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번영
번창
성공]
뉴스
"
번성
"(으)로 총 164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 대멸종 때 동식물 75% 사라졌지만 상어는 큰 피해 안 봐
연합뉴스
l
2021.08.11
파충류만 잡아먹던 최상위 포식 상어종은 소멸하고 경골어류를 먹잇감을 삼는 상어종은
번성
하는 생태적 변화를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연구는 백악기 말기 대멸종을 전후해 상어의 이빨 형태를 분석한 첫 결과로, K-Pg 대멸종의 영향이 상어에게는 다른 대부분의 척추동물과 ... ...
꿈틀꿈틀, 정체가 궁금한 생명체들
팝뉴스
l
2021.08.09
굉장히 끔찍한 인상이지만 아주 반가운 존재들이다. 수질 관리가 잘 되어서 이렇게
번성
하고 있는 것이다. 사진은 최근 뉴질랜드 캔터베리에 있는 한 자연 보호 단체가 페이스북에 공개한 것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 ...
지구 최악 페름기 말 대멸종 육지서 10배가량 더 지속
연합뉴스
l
2021.04.20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또 다른 동물이 살아남기 위해 사투를 벌일 때 오히려
번성
해 페름기 말 대멸종의 상징적 동물처럼 된 고대 포유류인 '리스트로사우루스'(Lystrosaurus)에 주목했다. 이 동물은 종에 따라 작은 개에서 소 정도 크기의 몸집을 가진 포유류 초기의 초식 동물로 부리와 ... ...
백악기 딱정벌레 배설물이 밝혀준 꽃식물과 곤충 밀월 관계
연합뉴스
l
2021.04.13
꽃식물(종자식물)은 약 1억2천500만년 전 쯤에 분화하기 시작해 꽃가루 매개 곤충 덕분에
번성
하게 됐지만 초기 화분 매개곤충 화석은 드물었다. 영국 브리스틀대학에 따르면 이 대학 지구과학과 연구원이자 중국과학원 '난징 지질·고생물학연구소'(NIGPAS) 교수인 카이천양(蔡晨陽) 박사가 이끄는 ... ...
소빙하기 기회로 삼은 동로마인들... 과거로부터 배우는 '기후탄력사회'는
동아사이언스
l
2021.03.29
네덜란드와 독일 북부에 있던 프리지아인들은 6세기 동물 중심의 생계 전략을 택하며
번성
했다. 이웃이던 프랑크 왕국이 가뭄으로 피해를 보는 사이 프리지아는 생선과 물새, 보리, 귀리 등 추위에 강한 식량원을 찾았다. 17세기 네덜란드 공국은 나무와 같은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는 소재 대신 ... ...
고대도시 폼페이서는 닭·오리 즉석음식 길거리서 팔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7
현재 이탈리아 남부 나폴리만 연안에 있던 고대 도시로 약 2000년 전 로마 제국에서 가장
번성
했던 도시 중 하나였다. 하지만 서기 79년 베수비 화산이 폭발하면서 화산재에 묻혀버리며 사라졌다. 해당 지역에 16세기 수로 공사를 하다가 유적이 출토되면서 본격적인 발굴 작업이 시작됐다. 현재는 ... ...
코로나19로 늘어난 혼술…"간도 망치고 의존력 더해지며 고립감 더해요"
동아사이언스
l
2020.12.24
중독으로 바뀔 수 있다고 경고한다. 결국 중독은 코로나19와 같은 고립 상태에서 더
번성
하는데 음주를 통해 더욱 더 원치 않는 감정을 은폐하기 시작하면서 더 고립감을 만들어내고 우울한 생각이나 자살 충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 ...
[인간 행동의 진화] 점성술과 인플루엔자
2020.11.22
대해 언급한 바 있다. 인류가 한 곳에 정착하고, 농경과 목축을 시작하면서 인플루엔자도
번성
하기 시작했다. 서유럽의 개척자들이 아메리카 대륙을 탐험하면서 아메리카 원주민은 떼죽음을 당했다. 아마도 1493년 유행한 인플루엔자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신대륙에 처음으로 인플루엔자를 가져단 ... ...
[강석기의 과학카페]방역과 자살의 문화심리학
2020.11.10
제공 민주 사회에서 새로운 가치가
번성
할 수 있도록 가장 큰 기여를 하는 것은 기존 견해를 완고하게 붙들고 있는 이들의 사망이다. - 데이비드 싱클레어, ‘노화의 종말’에서 지난 8일 세계 코로나19 확진자가 5000만 명을 돌파했다. 사망자도 125만 명을 넘어섰다. 최근 미국과 유럽에서 2차 확산이 ... ...
"네안데르탈인, 현생 인류와 10만년 넘는 소모전서 패해 멸종"
연합뉴스
l
2020.11.04
인류가 아프리카에서 빨리 나오지 못한 것은 유럽과 아시아에서 이미 네안데르탈인이
번성
하며 현생 인류의 확장을 저지하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네안데르탈인이 중동지역에서 이미 수천 년간 살고 있어 지형이나 계절, 동식물 등에 익숙해 현생 인류와의 싸움에서 전략적 우위에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