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수
본질
핵심
요점
근본
실체
괸 물
d라이브러리
"
정수
"(으)로 총 837건 검색되었습니다.
[천상] 수학자들의 존경받는 스승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고등과학원 수학부 연구원은 메이저 교수를 살아있는 전설이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정수
론의 대가로 인정받는 메이저 교수는 가장 먼저 위상수학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위상수학 분야의 뛰어난 연구자에게 주는 ‘베블런 상’을 받기도 했지요. 그러던 중 1966 필즈상 수상자인 알렉산더 ... ...
[킹앤카] 소수의 아름다움을 연구한다 테렌스 타오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안녕하세요. KAIST 수학문제연구회의 장지연이에요. 저는 2006년에 필즈상을 수상한 테렌스 타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 교수와 관련한 문제를 ... 암호와 보안에 많은 역할을 하고 있어요. 앞으로도 컴퓨터 분야의 전망이 높은 만큼,
정수
론도 연구 가치가 충분한 분야랍니다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수학을 재밌게 공부하자! 퀴즈 러닝 게임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눌러 변수 ‘수1’과 ‘수2’를 만들고 ‘변수 저장’ 명령블록을 가져오세요. ‘계산-
정수
랜덤값’ 명령블록을 가져와 수의 범위를 정해 주세요. 수의 범위에 따라 문제의 난이도가 결정되니 적절한 값을 입력해 보세요. ➌ ‘논리-만약(if) 아니면(else)’ 명령블록을 가져오세요. ‘논리-등호’, ... ...
질문하면 답해 ZOOM!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얼음 안에 있는 공기가 빛을 통과시키지 않고 반사하기 때문이죠. 반대로 얼음
정수
기에서 만든 얼음은 물을 끓여 공기를 빼내서 얼음을 만들기 때문에, 물처럼 빛을 대부분 통과시켜요. 덕분에 투명하게 보인답니다. Q긴장하면 왜 배가 아플까요? 김지성(joseph.kim1119) A사람의 뇌와 척수에는 ... ...
소수의 비밀에 다가가는 연구로 성과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좋은 결과를 얻었으니까요. 그리고 메이나드 교수는 아직 어리고 앞으로 해낼 것이 많은
정수
론계의 유망주인 것은 확실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메이나드 교수가 필즈상을 수상할 수 있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 ...
0.05mm로 그린 꽃과 새 통일신라 금속공예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이렇게 뛰어난 세공 기술을 불과 3cm 남짓한 금박 위에 펼쳐 통일신라 금속공예의
정수
를 보여줬다.이렇게 정교한 세공 기술을 현대 기술로 재현할 수 있을까? 김용운 국가무형문화재 조각장 등 금속공예에 일가견이 있는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했다. 1300년 전 통일신라의 장인이 새겼던 기술을 현대 ... ...
[특집] 포인트만 딱딱! ICM 관전 포인트
수학동아
l
2022년 07호
랭글랜즈 프로그램의 결과를 이번 강연에서 발표할 예정”이라며, “특히 기하학 및
정수
론과 연결지어 설명할 것”이라고 말했어요. 랭글랜즈 프로그램이란 수학의 서로 다른 분야를 가로지르면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현상과 그 연관성을 연구해 수학을 통합하는 작업이에요. 관전 포인트 4 ... ...
[2022 필즈상 예측 ] 버리우 페테르 교수, 아이반 코윈 교수, 제이곱 치머만 교수
수학동아
l
2022년 06호
자기 분야의 연구 방향을 이끄는 리더”라고 치머만 교수를 소개했습니다. 과연
정수
론의 떠오르는 샛별 치머만 교수가 필즈상을 받을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 ...
[기획] 수학 역사상 가장 오래된 문제가 풀리다!
수학동아
l
2022년 06호
특별한 이유는 없어요. 하지만 제가 좋아하는 종류의 문제인 것은 확실합니다. 저는
정수
론과 조합론의 문제를 좋아하는데, 에르되시가 그런 종류의 문제를 많이 연구했거든요. 제가 생각한 문제 중 몇 개는 이미 에르되시가 생각했던 것들이더라고요 ... ...
[2022 필즈상 예측] 필즈상 수상으로 2인자에서 1인자 될까? 기호 7번. 바르가브 바트
수학동아
l
2022년 05호
데 이용해 학계를 깜짝 놀라게 했는데요. 김완수 KAIST 수리과학과 교수는 “주로
정수
론 문제를 푸는 데 쓰일 거라 여겨졌던 퍼펙토이드 공간이 전혀 생각지도 못한 분야에 활용된 것”이라며, “학계에선 바트 교수가 가환 대수학 관련 연구를 꾸준히 해왔기 때문에 이런 획기적인 접근을 할 수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