년 동안 갖가지 얼굴을 갖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놓인 책 하나를 잡을 때도 책의 질감, 강도, 위치, 주변 환경을 인식한 뒤 수많은 책 잡기 전략을 일일이 계산해야 하는데 로봇이 해내기엔 그 양이 너무 많아요. 큰 고민 없이 좋은 전략을 찾는 사람과 대조적이죠. Q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한가요? 20~30년 전과 비교해 로봇 개발을 위한 ... ...
- 적군 감시하는 렌즈 공학자 "물리의 매력에 빠진 중학생이었죠"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당황케 하는 한 마디가 들려왔다. 김서현 한화시스템 수석연구원과 인터뷰 일정을 잡기 위한 통화에서였다. 연구자가 어떤 연구를 하는지, 또 어떤 사람인지 알기에 가장 좋은 장소는 당연히 그 사람의 실험실이다. 실험 장비를 직접 한 번 보는 것이 백 마디의 설명보다 빠르게 이해할 수 있기 ... ...
- [Go! Go! 고고학자] 닭을 처음 키운 사람은 누구였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이를 찾아 내려온 야생 고양이 중 온순했던 종류가 사람과 가까운 곳에서 살며 쥐를 잡기 시작했다는 거예요. 그러다 고양이를 귀여워한 사람들이 직접 고양이를 돌보기 시작했고요. 즉, 서로에 대한 공생 관계가 유지되며 고양이와 인간이 가까워졌을지도 모른다는 것이죠.이렇게 인간은 가축과 ... ...
- [과학뉴스] 두 발 로봇 '캐시', 전동 슈즈를 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슈즈는 몸을 기울이는 방향에 따라 앞으로 나가거나 뒤로 움직이는데, 처음에는 균형을 잡기가 어려워 넘어지기 일쑤거든요. 연구팀은 캐시가 호버 슈즈 위에서도 균형을 잘 잡을 수 있도록 속도와 기울임을 감지하는 센서 여러 개를 부착했답니다.한편 연구팀은 센서와 카메라를 활용해 주변 ... ...
- 여기는 AI 월드컵 현장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움직이는 만큼 하프라인 밖으로 나가면 돌아오는 속도가 느려 상대팀이 골 찬스를 잡기에 좋다. 이외에도 골키퍼의 골킥과 페널티킥 등에 대한 규칙도 새로 마련했다. 공이 3차원 공간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코드도 수정했다. 이는 AI 선수가 헤딩을 시도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였다. AI 선수는 ... ...
- 어디에 쓰이는지 알면 깜짝 놀랄걸! 수학재밌데이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증기를 발생시켜 발전기를 돌리는 방법으로 전기를 생산해요. 연료봉은 마치 두더지잡기 게임처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구멍에 들어가고, 다쓴 연료봉은 발전을 중단하고 교체하죠. 이 작업은 방사능 때문에 기계를 조종해서 원격으로 진행하는데, 최대한 빠르게 해야 전기를 생산하지 못해서 ... ...
- [로보트 재권V] 마침내 완성된 '로보트 재권v'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다 된 것 같습니다.그런데 막상 출동하려고 하니 불안한 것이 하나 있네요. 바로 균형 잡기입니다. 로보트 재권V가 우리 주변에서 일하다가 누군가와 부딪쳐서 넘어지기라도 하면 사람이든 로봇이든 많이 다치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이 듭니다. 이번 호에서는 마지막으로 로보트 재권V에게 균형감각을 ... ...
- [수학뉴스] 해변에서 ‘뫼비우스 띠’ 떠올린 뫼비우스수학동아 l2019년 11호
- 연구실이 아닌 휴가지에서 발견했다는 점입니다. 바닷가에 놀러간 뫼비우스가 파리를 잡기 위해 종이 띠의 양쪽 면에 접착제를 바른 뒤 끈적이는 면을 바깥으로 하려고 한쪽 끝을 비틀어 붙여 놨는데, 그게 뫼비우스의 띠였던 거죠. 휴가지에서 조차 수학을 생각했던 뫼비우스의 아이디어는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