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이러스
병독
세균
비루스
뉴스
"
병원체
"(으)로 총 53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대기만성 mRNA백신과 꼭 닮은 과학자의 인생
2023.10.12
비교할 수 있었다. 백신이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면역반응을 유도 할 수 있는 특정
병원체
단백질이 필요하다. 코로나 바이러스에서는 스파이크 단백질이 이런 기능을 한다. 첫 번째 백신 플랫폼인 불활화 백신은 코로나 바이러스 전체를 외부에서 배양한 세포에 감염시켜 불활성화한 후 인체에 ... ...
"임신 중 바이러스 감염, 자녀 자폐 위험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3.09.07
태어난 쥐는 동료 쥐보다 장난감 주변에 머무는 특징을 보였다. 모체가 바이러스 등
병원체
에 감염되면 감염에 대한 면역반응이 일어난다. 면역세포 ‘Th17’에서 면역 단백질인 ‘인터루킨-17a’가 분비되는데 이 단백질이 태아의 뇌세포에 영향을 미쳐 새끼 쥐가 자폐 유사 행동을 보이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육류 알레르기가 드문 이유
2023.08.23
것이다. 두 번째 단계를 통과해 음식물을 삼킨 뒤에도 탈이 날 수 있다. 많은 독소와
병원체
가 감각 정보를 내보내지 않기 때문이다. 그 결과 문제가 생겨 복통, 구토, 설사 등으로 고생을 하면 세 번째 품질관리시스템인 ‘조건화된 맛 혐오’가 작동한다. 어떤 음식을 먹고 혼이 나면 그 맛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감염병과 위생의 중요성
2023.08.22
치명적이라면 감염병을 일으키는
병원체
가 생존과 전파 기회를 잃게 되므로 미생물
병원체
입장에서는 결코 유리하지 않다. 의학지식이 충분치 않던 오래 전에 감염병이 유행한 경우 당시 기록을 토대로 어떤 감염병인지를 추측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기록 부실은 물론 병에 의한 증상이 ... ...
약물 내성 극복하는 ‘항암치료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8.09
질병을 치료하려면 약물을 투여했을 때 약효과가 나타나야 하지만 약물 내성이 있으면
병원체
가 약물에 저항해 살아남기 때문에 효과가 없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약물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항암치료 기술을 개발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9일 유자형 화학과 교수, 곽상규 고려대 ... ...
[과기원NOW] 혈액 속 NK세포 완전 분리 기술, 선천 면역 치료제 상용화 기대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7.21
개발했다. 기존 분리 시스템의 문제점인 세포 스트레스를 최소화했다. NK세포는 암세포와
병원체
의 첫 번째 방어선이자 선천 면역시스템의 중요한 구성요소다. 이를 이용해 만든 면역세포 치료제의 효능을 높이려면 이 세포를 완전히 분리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하지만 NK세포는 스트레스에 민감하고 ... ...
폭염으로 고통받는 지구촌…시체 운반가방까지 동원한 미국
동아사이언스
l
2023.07.20
전해진다. 피닉스 지역병원인 벨리와이즈의료센터는 CNN을 통해 더위의 영향으로
병원체
계가 무너지는 상태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코로나19) 팬데믹 정점 이후, 응급실이 가장 붐비고 있는 상황이라는 설명이다. 병원은 얼음으로 가득 채운 시체 운반 가방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환경 파괴가 불러온 신종 질병
2023.07.11
병원체
가 사람에게 침입하는 것이 새로운 감염병 발생의 가장 큰 이유다. 동물이 가진
병원체
가 최근에 사람에게 전파되어 새로운 감염병을 일으키는 것은 환경 변화가 가장 큰 이유다. 사람과 동물의 서식지가 겹치지 않으면 서로 접촉할 기회가 없을 텐데 자연환경 파괴, 미지의 지역 탐험, 사파리 ... ...
미토콘드리아 부산물로 '병원균' 감염 제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10
찾았다. KAIST는 이승재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미토콘드리아의 부산물을 활용해
병원체
저항성을 제어하는 방법을 찾았다고 10일 밝혔다. 연구팀은 사람과 유전자가 흡사한 선충류의 하나인 예쁜꼬마선충과 인간 세포를 활용했다. 미토콘드리아의 TCA 회로를 구성하는 효소인 아코니타제- ... ...
호흡기에서 바이러스 차단하는 코로나19 백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6.29
외부 항원이 침입하는 주요 경로라는 점에서 점막 면역은 전신 면역반응에 비해
병원체
의 침입에 빠르게 대응해 감염 및 확산을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연구팀은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량된 스파이크 단백질 항원 및 인간 유래 면역증강제(CXCL9)를 탑재한 비강 접종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