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동전선"(으)로 총 102건 검색되었습니다.
- ‘꿈의 소재’ 그래핀으로 만든 초고강도 고성능 케이블동아사이언스 l2018.04.16
- 그래핀-구리 복합구조체 전선 제조 모식도. 그래핀을 고온에서 합성한 뒤에 얇은 구리막을 입혀 만든 구조체로 전선을 만들었다. -K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꿈의 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으로 새로운 개념의 고성능 전선을 개발했다. 기존 구리 전선보다 기계적 강도는 2배 이상이고, 10배 이상의 최 ... ...
- 차세대 M램 소재 개발...전원 꺼져도 작업 내용 날릴 걱정 없다동아사이언스 l2018.04.11
- 자기메모리(MRAM)은 전원을 꺼도 정보가 그대로 남아 있지만 처리속도가 늦어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국내 연구진이 고속 처리가 가능한 자기메모리 개발에 필요한 신소재를 개발했다. 사진은 컴퓨터 개발 초창기 실험적으로 개발됐던 자기코어메모리의 모습. MITRE 제공 컴퓨터를 쓰던 중 갑자기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 초록색 무리에는 오리나뭇잎의 f, 덜 익은 사과의 p, 피스타치오의 t가 있다. 약간 보라색이 섞인 듯한 흐린 초록색이 w를 두고 생각할 수 있는 최고의 색이다. 노란색의 경우 다양한 e와 i가 있으며, 크림색의 d, 밝은 황금색의 y, 그리고 철자의 가치를 ‘올리브색 광채가 나는 놋쇠 같은 느낌’이라고 ... ...
- [출동!기자단] 태양광 LED스탠드를 만들어 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18.01.17
- ※ 편집자주. 적정기술에 관심이 많은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친구들이 서울혁신파크에 위치한 ‘핸즈’를 찾았어요. 적정기술에 대한 설명을 듣고, 에너지를 절약하는 LED 스탠드를 직접 만들어 봤답니다. 현장으로 함께 가 볼까요? 마을을 위한 기술을 연구하는 핸즈 마을기술센터 핸즈의 ... ...
- 버려지는 양파껍질로 전기 만든다과학동아 l2017.12.05
- Pixabay 제공 국내 연구팀이 양파껍질을 이용해 인체에 무해하고 효율까지 높은 압전소자를 개발했다. 김진곤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팀은 인도 카락푸르공대 연구팀과 공동으로 양파 껍질을 사용해 전력 효율이 높은 압전소자를 개발하고 국제학술지 ‘나노 에너지’ 12월호에 발표했다. 압전소자 ... ...
- 테마가 있는 영화 I 어느 여배우의 민낯 ‘여배우는 오늘도’2017.12.02
- # 영화 ‘여배우는 오늘도’ 감독: 문소리 출연: 문소리, 윤영균, 성병숙, 윤초희, 장준환, 윤상화, 전여빈, 이승연 장르: 코미디, 드라마 상영시간: 1시간 11분 개봉: 2017년 9월 14일 관람등급: 15세 이상 관람가 (주)영화사 연두 제공 지난달 25일 열린 제38회 청룡영화상 시상식에는 배우 문소리가 여우 ... ...
- [싱크홀 전쟁]역사가 남긴 인공 싱크홀, 프랑스는?수학동아 l2017.11.28
- 세계는 지금 싱크홀과 맞서 싸우는 중 (1)[일본] 도로가 털썩! 도심 싱크홀, 대처는? (2) [프랑스] 역사가 남긴 인공 싱크홀, 대비는? (3) [독일] 물에 녹아 가라앉는 자연 싱크홀, 대비는? (4) 도심 속 지뢰 싱크홀, 한국은 지금? “1961년 프랑스 파리 인근의 오래된 채석장에서 싱크홀이 발생해 21명 ... ...
- 전기화재 발화지점, 블록체인은 알고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7.11.1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블록체인 기반의 전기화재 발화 지점 분석 서비스를 구축했다고 14일 밝혔다. 작년 한 해 전기화재 발생 건수는 7563건이며 재산 피해액만 627억 원에 달한다. 전기화재의 피해지는 대부분 화재로 소실돼 발화 지점 파악이 어려워 책임 소재를 놓고 법적 분쟁이 빈번하다. 이 ... ...
- 산타크루즈 해변에 맞닿아...해저단층 조사 연구의 최전선을 가다동아사이언스 l2017.10.31
- “아무도 본적 없는 바다 밑 바닥을 조사한다는 것은 매우 즐겁고 흥분되는 일이다. 사회에 공헌도할 수 있으니 더욱 완벽하다_대니 브라더스 USGS 연구원” 샌프란시스코에서 남쪽으로 약 130㎞ 달려 내려오면 아름다운 해변으로 유명한 도시, 산타크루즈가 있습니다. 아름다운 경관과 온화한 기 ... ...
- ‘옴의 법칙’ 190년만에 한국인 과학자가 깼다동아사이언스 l2017.09.22
- 전선에 저항이 달린 모습. 전류의 세기는 전압에 비례하고, 저항엔 반비례한다는 ‘옴의 법칙’에 위배되는 금속을 국내 연구진이 처음으로 발견했다. 옴의 법칙이 나온지 190년 만의 일이다. - 위키미디어 제공 옴의 법칙에 위배되는 물질이 190년 만에 나왔다. 국내 연구진이 특정 금속에서 옴의 법 ... ...
이전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