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생물
병균
세균
박테리아
미소동식물
여과성병원체
바이러스
뉴스
"
병원균
"(으)로 총 290건 검색되었습니다.
[공감! 과학용어] ⑩MRI, 항생제...의미 제대로 모르고 사용하는 용어들
동아사이언스
l
2022.12.16
의학적 정의는 '미생물을 죽이거나 더 이상 성장하지 못하도록 하는 물질'이다. 체내에서
병원균
을 죽이거나 억제하는 데 사용된다. 소염제는 체내와 체외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원인의 염증을 완화하는 데 사용된다. 스테로이드제는 가장 강력한 소염제다. 조영욱 대한의사협회 학술이사는 ... ...
미국서 ‘뇌 먹는 아메바’에 10대 사망
동아사이언스
l
2022.10.23
높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가뭄 지역에서는
병원균
이 수역에 집중되고 홍수는
병원균
을 토양이나 강물 등에서 집이나 건물로 이동시킨다"면서 "북부 지역 수온이 올라가게 되면 더 많은 감염사례가 나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데니스 카일 미국 조지아대 전염병 및 세포생물학 교수는 ... ...
"롱코비드 환자, 스트레스와 싸우는 호르몬 정상수치 절반에 불과"
동아사이언스
l
2022.08.17
흔적이 발견됐다. 연구팀은 이 같은 관찰 결과를 바탕으로 코르티솔 호르몬이 특정한
병원균
에 대항하면서 감소한 것이라고 추정했다. 연구팀은 “T세포에서 보여진 특징으로 미루어 봤을 때 면역체계가 코로나19나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BV)의 재활성화된 병원체와 싸우고 있는 것으로 ... ...
[첨단과학, 다가올 50년]'눈에 보이지 않는 과학' 나노·양자 연구 곧 실험실 밖에서 만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31
기어 다니는 단일 면역세포도 관찰할 수 있다”며 “이 면역세포가 돌아다니며 상처나
병원균
을 찾는 것도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 교수는 “미래에는 질병을 진단하기 위해 광학기술이 더 폭넓게 활용될 것”이라며 “인간 환자의 조직에서 단일 분자의 고해상도 자료를 얻을 수 있으면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박테리아 신속 식별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6.28
‘토모큐브’가 참여한 이번 연구를 통해 패혈증 사례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총 19종의
병원균
에 대해 99.9%의 정확도로 균종을 식별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했다. 기존에 균종을 식별하던 방법에서 사용했던 샘플의 10만분의 1 수준으로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 ...
모기 탈피 막아 성체로 못 자라게 하는 새 퇴치법 개발
연합뉴스
l
2022.06.16
[Lewis Hun/UCR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지구온난화로 갈수록 더 기승을 부릴
병원균
매개 모기를 완전한 성체로 자라지 못 하게 해 무력화하는 새로운 방안을 찾아냈다. 미국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대학(UCR)에 따르면 이 대학 곤충학자 야마나카 나오키 부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 ...
첫 감염자 나온지 2년 국민 3명중 1명 감염됐는데…남들 하니 이제서야 후유증 조사 첫 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6.10
몸속 어딘가에 숨어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플로스
병원균
’ 지난 5월 26일자에 선공개됐다. 코로나19의 대표적 증상 중 하나인 후각 상실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 미국 컬럼비아대 연구팀은 코로나19 사망자들을 통해 냄새 분자를 감지하는 수용체가 평균보다 ... ...
영 정부 "원숭이두창 감염자, 3주간 반려동물 접촉 피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2.05.29
있다. 유럽질병관리예방센터(ECDC)는 25일 “원숭이두창에 노출된 반려동물을 관리하고,
병원균
이 야생 생태계로의 전파를 차단하는 게 중요하다”고 밝혔다. ECDC는 가능성이 낮지만 사람에게서 동물로 바이러스가 전이될 경우 동물 집단에서 확산하며 풍토병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 ...
신종 감염병 50분만에 진단 키트기술 개발…생명연 "95% 정확도"
연합뉴스
l
2022.05.03
3일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따르면 임은경·김명희 박사 연구팀은 체내로 침투하는
병원균
이 감염통로로 이용하는 단백질 ACE2를 활용해 바이러스 간편 검출 센서를 개발했다. 이 센서는 감염병 바이러스가 ACE2를 모방한 화합물과 결합하면 빛을 발한다.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대상으로 실험한 ... ...
코로나19 바이러스 만나면 빛이 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03
바이오나오연구센터 선임연구원과 김명희 대사제어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병원균
이 체내로 침투 시 감염통로로 이용하는 단백질(ACE2)을 활용한 바이러스 간편 검출 센서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현재 코로나19 진단방식으로 사용되는 PCR 검사는 정확하지만 많은 시간과 고가의 장비가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