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늘"(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사 극장] 홍대용은 조선의 코페르니쿠스 였을까?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지구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기존 천동설에 위협을 가한 ‘가설’이었다. 천동설에서 하늘의 중심에 있었던 지구를, 지동설에서는 태양 주위를 도는 다른 행성들과 동일한 수준의 행성으로 취급했다.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에서 지구는 스스로 돌면서(자전), 동시에 태양의 주위를 돌았다(공전). ... ...
- [인포그래픽] 금속질 소행성에서 자원 캐낸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지구를 파고, 깎고, 긁어내던 인류가 까만 밤하늘을 올려다보기 시작했다. 지구에서 자원을 캐내는 것보다, 우주에서 가져오는 시대를 상상하면서. 그중 금속질(M형) 소행성은 값비싼 금속 자원이 매장돼 있으리라 추정된다. M형 소행성 ʻ16 프시케’에 매장된 자원과 소행성 채굴 아이디어를 정리했다. ...
- [5년 후, 과학은] 하늘까지 자율비행하는 미래 열까, 객체탐지 기술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침해 문제에 대한 사회적제도적 논의가 앞으로 더욱 중요해지리라 생각됩니다.땅에서 하늘로, 모빌리티의 혁신은 계속된다 현재 저희 연구실은 양자컴퓨팅 기반의 AI딥러닝 기술을 활용해, 고속 자율주행 중인 상황에서 3차원 시각 정보를 실시간 처리하는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 ... ...
- [인터뷰] 헤일메리 과학굿즈 작가 “우주와 인간 문명이 만나 우연히 만들어지는 로맨틱한 이야기를 좋아해요”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떠 있는 행성을 연상시켰죠. 제품 설명에는 아래와 같은 말이 적혀 있었습니다. “하늘을 올려다보는데 문득 생각이 들었습니다. ‘행성의 궤도는 원이 아니야. 어, 이거 조금 위로가 되지 않나’ 16세기까지 천문학자들은 행성이 완벽한 원을 그리며 돈다고 생각했어요. 그것이 조화롭고, ...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누워있는 행성이 있다?! 천왕성은 밤하늘에서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먼 태양계 행성이에요. 망원경으로 관찰하면 푸른색 점처럼 보이지요. 천왕성에서 지구까지는 매우 멀어 태양계 탐사선 보이저 2호만 1986년 유일하게 천왕성을 스쳐 지나갔어요. 천왕성은 스스로 도는 자전축과 태양 주위를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햅틱, 월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있답니다. 달은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해요. 대신 태양에서 오는 빛을 반사해 밤하늘을 밝게 비추지요. 달은 태양과 지구 사이 어디에 위치하냐에 따라 우리에게 다른 모습을 보여줘요. 뉴스에서 종종 일식, 월식이라는 용어를 들어봤을 거예요. 여기서 ‘식(蝕, eclipse)’은 하나의 천체가 다른 ... ...
- [화보] 2023 시에나 드론 포토 어워즈 ' 멀리서 바라볼 때'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떨어져 전체를 바라볼 때 비로소 보이는 또 다른 경이로움이다. 여기, 드론을 이용해 하늘 위에서 새로운 아름다움을 담은 2023 드론 포토 어워즈 수상작 일부를 소개한다. 수상작은 11월 19일까지 이탈리아 산 갈가노 수도원에서 열리는 ‘Above us only sky’ 전시회를 통해서도 감상할 수 있다. 드론 포토 ... ...
- Part1. 별 탄생의 순간을 엿보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번째 GO 프로그램인 ‘사이클 1’이 진행됐다. 말이 쉽지, GO 프로그램에 선발될 확률은 ‘하늘의 별 따기’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과학 정책 그룹 책임자인 크리스틴 첸은 “이번 GO 사이클 2에 52개국 5450명이 넘는 과학자들이 1600여 건의 제안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적외선으로 성간 먼지 ... ...
- [특집]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관측 1년, 우리가 알던 하늘을 바꾸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특집]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관측 1년, 우리가 알던 하늘을 바꾸다Intro. 천문학의 새 시대를 연 제임스웹, 발사에서 관측까지Part1. 별 탄생의 순간을 엿보다Part2. 외계행성의 숨결을 맡다Part3. 적외선의 눈으로 태양계를 보다Part4. 가장 먼 곳의 붉은 은하를 찾다Part5 ... ...
- Part4. 가장 먼 곳의 붉은 은하를 찾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이들 초기 은하를 찾아낼 수 있다. 천문학자들은 앞서 허블 망원경이 관측했던 하늘을 제임스 웹의 근적외선카메라(NIRCam)로 다시 살펴봤다. 이 관측은 제임스 웹으로 초기 우주의 광활한 영역을 훑어보는 ‘우주 진화 초기 방출 과학(CEERS・Cosmic Evolution Early Release Science)’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