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맹약
협정
협약
계약
약속
맹세
언약
d라이브러리
"
조약
"(으)로 총 200건 검색되었습니다.
2부. 훌륭한 리더는 수로 다스린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공식적인 문서는 1882년 조선과 미국이
조약
을 체결할 때 영어로 작성한 조미수호통상
조약
입니다.”우리나라 사람들이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한 건 그리 오래되지 않았군요. 앞서 이야기했던 수학책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우리 조상들의 수학 수준은 어느 정도였습니까?“음, 원주율을 뜻하는 π를 ... ...
걸리버 여행기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도와 주면서 릴리퍼트의 국왕에게 인정을 받습니다. 릴리퍼트의 국왕과 걸리버가 맺은
조약
중에는 위처럼 릴리퍼트는 걸리버에게 1728명을 먹일 수 있는 음식을 제공한다는 항목이 있습니다. 왜 1700이나 1800이 아니라 꼭 1728명일까요?그건 측정 결과 걸리버의 키가 릴리퍼트의 사람보다 약 12배 컸기 ... ...
북한 2차 핵실험의 쟁점4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핵분열생성물은 핵이 분열할 때 생기는 방사성동위원소를 말한다. 포괄적핵실험금지
조약
기구(CTBTO)는 나이오븀(95Nb), 요오드(131I), 텔루륨(132Te)을 포함한 47가지 방사성동위원소를 핵분열생성물로 지정했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방사능탐지분석실 이동명 실장은 “방사화생성물은 암반 같은 주변 ... ...
비상! 우주가 위험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발생을 막기 위해 대책을 의논하고 있어. 하지만 아직까지 국제적인 협정이나
조약
을 맺는 성과를 이루지는 못했어. 그런데 드넓은 우주를 떠돌아다니는 우주쓰레기를 어떻게 찾아 내고 감시할까? 레이더우주로 전파를 쏘아 반사되는 전파를 수신하면 우주에 무슨 물체가 떠 있는지를 알아 낼 수 ... ...
INTRO 지구온난화, '북극 전쟁'의 방아쇠를 당기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008 세계 대전망’ 보고서에서 최대 격전지로 북극을 지목했다. 남극은 국제협약인 남극
조약
에 따라 남극 대륙의 영토, 자원, 환경보호 등이 전반적으로 관리되는 반면, 북극은 북극해와 인접한 5개국에 자국의 영토와 200해리 경제수역을 인정한다.이들 나라는 공동해역인 북극점 주변까지 지질, ... ...
1. 두께 1m 얼음 깨며 나가는 북극 첨병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해 와 현재 활발하게 협의가 진행 중이다. 지난 6월 우크라이나 키예프에서 열린 31차 남극
조약
당사국회의(ATCM)에서도 우리나라가 쇄빙연구선 건조 현황을 발표하자 참가국들이 큰 관심을 보였다. 각국 대표들은 아라온을 이용해 어떤 연구를 할 수 있는 지, 쇄빙선 운항 일정은 어떻게 되는 지 질문을 ... ...
국가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009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는 국제
조약
을 협의하기 위해 전 세계 160개국 대표단이 지난 3월 28일 태국의 방콕에 모였다. 암컷의 2개 X염색체 중 한쪽의 기능이 비활성화(非活性化)하는 현상 고등포유동물에서 나타난다X염색체 위에 유해유전자 ... ...
조선조류열전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개체를 환생시켰다.우리나라에서도 올해 10월 경남 창원에서 열리는 람사협약 (국제습지
조약
) 당사국 총회를 앞두고 ‘우포늪따오기복원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동물표본관의 박제로만 남은 따오기가 다시 살아나 ‘따옥따옥’ 우는 모습을 빨리 보고 싶다. 하지만 환생한 따오기가 자유롭게 살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2호
나라든지 과학적으로 탐사하며 핵실험을 금지하는 내용이었다. 한국은 1986년 11월 남극
조약
에 가입한뒤 1988년 남극의 킹조지 섬에 세종기지를 세워 남극 연구를 시작했다.1908년 11월 28일 프랑스 인류학자 레비스트로스 출생저서‘슬픈 열대’로 유명한 인류학자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처음에는 ... ...
과학이 예술에 빠졌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그는 홍조류의 일종인 뿔가사리를 바닷물에서 꺼내자마자 말단부가 말리지 않도록
조약
돌로 잎을 하나씩 눌러 이틀 동안 건조했다.오텐센 교수는 검은색 배경 위에 뿔가사리를 올린 뒤 일반 디지털 카메라로 찍었다. 북대서양 해안에 흔한 홍조류인 뿔가사리는 아이스크림을 만들 때 분산제나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