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도덕과학"(으)로 총 19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게시판]'한국판 뉴딜, 성공의 조건' 포럼 外동아사이언스 l2020.10.13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제공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와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한국공학한림원, 대한민국의학한림원은 이달 14일 오후 3시 ‘한국판 뉴딜, 성공의 조건은?’을 주제로 온라인 공동포럼을 연다. 박수경 대통령비서실 과학기술보좌관이 발제를 맡는다. 이후 박영일 강원연구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초파리, 다이너마이트 그리고 해커2020.10.08
- “우리가 보유하고 있는 모든 연구 재료를 개인 혹은 연구공동체와 공유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공유의 대상은 우리가 연구해 왔던 재료뿐 아니라 아직 논문으로 출판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연구자에게 도움이 될 재료들을 포함한다. 논문으로 출판할 때까지 연구 재료를 공개하지 않고 가둬두는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실험생물학의 새로운 도덕경제2020.09.23
- 1979년 록펠러 미팅에서 유전자은행의 설립이 논의되고 나서 이후 1982년 로스 앨러모스 연구소에 유전자은행을 설치하는 역할이 주어지기 전까지 무려 3년의 기간이 걸렸다. 미국이 주춤하던 그 시간에 유럽의 실험생물학자들이 유전자은행의 설립을 주도하기 시작한다. 유럽의 EMBL은 유전자 염기서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유전자은행은 원자폭탄 만든 연구소에서 시작했다2020.09.10
- 월터 고드의 모습. 로스 앨러모스 국립 연구소 제공 “제 생각에 인간게놈 프로젝트의 뿌리는 유전자은행인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유전자은행이야말로 모든 사람에게 유전체계획의 최종산물이 결국은 모두가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라는걸 알게 해줬으니까요.” -엘크 조단,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공공지식은 누구의 소유인가2020.08.27
- 미국립생의학연구소(NBRF)에 재직할 당시의 마가렛 데이호프(왼쪽에서 두번째) 의 모습. 그는 이 곳에서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의 데이터베이스를 20년동안 구축했다. 익스페리멘터스 뮤지엄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떤 제한도 두지 않고 이 데이터를 전 세계 사람들이 사용하도록 했다는 것입니다.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적 인본주의자의 길2020.07.30
- 후베르트 마르클(1938~2015)이 총재로 재직할 당시, 빌헬름카이저연구회가 유대인을 대상으로 인간생체실험을 수행한 사실을 인정하고 사과했다. 막스플랑크학회 제공 “카이저 빌헬름 학회가 나치의 정치적 이념에 동참하고 때로는 적극적으로 그 이념을 실현하기 위해 생체 실험에 동참했다는 과 ... ...
- 쥐들도 인간처럼 '방관자 효과'…방관이 또다른 방관 낳아연합뉴스 l2020.07.09
- 방관하는 쥐 옆에 있을 때 혼자일 때보다 동료 쥐 도울 가능성 작아 Mason Lab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쥐들은 곤경에 빠진 다른 쥐를 도울 줄 알지만 주변에 도움을 주지않고 방관하는 다른 쥐와 함께 있을 때는 도움에 나설 가능성이 작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쥐들도 인간과 마찬가지로 '방관자 ... ...
- 창의재단 이사장 4명 연이은 중도 사퇴…요원한 기관 정상화2020.06.09
- 한국과학창의재단 안성진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이 건강상의 이유를 들어 임기가 1년 넘게 남은 상황에서 사의를 표명한 것을 두고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과학문화 확산과 대중화, 과학인재 육성을 통한 국내 과학기술 발전이라는 미션을 내세운 창의재단이 5년여간 기관장 취임과 사임을 반복 ... ...
- ‘빛 바랜 신화’ 한미약품 '5년간 무슨 일 있었나'동아사이언스 l2020.05.20
- 2015년 11월 초 한미약품은 프랑스 다국적 제약사 사노피와 약 5조원 규모의 당뇨 신약 기술 수출 계약을 발표했다.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는 물론 국민 전체를 놀라게 할 만한 깜짝 소식이었다. 계약 규모도 규모지만 마치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으로 여겨졌던 신약 개발 시장에서 굴지의 다국적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코로나19 이후의 ‘뉴노멀’, 두려워할 이유 없다2020.05.13
- 1960년대는 세계적인 7번째 콜레라 유행의 시기였다. 한국역사연구회/한국사진기자협회 제공 살얼음판을 걷는 기분이다. 정부가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하고, ‘방역 성공’을 선포하자마자 또 일이 터져버렸다. 그렇다고 절망할 이유는 없다. BT(진단)와 IT(추적)를 핵심으로 하는 ‘K-방역’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