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상"(으)로 총 3,191건 검색되었습니다.
- '갓생'에 대해서 뇌과학이 알려줄 수 있는 것과학동아 l2023년 05호
- 기능이 정상보다 떨어질 경우엔 이를 치료해 기능을 올리 는 과정이 필요하겠죠. 하지만 정상인이 약을 먹어서 뇌 기능을 높일 경우, 빈익빈 부익부를 더 유도하진 않을지 걱정됩니다. 공부 잘 하는 약을 개발할 때는 이런 면에서 조심스러울 필요가 있겠죠 ... ...
- [뉴스&인터뷰] 여자끼리, 남자끼리 생명을 만들 수 있다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유전자를 편집할 필요 없이 여성의 감수분열을 거쳐 난자가 된다. 연구팀은 이 난자와 정상 수컷의 정자를 체외수정한 뒤 대리모 생쥐를 이용해 건강한 생쥐들을 탄생시켰다. 두 생쥐 사이의 교배라 유전병 문제에서도 자유롭다는 평가를 받는다. 하야시 교수는 이번 두 아빠 생쥐 연구를 사람의 ... ...
- [성진우·염민규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줄기세포로 장기를 조립하다,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단 네 가지 물질을 주입해 배아줄기세포와 유사한 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합니다. 정상적인 분화과정을 거스르는 ‘역분화’를 거쳐 만들어진 이 세포는 배아줄기세포처럼 다양한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기 때문에 유도만능줄기세포라는 이름이 붙습니다. 유도만능줄기세포의 활용은 ... ...
- [러셀 탐구생활] 제 4장 수학을 향유하는 인생 친구를 만나다수학동아 l2023년 04호
- 두면, 곡선의 기울기는 2라는 답을 얻습니다. 혹시 여러분의 반응이 ‘띠용?’이라면 정상입니다. 방금의 논증은 상당히 의심스럽습니다. 정말로 ε = 0이라면 두 점은 살짝 떨어져 있기는커녕 아예 동일한 점일 뿐더러, 기울기 식의 분모와 분자가 모두 0이 되는 셈이니 수학적으로 말이 안 됩니다. ... ...
- 서울대 표본실 곰팡이 습격 사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기본적으로 표본실은 제대로 관리만 된다면 곰팡이가 살기 좋은 환경이 아니다. 따라서 정상적인 표본실에서는 발견할 수 없지만 언젠가의 사태를 대비해 주의해야 하는 곰팡이가 무엇인지 알 수 있었다. 전세계에 있는 여러 표본실에 이 사실을 알릴 수 있어 의미있었다. 앞으로 비슷한 상황이 ... ...
- [SF] 끝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공급할 것이다.13m 전방으로 한 선수가 쓰러진다. 12년 전 도쿄마라톤대회에서 우승했던 정상급 선수다. 구급팀이 투입되는 등 주변이 다소 소란스러워진 이유를 사용자는 묻지 않는다. 나 역시 전하지 않는다. 사용자의 생체신호가 다소 개선된 것을 확인했으니, 구급팀엔 신호를 보내지 않기로 ... ...
- [4컷 만화] 레이저로 번개를 조종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레이저로 번개를 조종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스위스의 젠티스산 정상에 있는 124m 높이의 통신 타워 옆에 펨토초* 레이저를 쏠 수 있는 레이저 피뢰침(LLR)을 뒀어요. 2021년 7월부터 9월까지 뇌우가 쏟아지는 총 3시간 동안 이 장치로 레이저를 쏘고, 고속 카메라와 무선 안테나로 ... ...
- 째깍째깍... 회춘, 시계를 되돌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방사선에 노출되거나 DNA를 공격하는 화학 물질을 접했을 때는 물론, 우리가 그저 정상적으로 호흡을 할 때도 DNA는 끊어집니다. 호흡할 때 세포 안에서 발생하는 활성 산소가 DNA에 손상을 입히거든요. DNA가 끊어지면 단백질이 이를 수리합니다. 그렇게 DNA 수리를 반복하다 보면 단백질이 문득 길을 ... ...
- 기어코 찾아올 죽음을 위한 궁리, ‘곱게 죽는’ 법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조절해가며 6구의 시신을 퇴비화한 결과, 생성된 퇴비 속 미생물 군집, 중금속이 모두 정상 수치였고, 분해 정도, 안정성, 외관 모두 퇴비로 사용하기 위한 기준을 충족했다”고 밝혔습니다. 고인이 생전 복용했던 약물이나 몸 속 병원체가 퇴비에 그대로 남아 있다면 큰일이겠죠. 리컴포즈 측은 ... ...
- 한 편의 기사가 수리생물학자로 안내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이걸 전공해도 괜찮을지 알 수 없었어요. 그래서 무턱대고 대학교 때 지도교수님이셨던 정상권 교수님께 메일을 드렸어요. ‘수리생물학을 공부하고 싶은데, 방법을 모르겠다’고요. 그러자 정 교수님께서 ‘마침 미국에서 수리생물학을 공부한 후배(이남용 미국 미네소타주립대학교 교수)가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