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공"(으)로 총 960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3장. 더 정확한 1kg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자연 현상을 기준으로 킬로그램을 정의하기로 했어요. 예를 들어 미터(m)의 경우, ‘빛이 진공에서 299792458분의 1초 동안 나아간 경로’라고 정하면 원기 없이도 미터를 측정할 수 있지요.과학자들은 새로운 킬로그램의 기준으로 ‘플랑크 상수’를 쓰기로 했어요. 플랑크 상수는 빛 알갱이인 광자 ... ...
- [헥!헥! 핵물리학자] 과장은 없다! 이게 바로 광속...‘핵’ 빠르게 던지는 가속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없앤 진공관이 두 개 있어, 각각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입자가 움직이지요. 두 진공관에서 반대로 움직이던 입자들은 가속기의 특정한 지점 몇 곳에서 만나 충돌해요.여기서 잠깐! 여러분이 작은 모래 두 알을 양손에 들고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던져 충돌시키려 한다고 생각해 보세요. ... ...
- 50년 인류 최대 프로젝트 ITER 본격 조립 시작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위상배열 초음파검사, 원격내시경검사) 등의 기술을 개발해 회원국 중 최초로 진공용기 섹터를 완성해 공급했다. 초전도 도체도 한국이 ITER 회원국 중 최초로 공급을 완료했다. 초전도체는 플라스마를 가둘 수 있는 거대한 자기장을 생성하는 부품으로, 지름 0.82mm의 초전도 선재 수천 가닥을 꼬아서 ... ...
-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KSTAR 연구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바라본 KSTAR는 상상하던 것과는 조금 다른 모습이었다. 토카막이 들어 있는 원통형 진공용기 외에도, 중성자빔 가열장치(NBI), 고주파 가열장치(RFµwave), 플라스마 진단장치 등 복잡한 기계들이 토카막에 잔뜩 연결돼 있었다. 그중 중성자빔 가열장치 2호기(NBI-2)는 2019년 새롭게 도입된 따끈따끈한 ... ...
- 핵융합 에너지 또 다른 융합으로 완성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실험로의 최적 운전 조건을 찾아야 한다.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초고온, 초진공 등 극한의 환경에서 연구원들이 플라스마를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플라스마는 핵과 전자가 분리된 물질 상태로, 각 입자가 전하를 가져 난류가 발생하기 십상이다. 기존에 알려진 ... ...
- 심우주, 아득히 먼 곳을 향하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반물질은 물질과 닿으면 빛을 방출하며 없어집니다. 그래서 반물질은 벽에 닿지 않도록 진공 용기 속에 보관해야 해요. 반수소 원자들을 반리튬 원자로 감싼 채로 보관하면 될 거라 생각합니다. 물론 반물질을 충분한 양으로 모으는 연구가 먼저 진행되어야 하겠지만요. 반물질을 1g 이상은 모아야 ... ...
- [과학동아 X 긱블] 태풍에 우산 작살난 사람들을 위한 잇템, 에어 우산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에어컨 물방울을 상대로 에어 블로어를 작동시켜봤습니다. ‘쉬이이이이이이잉’진공청소기 같은 소음을 내면서 물방울을 힘차게 밀어냅니다. 오케이, 좋습니다.다음으로 바꾼 건 공기 배출구의 지름입니다. 유체역학적으로 같은 양의 공기가 흐를 때 그 통로가 넓을수록 흐르는 속도가 ... ...
- [기초과학의 힘, IBS] 나노입자 연구단, 원자 수준으로 관찰하는 나노입자의 3D 증명사진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액체를 담아 나노입자가 합성되는 과정을 관찰하거나 크기 변화를 포착하는 것이다. 진공 환경과 달리 액체 환경에서는 나노입자가 실제와 거의 비슷한 구조를 유지한다. 그러던 2018년 여름 연구단은 액체 셀 속에 들어있는 나노입자가 회전하는 현상을 발견했다. 순간 회전하는 나노입자의 ... ...
- [비하인드 로켓] 절치부심, 두번째 도전에 나서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환경보다 진동을 6배 강하게 만들어 실험해보기도 하고, 우주 공간과 비슷한 환경인 대형 진공 챔버에 넣어 실험하기도 했다. 부품이나 시스템 점검 시험까지 치면 약 400회의 시험이 진행됐다. 막판에는 페어링에 금이 가 급히 다시 주문해야 할 정도였다. 하지만 1차 발사 때와 같은 페어링 비정상 ...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2. 외계인을 어떻게 찾아?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오던 방향으로 밀리듯이 우주탐사선도 빛이 오던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는 거죠. 그런데 진공상태인 우주에선 공기저항력이 없어 우주탐사선의 속도가 계속해서 빨라져 결국 빛의 속도의 15~20%까지 다다를 수 있어요. 이렇게 프록시마 b 주변에 도착한 우주탐사선은 우리에게 생명체가 존재하는지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