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몽상
상상
환상
백일몽
가상
추측
망상
뉴스
"
공상
"(으)로 총 140건 검색되었습니다.
해리포터 속 괴물 거미가 나타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11
spider)의 주인공 미스스파이더(miss spider)도 신종 거미에 이름을 빌려주었다. 미국의
공상
과학과 판타지 소설가 하워드 필립스 러브크래프트의 단편 소설에 등장하는 창조의 신으로서 사람의 얼굴을 가진 거미로 묘사됐던 ‘아트라츠나차’ (atlachnacha)도 이번에 발견된 신종 거미의 이름으로 ... ...
[과학&기술의 최전선]체액서 스스로 헤엄치며 목표 찾아…‘나노로봇’ 암치료 새 희망
동아사이언스
l
2017.12.29
이름을 출력해 붙였다. 영화 ‘스타워즈’에 나오는 전투용 거대 인공위성 이름이다.
공상
과학(SF)물에 나올 것 같이 생긴 이 장비는 손수 만든 3차원 자기장 제어기. 병원에서 볼 수 있는 자기공명영상(MRI) 장비처럼, 고리 모양의 장치에 전류가 흐르며 초당 200번 진동하는 자기장을 고리 안쪽 공간에 ... ...
[초연결 초지능 사회④] 도시의 삶이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30
몸을 싣고 목적지까지 이동한다. 레고로 재구성한 스마트시티의 모습. 이처럼
공상
과학영화(SF)에서나 일어날 법한 일들은 먼 미래의 일이 아니라 이미 세계 곳곳에서 현실화됐다. 바르셀로나 보른지구와 같이 고도의 정보통신기술(ICT)이 네트워크화 된 초연결사회를 공간화한 도시를 ‘스마트 ... ...
SF포럼 “상상하라, 그 상상이 현실이 되지 않더라도”
동아사이언스
l
2017.11.04
SF’전이 SF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사랑방이 되었다. 4일 이곳을 찾은 김서환(18)씨는 “
공상
과학, 판타지 소설을 좋아해 틈틈이 소설을 써보고 있다”며 “SF소설 작가와 과학자가 이야기를 나누는 걸 듣고 싶어서 찾아 왔다”고 말했다. SF(과학 소설)축제는 과학적 상상력을 자극하고, 국내 SF ... ...
영화 ‘유리정원’ 처럼 사람에게 엽록체 이식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0.27
‘유리정원’엔 인공체를 이용한 인공혈액을 개발하려는 과학자가 등장한다.
공상
과학(SF) 속에나 등장할 법한 이야기로 보이지만 실제로 바다 생태계엔 산호나 도롱뇽처럼 엽록체를 몸속에 지니고 있어 광합성이 가능한 동물이 일부 있다. - 리틀빅픽쳐스 제공 엽록체를 가진 인공혈액을 연구하던 ... ...
힘센 모델들, 삼층 쌓고 휴식하는 여성들
팝뉴스
l
2017.09.14
숲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다. 한 사람은 책을 보며 한 사람은 차를 마시고 남은 한 사람은
공상
을 즐기는 것 같다. 특이한 점은 대단히 힘든 자세를 취하고 있다는 사실. 세 사람은 합체 로봇처럼 하나로 뭉쳤다. 또는 3층 석탑처럼 스스로를 상대 위에 올려 놓았다. 발로 머리로 서로를 버티고 있는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⑬ 독심술이 없는 사람은?
2017.08.05
~6차 의도성을 어렵지 않게 파악합니다. 독심술을 하는 남자. 독심술은 종종 마술쇼나
공상
만화에 등장하는 소재다. 하지만 모든 인류는 상당한 수준의 독심술, 즉 마음 읽기 모듈을 가지고 있다. - Russell-Morgan Print 제공 ● 독심술의 진화 1999년, 진화심리학자 바론 코헨은 이러한 마음 이론이 약 ... ...
육아 로봇이 아이 떨어뜨리면 누구 책임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7.09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문제점들에 대해 제시하는 편집후기(Editorial)가 실렸다. 미국의
공상
과학(SF) 작가이자 과학자인 아이작 아시모프는 그의 소설에서 로봇이 인간을 지배하게 될 상황에 대해 우려하며 ‘로봇공학의 3원칙’을 제시했다. 로봇은 인간에게 해를 끼쳐서는 안 되며 위험에 ... ...
[때와 곳 9] 공중전화 부스: 통화를 사는 곳
2017.06.10
혼자 생각하기를, 우리에게 무전기가 있다면 한밤에도 얘기를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공상
에 빠지곤 했다. 그러고는 이튿날에는 그 흉내라도 내고 싶어서 방과 후 학교 운동장 주변의 양버즘나무 간격만큼 서로 멀찍이 떨어져 마주 서서는 기다란 실로 연결된 야쿠르트 빈 통 두 개를 무전기인 양 ... ...
과학자들이 ‘에이리언’ 찾는 3가지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17.05.19
우주 어딘가에 있을지 모를 지적 생명체도 인간과 똑같은 일을 하고 있을 수 있다.
공상
과학영화에 등장하는 것처럼 우리보다 높은 지적 수준을 가지고 있을지도 모른다. 미국 천문학자 프랭크 드레이크가 고안한 ‘드레이크 방정식’에 따르면 우주에는 지적 생명체가 있는 행성이 대략 1~1000개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