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충동
충격
원동력
동기
정력
추력
d라이브러리
"
추진력
"(으)로 총 40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뷰] GIST 신입생대표 이민행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자기소개서에 담았다. 생소한 생명정보학으로 R&E 활동을 하면서 겪었던 어려움도 자신의
추진력
을 드러내는 소재가 됐다. “생명정보학이라는 생소한 분야에 도전해 연구하는 것은 쉽지 않았어요. 교수님들에게 수십 통의 e메일을 보내 연구를 도와달라고 부탁했지만, 계속 거절당했죠. 거의 ... ...
Part 2. 초대형 로켓을 쏘아 올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걸면 영하 180℃의 액체 산소가 타면서 3000℃가 넘는 뜨거운 불꽃을 만들어내요. 여기서
추진력
을 받아 중력을 이겨내고 우주로 날아가는 거지요. 하지만 엄청난 양의 연소 반응이 급격히 일어나는 과정에서 불안정한 연소가 나타날 수 있어요. 그럼 순식간에 엄청난 폭발이 일어날 수도 있지요. ... ...
[Issue] 머스크의 ‘팰컨헤비’ 드디어 우주로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지금까지 세계 최강 로켓으로 꼽히던 ULA(United Launch Alliance)의 ‘델타4 헤비’보다
추진력
이 2배 이상 크다. 로켓의 힘이 강력하다는 것은 탑재체 중량을 늘릴 수 있다는 의미다. 고도 200~300km의 지구 저궤도에는 63.8t을 보낼 수 있다. 이는 최대 250명이 탑승할 수 있는 보잉737 여객기에 승객, 승무원 ...
[종목1] 스피드스케이팅, 0.1초 단축 위해 찰나의 순간 분석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키네틱 체인이 매우 중요하다”며 “상체와 하체가 만들어낸 힘을 빙판에 전달해
추진력
을 만드는 키네틱 체인이 균형을 이뤄야 출발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일부 선수는 키네틱 체인의 균형이 무너져 출발할 때 주행 경로가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관찰됐다. 한쪽 다리는 ... ...
[과학뉴스] 물고기도 헷갈리는 스파이 로봇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신체적 특징을 그대로 재현했지요. 로봇 물고기는 소형 엔진과 전자석으로
추진력
을 얻고, 방향을 바꿔요. 미리 설계해 둔 알고리즘에 따라 헤엄치지요. 알고리즘에는 실제 제브라피시의 속도와 가속도, 꼬리를 흔드는 리듬까지 포함돼 있답니다. 연구팀은 로봇 물고기를 제브라피시 집단과 함께 ... ...
Part 5. 소행성에서 광물을 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9호
산소와 수소가 되는데, 모두 연료로 사용할 수 있거든요. 또한 물을 수증기로 만들어
추진력
을 얻을 수도 있답니다. 이처럼 우주에서 연료를 얻으면 더 오래 우주에 머무를 수 있지요. 일부 과학자들은 채굴이 가능한 소행성이 많지 않다고 걱정하기도 해요. 이에 대해 채굴 업체들은 “아직 정체가 ... ...
[스미스의 탐구생활 7화] 비행기 엔진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8호
이처럼 사람을 태우고 다니는 여객기나 음속보다 빠른 전투기는 ‘제트엔진’을 통해
추진력
을 얻어요. 비행기가 이륙을 하거나 하늘을 날 때 들리는 ‘위~윙~!’ 소리도 제트엔진 때문이지요. 제트엔진이 무거운 비행기를 빠르게 움직일 수 있는 비결은 무엇일까요? 바로 ‘공기의 부피’예요. ... ...
Part 3. 물과 공기를 자유자재로~! 수륙양용 드론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속도를 늦추도록 만들었어요. 그러면 아직 공기 중에 있는 윗층 프로펠러가 드론에서
추진력
을 담당하게 되지요.연구팀은 이 기술을 ‘무경계 이동(seamless transition)’이라고 이름 붙였어요. 이 덕분에 내비에이터는 단 2초 만에 물에서 공기로, 또는 공기에서 물로 이동할 수 있답니다. 수면에서 아예 ... ...
[가상인터뷰] 갈라파고스 가마우지가 날지 못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3호
과거 과학자들은 물속에서 펭귄처럼 날개를 젓는다고 오해했지만, 저는 뒷다리를 차면서
추진력
을 얻어요. 이때 날개는 몸에 밀착시켜서 저항을 줄이지요. 멀리까지 이동하지 않고 반경 1km 내에서 먹이를 사냥한답니다.하지만 바다에 사는 다른 동물처럼 방수 능력이 있는 털을 가지고 있지는 ... ...
[Future] 재난구조로봇 1등은 ‘나야 나’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꼬리 부분에는 긴 호스가 연결돼 있다. 평면을 이동할 땐 진동 모터의 미세한 진동으로
추진력
을 얻는다. 여기까지는 다른 뱀 형태 로봇과 별반 다르지 않다. 그런데 장애물을 만나면 달라진다. 로봇의 머리 부분에 달려 있는 노즐에서 공기를 분사해 머리를 번쩍 든다. 공기를 수직 아래쪽과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