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즈막한 담장
벽
윗부분
가드레일
어린이과학동아
"
난간
"(으)로 총 94건 검색되었습니다.
발자국 - 180813 - 3
탐사기록
l
20180813
1차 산란후 뒷편에 둥지를 지어서 2차산란을 함둥지가 약간 어슬퍼보였음둥지에 아기제비 2마리 있음처음엔 못날아간 아기제비인줄 알았는데조금 있으니 어미 제비가 날아왔음에미제비에 반응하여 2마리가 입을 벌림아기 제비들이 여려보임둥지가 앞면이 낮아서인지 옆으로 앉아있음어미제비는
난간
에서 지켜보고 있음성지3길 37 ...
발자국 - 180716 - 1
탐사기록
l
20180716
한 나무에서 20마리 정도가 우화를 하네요.며칠간 10마리씩 정도 우화를 했는데오늘은 정말 많아요.짧은시간에 30마리 이상 우화하는 매미를 발견8:30분~10:30분까지급하니
난간
이나 계단에서 우화중인 매미 발견 ...
건담패밀리 - 180511 - 1
탐사기록
l
20180511
외출했다가 집에 왔는데 새소리가 유난히 크게 들려서 베란다에 가보니, 베란다
난간
에 직박구리 한 마리가 앉아 있네요.날아갈까봐 조용히 관찰하다가 소리도 녹음하고 싶어 폰을 드는 순간 날아가버려서 너무 아쉬웠어요. ...
서울 성북구 라이노비틀즈 20180129 집 앞
난간
에 새 모이통 달기
탐사기록
l
20180129
새가 앉을 때 방해될 것 같아 포기했어요.. 옷걸이를 구부리는 모습.1차로 시도했던 모습. 고리가 너무 작고 위치가 잘못되어
난간
봉에 걸리지도 않고 빠질 듯했던 상황1차 시도 때 신문지를 깔기 전 상태11시 30분에 걸었는데, 어떤 새가 언제 얼마나 날아올까요?우리 동네에는 직박구리가 많은 것 같은데. . . 직박구리가 ...
퍼핑빌리에 대하여
기사
l
20180117
원화 (\)으로 약 10만원이다. 이 퍼핑빌리 열차를 타는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것이 뭐냐면, 기관차
난간
과
난간
사이에 발을 넣고
난간
을 손으로 꽉 잡고 바깥 풍경을 보는 것이다. 그러면 바깥 풍경이 더 잘 보인다. 창문으로 얼굴을 내밀어서 옆 칸을 슬쩍 봤더니 그 사람들 거의 모두가 그렇게 하고 있다. ...
[추리문제-문제편] 추리 퀴즈입니다 추리모둠 모여주세요!
포스팅
l
20170825
귀에 이어폰을 끼고 라디오를 들으며 강물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배를 저어가고 있었습니다. 다리 아래 50미터쯤에 이르렀을 때 다리
난간
앞에 두 사람이 서있는 것이 보이더군요. 그 중 한 명이 서미애 같아 유심히 살펴보았습니다. 다른 한 명은 남자였는데 검은 양복에 어울리지 않는 노란 넥타이를매고 있었죠. 저는 남자가 서미애를 떠미는 것은 보지 ...
[서울 아침우주네] 170625-4
탐사기록
l
20170625
빌라 좁은
난간
에 있네요 옆의 제비들하고는 서로 안친해요 ...
서울성북라이노비틀즈.20160624.새~~
탐사기록
l
20160624
허둥거렸거구요. .새끼가 그속에서 너무 당황하는것같아 방충망을열고 포충망으로 잡아
난간
에 내려줬어요.^^ 곧 엄마아빠새가 왔고요. 지금도 아기새는
난간
에 앉아 있어요. 이새가 직박구리 맞나요?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7회 김포장릉을 다녀오다 추존원종과 인헌왕후 이야기: 선조의 삐뚤어진 자식사랑
기사
l
20160424
상황에 따라 융통성있게 상설한 점 또한 조선왕릉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겠다. 원종의 혼유석 인헌왕후의 혼유석 병풍석과
난간
석도 없이 단지 호석으로만 둘러져있는 봉분의 모습이 낯설다. 바래고 깨진 호석은 물론이고호석들 자체의 높낮이도 맞지 않았다. 하지만 처음부터 이랬는지 아니면 추후 보수한 부분인지 궁금하다. 호석의 깨진 부분에 쐐기돌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6회 파주 삼릉을 다녀오다 순릉: 인수 왕대비의 "옥 같은 마음의 며느리 " 공혜왕후 이야기
기사
l
20160420
것 같다. 제2기의 상설에 따르면 병풍석이 있어야 하는데 순릉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전 세계에서 오직 조선왕릉에서만 볼 수 있는
난간
석이 봉분을 애워싼 모습. 주변의 석양과 석호가 든든히 지켜주고 있다. 대체로 석호와 석양은 작은 편이다. 그만큼 섬세한 표현보다는 심플하게 조각되어 있다. 내가 좋아하는 석호는 뭔가 무뚝뚝한 표정인데다 그 윤 ...
이전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