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체"(으)로 총 403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대통령 담화문에서 배우는 올바른 사과 비법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하니 너무나 안타깝고 참담한 심정”이라는 말은 수동태 사과에 해당한다. 잘못의 주체를 ‘특정 개’이라고 말함으로써 대통령 자신의 잘못은 인정하지 않았다. 뒤이어 “모두 저의 잘못이고 저의 불찰”이라는 문구가 나오지만, 맥락상 실제 책임을 인정한다기보다 자책을 통한 동정심 유발 ... ...
- Part 4. 동물의 삶이 궁금해? 직접 살아 봐!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고 말했다.쥐의 성생활이 줄어든 이유는?‘진짜로’ 동물에 대한 끓어오르는 호기심을 주체하지 못한 사람도 있다. 영국의 자연주의자이자 작가인 찰스 포스터는 실제로 동물처럼 산비탈에 굴을 파거나 벌레를 잡아먹기도 했다. 그는 오소리, 여우, 수달, 사슴, 새 등 다섯 종의 동물로 산 경험을 ... ...
- [소프트웨어] 자율적으로 배우는 SW수학동아 l2016년 11호
- 교사에 말에 따라 그대로 실습하는 방식이었다.그런데 SW교육을 하면서 학생들로 주체가 바뀌었다. 둔촌고는 학교에 다양한 종류의 교구를 비치해, 교구 선택부터 학생들에게 맡겼다. 본인이 원하는 교구를 선택하고, 그에 맞는 코딩까지 스스로 해야 하는 것이다.아무런 특징이 없어 보이던 ... ...
- 하트와 홀름스트룀, 그리고 ‘계약 이론’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방법이 많다는 겁니다.올리버 하트 교수와 벵트 홀름스트룀 교수는 1970년대부터 경제 주체가 맺는 복잡한 계약을 연구했습니다. 알고 있는 정보의 양이 서로 다를 때 사람들이 어떤 계약을 맺는지, 그 계약이 어떤 효과를 낳는지를 설명하는 연구가 모두 ‘계약 이론’ 에 해당하지요. 직장에서 ... ...
- [수학동아클리닉] 거꾸로 교실에 담은 행복수업 2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예방할 뿐만 아니라 학생이 학교생활에 의미를 느낄 수 있게 해준다. 학생들은 독립적인 주체로서 행복한 사람으로 커 나갈 것이고, 행복한 학생을 만나는 교사 또한 행복해질 것으로 믿는다.아울러 보이지 않는 곳에서 재미있고 유익한 활동을 개발하기 위해 애쓰는 미래교실 네트워크 소속 ... ...
- [Tech & Fun] ‘헬조선’의 불행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등을 선택할 때도 개인의 의견이 역시 가장 중요하다. 반면 집단주의 문화권에서 중요한 주체는 가족, 학교, 회사 등의 집단이다. 개인은 고유하고 개별적인 욕구를 가진 자유로운 존재이기보다 집단의 구성원으로 역할과 의무를 수행하는 존재로 여겨진다.집단주의 사회에서는 개인이 자신의 ... ...
- [News & Issue] 장기기증자의 눈물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장기기증과 관련된 이야기는 주로 미담이다. 사고로 뇌사에 빠진 사람이 뇌사기증을 통해 수많은 사람들에게 새 생명을 주고 떠났다거나, 유명 연예인이 사후 장기 ... 이식, 특히 생존자의 간이식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이뤄져요. 결국 우리가 나서서 주체적으로 연구해야만 합니다 ...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될 수도 있고, 짜증이 될 수도 있고, 공포가 될 수도 있습니다. 간지럼을 당하는 사람이 주체와 상황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따라 상반된 결과가 나타나기도 하죠. 나흥식 교수는 “그래서 간지럼을 ‘정서적 감각(emotional sensation)’이라고도 부른다”고 말합니다.인공지능이 간지럼 배운다!간지럼은 ...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선택을 통제하며 자율적인 의사결정을 내리는 존재다. 즉, 이성적 자아는 도덕적 책임의주체인 동시에 내가 하는 모든 행위의 지배자인 것이다. 반면 프로이트에 따르면, 우리의 많은 부분은 무의식적 본능이나 충동 혹은 억압된 욕망의 산물이다. 의식적 자아 또한 이들의 지배로부터 자유롭지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누적되고 강화된 기억과 감정은 기침을 통해 또다시 전파된다. 그 기억에서 기억의 주체를 골라낼 수 없었던 것도 이해가 된다. 심창대의 기억이 그렇게 쉽게 묻힐 수 있었던 것도 이것으로 설명이 된다.은성에 대한 사랑이 전염병처럼 동네에 퍼지고 있는 것이다. 은평구 안은성 팬클럽.누군가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