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저"(으)로 총 701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체스판이 어긋난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약 9000만 년 전 남극이 우림 지대였다는 증거를 찾았어요.연구팀은 지난 2017년 2월, 해저 드릴 장비를 이용해 서남극의 아문센해 바닥에 쌓인 9300~8300만 년 전 중생대 백악기의 퇴적물을 채취했어요. 이 지층을 단층 촬영하니 뿌리와 다양한 꽃가루, 포자 등 온대우림에서 자라는 식물들의 잔해가 ... ...
- [가상인터뷰] 기름 잡으러 폴라리스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음파로 위치를 파악하는 ‘소나’ 기술을 활용하거든. 나는 소나 장치로 음파를 쏘아 해저지형이나 빙하에 부딪혀 돌아오는 시간으로 내 위치를 알아낸단다. Q 지금은 무얼 하고 있어?A 몬테리만해양연구소는 우주홀해양연구소와 함께 북극 바다에 나를 투입해 유출된 기름을 찾아내는 프로젝트를 ... ...
-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환경에 살든 바이러스 또한 그곳에서 살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높은 온도로 들끓는 해저든, 산성도가 높은 환경이든, 방사선이 과다한 곳이든 말이다.몇 가지 예를 들어보자. 2014년 그레고 리 딕 미국 미시간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수심 약 1800m, 온도 약 260도의 심해 열수구에서 바이러스 ... ...
- [팩트체크] 모르고 먹는 미세플라스틱, 몇 개나 되는지 확인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이상의 미세플라스틱 양을 추정한 값”이라며 “반면 세계자연보전연맹의 조사 결과는 해저에 묻혀있거나 해수면에 떠다니는 부유물을 모두 포함해 해양에서 해마다 추가되는 전체 미세플라스틱의 양을 추정한 값이라 차이가 크다”고 설명했습니다. 김 교수팀은 2015년부터 5년간 국내 연안과 ... ...
- 오리온의 겨드랑이 별 '베텔게우스' 에 대한 궁금증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원소가 지구로 전달됐다는 뜻이다. 독일 뮌헨공대 연구팀은 2004년 약 280만 년 전 지층인 해저 망간단괴에서 60Fe의 양이 비정상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이것이 지구로부터 약 10pc(파섹·1pc은 3.26광년) 떨어진 곳에서 초신성 폭발이 일어났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피지컬 리뷰 ... ...
- 수학 못하면 용접이나 하라고? 용접하려면 수학이나 배우고 와!수학동아 l2020년 03호
- 당연한 줄 알았지만 사실은 용접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산업 분야를 살펴볼까요? 해저산업2020년 1월 20일, 잠수함 ‘알루고로’가 인도네시아 역사상 첫 수심 250m까지 잠항에 성공했다. 이 성공의 배경에는 우리나라의 용접 기술이 있었다. 잠수함을 만들 때 가장 치명적인 결함으로 꼽히는 부분이 ... ...
- 제주에서 바닷바람을 느끼다...과학동아 에너지 원정대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말했다. 2017년 9월 탐라해상풍력발전단지 완공 이후 해양수산부가 연간 네 차례씩 해저 생태계를 조사하고 있고, 현재까지는 남방큰돌고래가 관측되는 등 생태계 이상 징후는 발견되지 않고 있다. 블랭킷은 오히려 어류의 서식지 역할을 했다. 결과적으로 해양 생태계가 더 풍부해진 것으로 ... ...
- [한페이지 뉴스] 대왕고래가 지상 최대 동물에 등극한 비결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나타났다. 크릴새우처럼 작은 먹이를 흡수하듯이 섭취하는 대왕고래는 몸집이 크지만, 해저에서 어류를 사냥하는 이빨고래는 상대적으로 몸집이 작았다. 일반적으로 육상동물은 몸집이 클수록 큰 먹이를 섭취한다고 알려졌는데, 고래는 반대였다. 연구팀은 몸집이 큰 고래일수록 먹이 사냥의 ... ...
- [과학뉴스] 태양계 탐사할 수중 로버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얼음 밑에 바다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에요. NASA는 얼음과 바다가 만나는 곳이나 해저에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브루이를 훈련시키고 있지요.브루이는 길이 1m 정도로, 물에 뜨도록 설계됐어요. 두 개의 바퀴가 있어 얼음 밑에 달라붙어 굴러다니며 탐사하지요. 바퀴 축에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내 마음대로 둥둥 뜨는 잠수부를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출신의 사업가, 빅터 베스코보예요. 그는 지난 5월, 2인승 잠수정 ‘리미팅 팩터’를 타고 해저 1만 927m까지 내려가는 데 성공했답니다. 가장 높은 산인 에베레스트를 거꾸로 꽂아놓은 것보다도 2000m를 더 내려간 거죠.그가 도전을 시도한 곳은 지구에서 가장 깊은 바다로 알려져 있는 ‘마리아나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