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탐방"(으)로 총 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명재 윤증고택 탐방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우리 조상들은 나무와 기와를 이용해 지은 한옥에서 살았어요. 지금도 서울 북촌이나 전주, 안동 등지에는 조선시대 중후기의 한옥이 그대로 보존된 마을이 있지요. 그런데 충남 논산에는 무려 308년 전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한옥인 ‘고택’이 있다는 사실! 이 소식을 들은 기 ... ...
- [현장취재] 왕귀뚜라미 대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교수님의 설명을 뒤로 하고, 배윤혁 연구원의 안내에 따라 이화여대 행동생태연구실을 탐방했어요. 연구실에는 수많은 책들과 곤충 표본, 개구리 모형 등이 놓여 있었어요. 또 사육실에 있는 사슴벌레, 개구리,사마귀, 거북 등도 관찰했지요. 모두 연구를 위해 연구실에서 직접 키우는 ... ...
- [숲이야기] 광릉숲에서 만난 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먹이가 많은 계곡에서 주로 볼 수 있어요. 하지만 체온 조절을 위해 일광욕을 할 때는 탐방로나 따뜻한 바위 위에서도 쉬고 있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답니다. 광릉숲 계곡에서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뱀은 무자치예요. 물을 매우 좋아하기 때문에 ‘물뱀’이라고 불리기도 하지요.무자치의 전체 ... ...
- [현장취재] 북한산의 생물다양성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6번 진딧물. 제한시간은 1분!”문제가 떨어지자마자 모둠별로 합심해서 답을 찾았어요. 탐방로에서 관찰한 곤충과 귀화식물의 사진을 보고 이름을 맞추는 문제도 이어졌어요.애매미의 노래를 흉내 내는 문제에서는 ‘수달사랑’ 팀의 김도윤 학생이 애매미 암컷도 깜빡 속을 듯한 멋진 노래를 ... ...
- [Knowledge] 미크로네시아 해양과학기지를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아픔을 마주하다축에 도착한 지 이틀째부터 축의 여러 섬과 유적지를 본격적으로 탐방했다. 가장 먼저 방문한 곳은 제2차 세계대전 때 사용했던 등대였다. 축은 아름다운 모습 이면에 가슴 아픈 역사를 가지고 있다. 제1차 세계대전의 승전국이었던 일본이 1914년 축을 점령해 수많은 사람들을 ... ...
- [창간 기념 이벤트] 수학동아 일곱 번째 생일 파티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전통 문화 체험을 주제로 수도 방콕뿐만 아니라 태국 최대의 염전이 있는 펫차부리를 탐방할 예정이에요. 아름다운 사원으로 유명한 태국의 멋을 흠뻑 느끼고 싶은 분은 꼭 참여해 주세요.펫차부리에서는 보트를 타고 홍합 농장을 방문할 뿐 아니라 맹그로브 숯을 만드는 활동도 할 거예요. 맹그로브 ... ...
- [Career] 질병 연구의 ‘내비게이션’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최근 의과학 분야 연구자들은 세포 안에서 일어나는 신호 전달과정에 관심이 많다. 세포 내 신호 전달은 단백질에 의해서 일어나는데, 마치 도미노처럼 이어지는 반응에서 단백질 하나가 잘못 작동하기 시작하면 걷잡을 수 없는 문제가 생긴다. 암을 비롯한많은 질병이 세포 내 신호 전달 과정에 문 ... ...
- [Career] ‘빅데이터 재료’ 다듬어 일류 연구 이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과학자들의 연구를 ‘요리’에 비유한다면, 과학기술 빅데이터는 ‘재료’라고 할 수 있다. 일부 과학 분야는 엄청난 양의 재료를 손질해야 한다. 재료를 씻고 다듬고 정리하는 데 시간이 워낙 많이 걸려 정작 요리를 할 시간이 부족할 정도다. 나중에 요리를 할 때 필요한 재료를 골라서 빨리 가져 ... ...
- [SW 기업 탐방] 라온스퀘어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몇 달 전, 쇼핑몰 로비에서 친구를 기다리던 기자는 사람들이 모여 깔깔거리는 모습을 봤다. 그들은 이상하게도 허공에 팔을 휘저었다…. 가까이 가 보니 높이 설치된 대형 스크린이 있었다. 팔을 재빨리 휘두르면 화면 속 두더지를 잡을 수 있는 게임이었다. 화면에 푹 빠진 기자는 두더지 뒤에 나 ... ...
- [동아리탐방] 특별한 경험을 선물받다! 인천당하중 ‘당찬’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차를 타고 가다가 누구나 신호에 한 번 걸리면 왜 자꾸만 신호에 걸리는지 의문을 품은 적이 한 번쯤 있을 거다. 대체 신호체계가 어떻게 돼 있기에 이런 건지, 지금의 방법이 가장 효율적인 건지 궁금하기만 하다. 인천 당하중의 수학동아리 ‘당찬’의 학생들은 이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꼬박 5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