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송"(으)로 총 1,167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지나는 매일 아침 조깅을 한다. 신발에 달린 스마트센서는 운동량을 측정해 스마트폰에 전송한다. “심박수가 너무 빠르네요. 심호흡을 해 봐요.”지나의 손목에 달린 스마트워치가 심호흡을 권한다. 잠시 숨을 고른 지나는 앱으로 근처 카페에 따뜻한 커피 한 잔을 미리 주문한다. 곧바로 커피가 ... ...
- [하야부사 2호] 너는 류구에서 어떤 탐사를 했니?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두 번에 걸쳐 류구 표면에 탐사 장비들을 떨어뜨려 류구 표면을 탐사한 결과를 지구로 전송했어요.하야부사 2호는 2019년 2월 처음으로 지름 6m의 평평한 류구 표면에 직접 착륙하여 첫 번째 표면 샘플을 수집했어요. 샘플을 수집하고 다시 날아오른 하야부사 2호는 두 달 뒤, 폭발물을 떨어트려 류구 ... ...
- [과학뉴스] 원전사고 대응 방재 로봇 드림팀 떴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1일 실시한 최종 훈련에서는 티램이 모의 사고 현장 건물 내부로 진입해 상황을 상황실로 전송하고 암스트롱이 접착물질인 우레탄폼을 분사해 방사성 물질이 누출되지 않게 건물의 출입구를 성공적으로 밀봉했다. 정경민 한국원자력연구원 로봇응용연구부장은 로봇을 활용한 방사성 물질 밀봉 ... ...
- 천문학계 노병, 우주에 잠들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없었다.스토리-롬바르디아 박사는 “장비에는 문제가 없어 스피처를 아주 느린 데이터 전송 모드로 계속 운영할 수도 있었지만 스피처 미션에 관여했던 모든 사람과 논의한 끝에 은퇴를 결정했다”며 “스피처는 처음부터 끝까지 훌륭한 과학(great science)을 해냈으며 스피처에 참여한 연구자들은 ... ...
- 6G 갖춰야 할 성능, 가능케 할 기술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활용한 지상 통신 및 위성 통신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로는 테라헤르츠용 안테나, 전송 프로토콜, 그리고 이를 운용하는 기지국 시스템이 추가로 개발돼야 한다. 여기에 미래 6G 통신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네트워크에 인공지능(AI)을 결합한 지능형 네트워크의 필요성도 대두되고 ... ...
- [2021년 흰 소의 해] 스마트 헬‘소’케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탑재돼 있어 근처 안테나로 정보를 보낸다. 이 정보는 기지국을 통해 클라우드로 전송되고, 여기서 딥러닝 분석이 이뤄진다. 그리고 스마트폰, PC 등의 각종 전자 기기로 송출돼 소의 상태는 앱으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소가 질병이 걸리는 등 평소와 신체 기능이 달라지면 알림이 와서 바로 ... ...
- 글로벌 시대, 6G 연구 동맹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지연없이 구현하기 위해서는 1Tbps(테라비피에스·1초에 1조 비트를 전송하는 속도) 이상의 전송 속도가 필요하다. 중국 정부는 농업과 임업, 재난 모니터링 분야에서 테라헤르츠파를 이용한 6G 통신 기술을 시험할 계획이다. 중국이 이렇게 6G 기술 구현에 적극 나서는 이유는 5세대(5G) 이동통신 때부터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따뜻한 불빛이 반짝 반짝! 양초로 집 꾸미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통신 기기를 실어 무선 인터넷을 공급할 계획을 세우고 있답니다. 기구가 통신 전파를 전송하는 ‘기지국’ 역할을 하는 거죠. 그러면 개발이 늦어 기지국을 세울 경제적 여력이 없는 나라에도 인터넷을 보급할 수 있답니다. 실제로 7월 초, 아프리카 케냐 지역에 시범적으로 인터넷을 제공하는 데 ... ...
- [만화뉴스] 카메라를 등에 짊어진 딱정벌레가 바라본 세상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주차장에 풀자, 120m 떨어진 연구진의 스마트폰에 딱정벌레가 찍은 주차장의 풍경이 전송됐지요. 이 무선 카메라 시스템은 초소형 전지를 사용해 0.248g으로 매우 가벼워요. 완전히 충전하면 6시간 사용할 수 있고, 블루투스 칩으로 통신하지요. 곤충이 움직이지 않아도 연구팀이 카메라의 각도를 ... ...
- [특집]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 비행한 태양광 무인 비행기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거리랍니다. 장거리 비행은 쉽지 않아요. 비행기를 눈으로 볼 수 없는 상태에서 지상으로 전송되는 비행기의 상태 정보로만 비행 상황을 파악해야 하기 때문이죠. 남극 비행도 도전하고 싶어요. 남극은 9월부터 다음 해 3월까지 밤에도 해가 지지 않는 백야 현상이 발생합니다. 태양광 무인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