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이
간격
여가
틈새
거리
겨를
짬
d라이브러리
"
틈
"(으)로 총 1,029건 검색되었습니다.
[(구)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우리는 누리호 대신 컵을 쏘아 올리자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가능하다”는 팁을 전했습니다. 영상 속에서 위쪽 컵을 빠르게 회전시킨 행동이 컵 사이
틈
이 일정하도록 도왔던 거죠. 기자는 과연 이들의 도움을 얻어 챌린지에 성공할 수 있었을까요? 영상을 통해 확인하시죠 ... ...
[기획] 13억 상금이 걸린 문제가 약해가 2개라고? 나비에-스트로크 방정식
수학동아
l
2022년 07호
차가워! 인사하는
틈
을 타 물총을 쏘다니. 나도 쏠테다!피융~ 피융~ 피융~ 물이 도넛 모양으로 나가는 내 물총을 받아라!가만, 도넛 모양 물방울이라....이거다!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N-S 방정식)’을 풀 비밀!우리 빨리 연구실로 가자. 아무래도 놀라운 발견을 한 것 같아! ▼ 이어지는 기사를 ... ...
[기획] 탈원전 5년에 바스러진 원자력 생태계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취임하며 원자력 정책이 탈원전에서 탈 탈원전으로 다시 뒤바뀌었다. 교차하는 정책
틈
에서 통계 데이터 속 숫자가 아닌, 살아 숨 쉬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았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탈원전 5년에 바스러진 원자력 생태계Part1. 떠난 자리에 남은 사람들Part2. 시대에 휘둘린 ‘정치적 ... ...
미개방 동굴에서 박쥐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햇빛이 내리는 스카이라이트를 가리켰다. 동굴 안 스카이라이트는 동굴이 무너진
틈
으로 햇빛이 보이는 장소를 말한다. 언제 동굴이 무너질지 모른다는 말에, 참가자들의 설레는 마음은 미묘한 긴장감으로 바뀌었다. 빛 한줄기조차 사라진 순간동굴에 들어서자 습하고 차가운 바람이 불어왔다. ... ...
질문하면 답해 ZOOM!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유리처럼 표면이 너무 매끄러운 곳은 큰 마찰이 일어나지 않고, 그래핀이 박힐 만한
틈
도 없어요. 그래서 연필의 흑연이 묻어나오지 않아 글씨를 쓰기 어렵답니다. Q 왜 내가 듣는 내 목소리랑 녹음해서 듣는 목소리랑 다르게 느껴지나요? 김승주(sjtree7) A 내가 듣는 내 목소리와 녹음된 내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로봇 군단의 탄생을 막아라!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6호
”프로보가 전기총을 마구 쏘아 포위망에 구멍을 뚫었습니다. 프로보와 딱지는 그
틈
으로 재빨리 도망쳤습니다.“넓은마음님을 찬양하라! 적을 쫓아라!”로봇들이 프로보의 목소리로 외치며 쫓아왔습니다.“셔틀로 가서 해롱 호에 지원을 요청하자!”추적을 따돌리고 나자 프로보가 말했습니다.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6호
그럼 휴지 끝을 따라 물이 스며 올라오는 것을 볼 수 있을 거예요. 휴지 사이 작은
틈
들이 모세관 역할을 해 물이 위로 올라오기 때문입니다. ‘모세관 현상’은 이름처럼 가느다란 관(모세관)을 따라 액체가 오르내리는 현상이에요. 모세관 현상은 액체끼리 서고 끌어당기는 힘인 응집력, 관에 ... ...
[수학 기자의 책장] 이렇게 재미있는 수학 봤어?
수학동아
l
2022년 05호
개념이 나타났는지 그 유래와 흐름을 알려 줘요.책 중간에 있는 4컷 만화 덕분에 지루할
틈
도 없어요. 여러분도 이 책을 읽고 수학과 친해질 수 있길 바랍니다 ... ...
[이달의 식물사연] 열대 숲을 밝히는 핑크 랜턴
과학동아
l
2022년 05호
붙어 살아가는 식물을 뜻한다. 메디닐라 마그니피카는 대부분의 난초처럼 나무의 갈라진
틈
이나 나뭇가지들 사이에 붙어 자란다. 보통의 난초와 차이점도 있다. 난초는 뿌리의 벨라민 층이 수분을 저장하고 다른 나뭇가지를 붙잡아 지탱한다. 벨라민 층은 난의 뿌리에 있는 스폰지 형태의 층으로, ... ...
한국 유일의 시추 시설, 동해 가스전의 불꽃이 꺼졌다
과학동아
l
2022년 04호
부피가 좁아지면 내부에 갇힌 액체나 기체 등의 압력이 과도하게 높은 상태가 돼 작은
틈
으로도 블로아웃이 일어날 수 있다. 방어 구조가 자리한 동해 울릉분지 일대에서 이상 고압대는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울릉분지 남서쪽에 위치한 돌고래 구조가 대표적이다.물론 이상 고압대 지역에서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