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사이
틈
거리
여유
트집
틈바구니
d라이브러리
"
틈새
"(으)로 총 229건 검색되었습니다.
꿈을 담은 피규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2호
굳으면서 원형의 모습을 정교하게 복제해 내는 장점이 있어 성형수술이나 유리창
틈새
를 메꿀 때도 쓰이지요!③ 실리콘 틀에서 원형 조각 빼 내기틀을 반으로 갈라 조각을 살~짝 꺼내요.④ 레진으로 복제하기레진은 굳으면서 매우 딱딱해지는 성질이 있어요. 그래서 치과에서 이를 만들 때도 많이 ... ...
흠집 스스로 고치는 탄소구조체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툭 불거져 나오는 형태가 된다. 그런데 입체 구조 위에서는 전혀 다른 일이 벌어졌다.
틈새
에 끼어든 입자가 사방에 압력을 가해 결정을 만드는 입자간 거리가 재조정된 것이다. 그 결과 원래 있던 흠집이 ‘스스로’ 사라졌다.연구팀은 “각광받는 전도체인 그래핀에는 항상 결점이 있어 ... ...
스스로 집 찾아가 에너지 채운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여간 고마운 게 아니다. 최근에 나오는 로봇청소기는 문턱도 쉽게 넘고 가구
틈새
까지 청소할정도로 기능이 좋아졌다. 그런데 요 녀석, 로봇이라고 불러주지 않을까봐 보면 볼수록 신기한 게 있다. 방전되기 전에 알아서 충전기에 ‘탁’ 가서 충전하는 것이다. 배터리가 부족할 때마다 케이블에 ... ...
양날의 칼, 나노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그물 짜서 태양 에너지 잡는다 모래는 손으로 쥘 수 없다. 손가락 사이
틈새
가 자그마한(마이크로) 모래를 가두기엔 너무 크기(매크로) 때문이다. 모래를 담기 위해선 모래알보다 더 촘촘한 그물을 써야 한다. 하물며 모래알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작은 분자나 전자를 담으려면 얼마나 세밀한 ... ...
Part 2. 창 대 방패, 미래무기 물리학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수십km 떨어진 잠수함의 프로펠러 소리도 잡아낼 수 있다. 파트1에서 주인공이 소노부이
틈새
를 유유히 탈출할 수 있었던 건 바로 초전도전자기추진 잠수함 덕분이다. 초전도전자기추진선은 프로펠러 대신 자기장과 전류에 의해 발생된 ‘전자유체력’을 추진력으로 이용한다. 선체에 고정시킨 ... ...
빛으로 터지는 폭탄을 막아라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모습을 드러냈다. 커다란 태양 전지판이 클로즈업 되자 면도날 자국처럼 보이는
틈새
가 반짝였다. 그 모습을 지켜보던 은욱이 중얼거렸다.“토머스 영의 이중슬릿…”중첩상태를 깨뜨리려면그 남자는 해킹한 다른 위성을 이용해 현재 낮인 곳의 햇빛을 끌어왔다. 빛의 파장을 폭탄을 터뜨릴 수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예수를 유혹했던 악마처럼 엄청난 힘을 갖고 있다. 만고불변의 진리라 믿는 과학 법칙의
틈새
를 파고 들어 과학자들을 혼란에 빠트린다. 때때로 이론과 이론이 부딪혀 발생하는 모순을 들이밀며 세기의 천재들을 곤혹스럽게 한다. 하지만 유혹을 이겨내면 값진 선물을 주기도 한다. 과학사에서 ... ...
나노 블록으로 미래 에너지 업그레이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감광막 위에 달라붙고, 나노 입자는 감광막의
틈새
중 일정 부분에만 집중됐다. 감광막의
틈새
를 가스 이온과 나노입자로 채우고자 하는 시도가 실패한 것이다.하지만 최 교수는 거기서 포기하지 않았다. 대신, 실험이 왜 실패했는지를 따져보기 시작했다. 가스 이온의 무게가 가벼워 나노 입자보다 ... ...
제5대 국새의 다섯 가지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1호
부피와 똑같은 양의 합금을 넣는 것이 아니에요. 합금이 식는 동안 단단하게 잡아 주고
틈새
를 꽉꽉 메울 수 있게 눌러 주는 탕구와 압탕을 만드는 데도 사용한답니다. 4 국새가 4조각 났다?제5대 국새가 ‘댕강’하고 네 조각으로 잘렸어요. 하지만 너무 놀라진 마세요! 국새를 만든 뒤, 똑같은 ... ...
해양관측 바다를 보면 OO 이 보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바다 속 화산, 해저열수광상열수광상은 화산 활동이 활발한 곳에서 해저 지각의
틈새
를 따라 들어간 바닷물로 인해 만들어져요. 해저로 스며든 바닷물은 마그마의 열에 의해 섭씨 약 400℃로 뜨거워져 금속들을 녹이고, 이와 함께 섞여 ‘광액’이 돼요. 이런 광액이 점차 많이 모이면 압력이 높아져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