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시인
감시원
망보기
감시자
파수꾼
감시
경계
d라이브러리
"
파수
"(으)로 총 93건 검색되었습니다.
2. 식품의 신선도 감시하는 바이오
파수
꾼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공진 원판(압전소자)에 흡수되면 원판의 질량이 증가해 공진 주
파수
가 감소하므로 이 주
파수
를 측정해 냄새를 인식한다.사람의 혀를 모방한 인공혀도 이제 시작단계에 있다. 전자코가 기체에 대해 적용되는 바이오센서인 반면에, 전자혀(인공혀의 전단계)는 고체와 액체에 적용되는 바이오센서다. ... ...
디지털 저작권 지키는
파수
꾼 워터마킹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증명할 수 있다.이렇듯 디지털 워터마킹은 인터넷이 생활화된 현대에 저작권의 ‘
파수
꾼’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몇가지 우려의 목소리도 그냥 지나칠 수 없다.그 첫번째 문제점은 디지털 저작물의 재구성을 완전히 차단시켜 창작의 가능성을 제한한다는 것.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라고 하지 ... ...
보물 찾아 떠나는 거울나라 여행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그런데 성문으로 들어가려는 이들 앞에 도깨비가 나타났다. 그 도깨비는 성문을 지키는
파수
꾼이었다.도깨비는 이들에게 성 안으로 들어가려면 동전을 넣어도 사라져버리는 저금통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는 모험이와 슬기에게 몇가지 재료를 던져주고 사라져 버리고 만다. 과연 어떻게 ... ...
몸을 던지는 환경
파수
꾼 그린피스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코끼리의 위턱에서 앞으로 뛰어나온 앞니(상아)처럼 알류산열도는 알래스카에서 태평양으로 쭉뻗어 있다. 그 끝머리쯤 앰치카섬이 있는데, 중앙해령이 통과하는 지역으로 지진이 많이 발생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원자력위원회(AEC)는 1965년부터 이곳에서 지하핵실험을 실시해왔다.1969년 10월 ... ...
Ⅱ. 밀레니엄 프런티어와의 만남 : 2. 네트워크 보안전문가 김창범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그는 네트워크 보안 전문가는 물리적인 힘이 지배할 수 없는 곳인 가상공간에서 정의의
파수
꾼이 될 수 있다며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길 바랬다. 선진국이 본격적인 보안 관련 소프트웨어 시장을 형성한 것은 3-4년 밖에 안된다. 또 정보보안 분야의 소프트웨어는 다른 소프트웨어보다 ... ...
건강
파수
꾼 침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맛있는 음식을 떠올리면 입에 침이 돈다. 수영복 차림의 미인을 쳐다보는 남자의 입에도 침이 돈다고 한다. 더러움이나 증오를 표시할 때는 침을 뱉는다. 아이들은 자기의 소유를 분명히 하기 위해 ‘침을 발라 놓았다’는 표현을 한다. 담배꽁초에 묻은 침으로 범인을 알아낼 수도 있다고 한다. 침 ... ...
나무도 감정을 느낀다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일정 속에서 참가자들은 낯모르는 새 친구를 사귀며 함께 사는 세상을 배우고 환경
파수
꾼으로 변모해간다. “여러분! 숲길을 거닐 때 왜 기분이 상쾌할까요?” 숲과 대기에 대해 강의하던 전의찬 교수(동신대 환경공학과)는 너무나 당연해서 한번도 의심해보지 않은 질문을 던진다. 벌써 이틀을 지낸 ... ...
아래아 한글 살린 국민운동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사건은 ㅎ·ㄴ글이 단지 수많은 소프트웨어 중의 하나가 아니라 한글 문화를 지키고 있는
파수
꾼이라는 사실을 일깨워준 것이다.한글 지키기시장에 적응하지 못하면 퇴출돼야 한다는 자유경쟁 시장원리와 국제적인 환경을 수용해야 한다는 기술편의주의적 발상이 판치는 상황에서 ㅎ·ㄴ글 사건은 ... ...
지구를 위협하는 소행성, 혜성 충돌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년 지구에 떨어진 거대한 운석이 두개의 도시와 60만명의 인명을 앗아가고, 그 결과 '우주
파수
대 계획'이라는 우주감시 시스템이 건설된다는 내용이다.1979년에는 '지구의 대참사'(Meteor)라는 영화가 만들어졌다. 숀 코넬리, 나탈리 우드와 같은 호화배역진에 감독은 '포세이돈 어드벤처'(1972)로 이미 ... ...
타이타닉호가 탄생시킨 수중음향학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상관 관계는 미네르트(Minnaert, 1933)에 의해 밝혀졌다. 공기방울의 반지름과 공진주
파수
의 곱은 3.3 정도. 예를 들면 반지름이 1 mm인 공기방울의 경우 약 3.3 kHz의 소리를 매우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해양에서는 1 mm 또는 그보다 작은 많은 공기방울들이 존재하며, 이들은 3 kHz 이상의 ... ...
이전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