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캔바스
화포
canvas
d라이브러리
"
캔버스
"(으)로 총 104건 검색되었습니다.
잠자는 명화를 깨워라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그림을 적외선으로 촬영하면 좀 더 자세히 진단할 수 있다. 적외선은 물감층을 투과해
캔버스
천이나 목판 위에 그려진 연필선까지 보여주기 때문이다. 깜깜한 배경에 있는 주인공들을 한 줄기 빛으로 강렬하게 비추는 화풍으로 유명한 카라바조는 스케치를 그리지 않고 바로 물감으로 그렸다. ... ...
그림으로 보는 '원자론'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관찰하면 깜짝 놀라게 된다. 붓으로 물감을 칠한 흔적 없이 빨강, 파랑, 노랑의 삼원색이
캔버스
위에 무수한 점으로 찍혀 있기 때문이다. 세 가지 원색의 조합일 뿐인데도 그림이 만들어내는 색감은 또렷하다. 그림 중앙에 서 있는 양산 쓴 여인과 모자 쓴 아이에게 따뜻한 햇살이 느껴진다. 나뭇잎에 ... ...
사랑과 절망이 낳은 명작 모딜리아니展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선과 색을 창조해냈다. 그림은 결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혹시 미술관을 찾는다면
캔버스
위로 복잡하게 교차하는 사랑과 분노, 절망 같은 심리를 읽어보는 것은 어떨까. 때론 그림을 그리며 자신도 알지 못했던 숨은 감정과 마주칠지 모른다 ... ...
자외선과 형광안료가 빚어낸 색채의 향연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빛깔에 따라 배우의 몸이 빨강, 초록, 파랑으로 변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배우의 몸을
캔버스
삼아 그림을 그리는 셈인데, 다채로운 형광빛 때문에 눈은 물체의 원래 색깔이 무엇인지도 잊은 채 환상적인 기분을 느낀다. 자연 상태에서도 조명이 방출하는 빛에 따라 물체의 색이 조금씩 달라지지만 ... ...
'반 고흐전'의 한국행 비밀을 벗겨라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크다. 크레이트 안이 지나치게 습하면 운반하는 도중 곰팡이가 생기고 너무 건조하면
캔버스
가 수축해 그림에 균열이 생길 수 있다.마지막으로 크레이트 안에 질소를 ‘빵빵하게’ 주입했다. 공기 중의 산소를 제거해 산화반응을 막기 위해서다. 질소는 불에 타지 않는 기체여서 화재의 위험도 덜 수 ... ...
고흐에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4호
캔버스
에 무슨 정거장을 만드냐고? 이건
캔버스
를 넓히는 비법이야. 물론 크기가 정해진
캔버스
를 뚫고 나갈 수는 없지. 대신 작품을 보는 사람이 그림을 넓게 느끼도록 그리는 거야. 현대의 지각심리학자도 깜짝 놀라는 내 소실점의 비밀을 알려 줄게. 보통 그림을 보면 어느 한 점에 눈길이 ... ...
백내장이 명작 낳았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이끈 두 거장의 독특한 화풍은 천재적인 영감에서 나왔다기보다는 그들이 본 그대로를
캔버스
에 옮긴 것”이라며 “시력장애가 명작을 만드는데 일조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인상파 화가들은 1860~1890년대 프랑스를 중심으로 활동했으며 자연을 하나의 색채현상으로 보고 빛에 따라 미묘하게 ... ...
알약으로 치매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화폭에 담는다. 1년 뒤인 1997년작 ‘자화상2’에서는 코와 눈이 평면으로 그려진 얼굴을
캔버스
에 그려낸다. 이때 이미 어터몰렌의 공간 감각은 사라졌다.병세가 깊어진 2000년에 그린 ‘지워진 자화상’에서는 일그러진 얼굴 외곽선과 부분적인 이목구비만 남은 형체가 힘겹게 모습을 드러낸다. 그 ... ...
루브르 박물관전에 가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수학의 영역에 속한다. 루브르박물관전의 그림을 보며 예술적 감수성으로 덧칠해져 있는
캔버스
아래 어떤 수학적 코드가 숨어있는지 찾아보는 일도 재미있을 듯 하다 ... ...
붓끝에 수학 듬뿍 묻혀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긋지 않고 점을 찍어서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이유는 더 순수한 색을 얻기 위해서였다.
캔버스
에 원색으로 점을 찍으면 이 점들이 우리 눈의 망막에서 합쳐지면서 더 순수한 색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프랑스의 모네(Claude Monet)가 빛을 파동으로 봤다면 쇠라는 빛을 연속적으로 방사되는 ... ...
이전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