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침략
침범
유입
돌입
난입
내습
쇄도
d라이브러리
"
침입
"(으)로 총 787건 검색되었습니다.
2002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 만만했던 코로나바이러스 위력 처음 실감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통과시킨다. 코로나바이러스 외피에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이 숙주세포
침입
에는 핵심 도구인 셈이다. ACE2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의 사촌격 단백질이다. ACE는 원래 체내에서 혈압과 대사기능을 조절하는 단백질이다. ACE2도 체내 수분과 혈압을 조절하는 단백질이지만 ... ...
B림프구...항체 생산하는 면역의 종결자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백신의 기본 원리는 면역세포의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한 것이다. 면역세포는 외부에서
침입
한 항원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할 항체를 만들어 ... 항원 정보를 기억해 장기간 생존하는 기억 B림프구로 분화한다. 동일한 항원이 2차로
침입
할 경우 기억 B림프구가 작용해 곧바로 항체를 생산한다 ... ...
1987년 항체 다양성을 유전자로 설명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다양한 항체를 생성할 수 있는 유전적 원리를 밝혔다. 항원에 해당하는 병원체가 몸속에
침입
하면, 우리 몸속에서는 이에 대응하는 항체를 생성해 면역반응을 일으킨다. 이 과정에서 마치 열쇠와 자물쇠처럼 항원에 꼭 맞는 항체가 생성된다. 도네가와는 우리 몸이 어떻게 무수히 많은 항원에 꼭 ... ...
대식세포...바이러스 전쟁의 지휘관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등 후천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호중구나 호산구 등 다른 식세포가
침입
자에 저항하는 최전선의 보병이라면, 대식세포는 전시 상황을 살펴 싸움이 불리한 곳에 뛰어들거나 추가 지원군을 요청하는 판단을 내릴 수 있는 지휘관이라고 할 수 있다.대식세포의 표면에는 초파리에서 ... ...
수지상세포...바이러스 정체 알리는 전령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침입
을 알린다. 대식세포의 경우 림프계 세포에 신호를 보내 도움을 청하긴 하지만 적이
침입
한 현장에서 싸우다 죽을지언정 그곳을 떠나지 않는다. 이와 달리 수지상세포는 항원을 먹어치우는 식세포로 활동하는 동시에, 일부는 항원 조각을 먹은 뒤 항원의 특징을 담은 단백질을 세포 표면에 ... ...
자연살해세포...
침입
즉시 공격, 진정한 킬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증식을 차단하는 신호물질을 분비하며, 선천 면역반응을 담당하는 식세포들이 바이러스
침입
부위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신호를 내보내기도 한다. 자연살해세포는 성인 기준 체내에 약 1억 개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연살해세포는 감염 후 수일 내로 작용하는데, 그 기능상의 활성도는 2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일부는 기억 B림프구가 돼 장기간 몸에서 살아남는다. 이 때문에 바이러스 C가 몸에 재
침입
할 경우 기억 T림프구가 활성화되는 동시에, 기억 B림프구를 통해 1~2일 내로 빠르게 항체를 형성해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독감 예방을 위해 맞는 백신이 바로 이런 원리다. 병원성을 낮춘 항원을 몸에 주입해 ... ...
세포에 바이러스를 기억시켜라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용한다.후천 면역반응은 외부에서 들어온 항원에 의해 활성화된다. 병원체가 인체에
침입
하면 면역세포 중 대식세포나 수지상세포(항원 제시 세포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등은 이를 소화하거나 쪼개 병원체가 가진 항원의 일부를 세포 표면에 위치시킨다. 림프구인 T세포는 세포 표면에서 항원을 ... ...
T림프구...바이러스 자살 유도하는 똑똑한 전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한다. 기억 T림프구는 한번 인식한 항원을 기억하며 장기간 생존하고 있다가 항원이 재
침입
할 때 재빠르게 세포독성 T림프구로 변해 항원을 물리친다. 또 조절 T림프구는 자가 면역 질환을 일으킬 수 있을 정도로 반응성이 큰 세포독성 T림프구의 활성을 적절히 낮춰 면역시스템의 균형을 유지한다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신체 조직 성분에 대한 특징을 학습하고 기억한다고 주장했다. 태아 때 외부 물질이
침입
하면 그 또한 자신의 물질로 인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의 주장은 계속해서 피부 이식을 연구하던 메더워의 실험을 통해 입증됐다. 메더워는 일란성 쌍둥이와 이란성 쌍둥이인 소를 대상으로 서로의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