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표
그래프
도형
그림꼴
그림
설계도
그림표
뉴스
"
도식
"(으)로 총 10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서문을 읽으면 가슴이 뭉클하다. 격변변광성이 신성 폭발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을
도식
화한 그림이다. 근접쌍성계에서 적색거성 같은 동반성(왼쪽)에서 백색왜성(가운데 네모 안)으로 물질이 유입될 경우 별 표면 온도가 올라가 수소융합반응이 일어나면서 껍질이 폭발한다. 오른쪽은 백색왜성 ... ...
환경오염과 암 문제 한번에 해결하는 화합물 합성
동아사이언스
l
2017.08.28
활성화 반응
도식
. - DG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환경오염’과 ‘암’이라는 두 가지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화합물 제조에 성공했다. 제초제에 포함된 ‘나이트릴 화합물’을 분해하는 생체모방 물질을 세계 최초로 합성했다. 조재흥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교수팀은 상온·상압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소개하며 사람의 경우 좀 더 복잡하겠지만 기본 틀은 유지될 거라는 입장을 밝히며 이를
도식
화한 그림을 실었다. 습도감각은 다른 감각에 비해 아직 밝혀진 게 적다. 곤충의 경우 특화된 습도수용체가 알려졌지만 사람을 포함한 많은 동물에서는 이런 습도수용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대신 ... ...
[과학Dream_3화] 바라나시에서 신의 나라를 만나다
2017.07.01
우리나라의 기주떡(술떡)같은 맛의 쌀로 만든 빵), 으깬 감자, 카레로 구성된 ‘남인
도식
집밥’을 내어주며 싱 교수는 인도 여성들의 과학 교육수준을 높이기 위한 인도 정부•대학 차원의 노력에 대해 강조했다.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2000년 전 과거의 인도에서 여권은 오히려 높았다. 하지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면역계가 우리 몸을 낯설게 느낄 때 일어나는 일들
2017.05.24
미주신경의 신호가 비장으로 전달돼 면역세포(대식세포)의 활동을 억제하는 메커니즘을
도식
화했다. - 네이처 제공 ● 기능의학적 접근도 활발 아무튼 아직까지 이렇다 할 치료법이 없는 상태에서 생활습관을 개선해 증상을 완화하고 더 나아가 치유에 이르고자 하는 움직임도 일고 있다. 미국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수록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
2017.04.11
전기가 깔리면서 사람들이 밤을 빼앗기고 따라서 수면부족에 시달리게 됐다는 기존의
도식
은 학자의 머릿속에서 나온 시나리오였다. 네덜란드의 화가 헤리트 반 혼트호르스트의 1621년 작품 ‘벼룩 사냥’. 당시 사람들은 벼룩과 빈대 같은 기생충으로 숙면을 방해받는 경우가 잦았다. 책에 따르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킬레스건의 재료과학
2017.03.07
발현 패턴을 비교한 결과도 이런 분석 결과와 잘 맞았다. 힘줄뼈부착부위 부근을
도식
화한 그림으로 왼쪽부터 뼈, 경계면(힘줄뼈부착부위), 힘줄이다. 최근 연구결과 힘줄뼈부착부위는 강력한 접착력을 내는데 최적화하기 위해 힘줄과 콜라겐섬유의 구조뿐 아니라 조성도 다르다는 사실이 ... ...
암 잡는 신개념 세포막 치료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2.21
엑소좀을 이용한 세포막 치료
도식
. - KIST 제공 당뇨, 암, 알츠하이머 같은 질병은 세포막 이상 때문에 생긴다. 국내 연구진이 결함이 있는 세포막 자체를 치료할 수 있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김인산 책임연구원(왼쪽)과 양유수 선임연구원 - K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4] 노트북도 이제 배터리로 승부?
2017.01.10
경우로 왼쪽은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 가운데는 투과전자현미경 이미지이고 오른쪽은
도식
적 표현이다. - 사이언스 어디밴시스 제공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2016년 7월 13일자에는 몰리브덴황화물(MoS2)과 CNT로 이루어진 나노구조 음극을 만드는데 성공했다는 싱가포르 난양이공대 연구팀의 ... ...
거대한 원형 돌기둥은 5000년 전 천문대!
수학동아
l
2016.10.08
분석해 어떤 관련이 있는지 통계적으로 밝히려고 한 것입니다. 돌기둥의 위치를
도식
화한 그림 - Chmee 2(w) 제공 그 결과 칼라니쉬 환상열석과 스테니스에 세워진 돌기둥의 위치는 달의 주기에 딱 맞아 떨어졌습니다. 돌기둥이 있는 지역을 반으로 나눴을 때, 각각은 완전히 반대의 형태 이루고 ... ...
이전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