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음파"(으)로 총 1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버워치에 대하여기사 l20170526
- 용검을 쓰는데요, 용검을 쓰면 '류승룡 기모찌 크라이~!'하며 겐지가 말을 합니다. 그리고 겐지의 형! 한조의 기술입니다. 폭풍활, 음파화살, 벽타기, 다발화살, 용의 일격을 씁니다. 용의 일격을 쓰면 한조는 '와다테큐 크라이~'라고 하네요~ (중략) 영웅 중에서 제가 가장 좋아하는 것은 '라인하르트'입니다. 공격, 방어를 다 할 수 있기 ...
- 전시용 돌고래의 눈물기사 l20170224
- 못하는 좁은 우리 안에서 살아야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그게 끝이 아니에요. 돌고래는 초음파로 대화하는데, 수조가 너무 좁아 초음파를 발사했다간 울림 때문에 엄청난 소음이 일어나는 거죠. 그래서 돌고래들은 수조 안에서 대화도 하지 못합니다. 이래도 집일까요? '프리 윌리'라는 영화 ...
- 내가 제일 좋아하는 귀염둥이 돌고래, 벨루가기사 l20161115
- 멀리 있는 물체도 초음파로 볼 수 있는데요. 과연 현실에서도 벨루가들은 그게 가능할까요? 놀랍게도 벨루가를 비롯한 돌고래들은 초음파 탐지 능력이 매우 뛰어나 앞에 있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 뜻은 진짜 벨루가들도 베일리 같은 능력이 있다는 거죠. 그럼 눈 감고 헤엄칠 수도 있겠군요. 그럼 이제 벨루가의 특징에 대해 ...
- 인공지진과 자연지진, 어떻게 구분할까?기사 l20160517
- 달리 훨씬 자잘하고 폭이 작으며, 지진 초기에만 진동이 큰 것을 알 수 있네요. 마지막으로 인공지진에서는 주로 폭발에 의한 음파가 발생하지만 자연지진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제 자연지진과 인공지진, 어떻게 구분할지 아시겠나요? 그렇다면 마지막으로 문제를 내겠습니다. 아래 지진계에 나타난 두 개의 지진은 각각 자연지진인가요? 인공지 ...
- 16조 현근성근탐험 매미 150815-2 기상0 바람1 소음1 나무숲에서 조금 거리가 있음탐사기록 l20150815
- 16조 현근성근탐험 매미 150815-2 기상0 바람1 소음1 나무숲에서 조금 거리가 있음 음파기록이 약함 춘천 효자동 ...
- 16조 현근성근탐험 매미 150809-2 기상0 바람1 소음1 유지매미 음파기록 전북 완주탐사기록 l20150809
- 16조 현근성근탐험 매미 150809-2 기상0 바람1 소음1 유지매미 음파기록 전북 완주군 화암사 계곡 무더운 날씨 ...
- 16조 현근성근탐험 귀뚜라미 150805-2 기상1 바람2 소음1 20:35 뚜렷한 음파기탐사기록 l20150805
- 16조 현근성근탐험 귀뚜라미 150805-2 기상1 바람2 소음1 20:35 뚜렷한 음파기록 쉴틈없이 바쁜 귀뚜라미 노래 ...
- 모기에 물리면 간지러운 이유는? 긁적긁적~간지러워!기사 l20150727
- 모기를 퇴치하는 방법도 있습니다.모기 퇴치 어플을 설치하면 어플이 사람에게는 보이지도,들리지도 않지만 모기들에게는 들리는 초음파,주파수를 쏘아서 모기를 퇴치하는 방식입니다.3.계피를 이용한 모기 퇴치계피,부직포 주머니를 이용해 모기를 퇴치할 수도 있습니다.계피를 부직포 주머니에 담아 집안 곳곳에 놓아주면 모기가 집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도 ...
- 압전효과에 대하여 압전효과기사 l20150131
- 압전소자가 가장 먼저 사용된 것은 1917년 1차 대전 중 프랑스의 과학자들에 의해 개발된 초음파 잠수함 탐지기입니다. 먼저 초음파 신호를 탐지기에서 발생시키고, 이 신호가 잠수함 등 수중물체에 부딪쳤을 때, 되돌아오는 신호를 탐지하기 위하여 얇은 석영결정을 압전소자로 사용하였다. 이후, 이러한 압전소자의 응용은 폭발적으로 증가하 ...
- 시각장애인을 위한 정보통신기술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기술기사 l20150121
- 까지는 알려주지 못하지만, 주변에 물체가 있다는 것을 알고, 그것을 빛겨 갈수 있게 도와 줍니다. 지팡이 손잡이 부분에서 초음파를 발사해서 물체 인식을 도와 주는 것입니다. 3미터 내 무릅 높이에 위치한 물체까지 인식 가능한데요, 만약 위기상황이 발생하면 지팡이 손잡위에 위치한 진동벨로 경고를 합니다. 무엇보다 앞서 알려드린 오어캠보다 가격이 ...
이전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