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모꼴
트라이앵글
삼변형
세모
뉴스
"
삼각형
"(으)로 총 18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토론 즐겼던 근대과학의 아버지
2019.12.12
궤적은 직각
삼각형
이 된다. 투사체의 대표적인 사례가 포탄이다. 포탄의 궤적이 직각
삼각형
인지 포물선인지는 군사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문제이다. 《두 과학》은 이탈리아에서 출판되지 못하고 네덜란드의 레이덴에서 1638년 출판됐다. 또한 토스카나 대공에게 헌정되지 못하고 로마주재 프랑스 ... ...
[애니멀리포트] 강아지가 조심조심 점프를 해야 하는 이유
2019.11.30
하면 슬개골 탈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슬개골은 개의 뒷다리에 있는
삼각형
모양의 뼈로, 무릎 관절 위에 있다. 슬개골은 무릎을 접고 펼 때 도르래 고랑처럼 생긴 홈을 따라 왔다 갔다 하며 무릎 관절을 보호한다. 사람들의 선호에 따라 개들의 체구가 작게 개량되면서 이 홈의 크기도 ... ...
업그레이드 된 ‘중력파’ 관측... 블랙홀-중성자별 비밀 풀릴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9.20
있는 ‘코스믹 익스플로러’ 프로젝트다. ET는 라이고처럼 L자 형태의 간섭계가 아닌
삼각형
형태의 간섭계를 지하에 구축해 중력파 관측 감도를 높이는 개념이다. 유럽연합(EU) 차원에서 ET 구축을 위한 예산을 검토중이다. 코스믹 익스플로러는 형태는 라이고와 유사한 L자 형태지만 진공 터널의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헬레니즘 시대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셈이다. 즉, 지구-달-태양이 구성하는 직각
삼각형
의 실제 크기는 모르지만 그와 닮음인
삼각형
은 구한 셈이다. 이로부터 지구-태양의 거리가 지구-달 거리의 몇 배인지를 구할 수 있다. 아리스타르코스는 이런 방법으로 지구-태양의 거리가 지구-달 거리의 20배라고 추정했다. 실제 거리비는 약 40 ... ...
'강강수월래하듯 결합' 탄소 원자만으로 만든 가장 작은 고리 분자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9.08.19
데 성공했다. 18개 탄소로 된 고리 분자를 합성하는 과정. 먼저 산소와 탄소로 이뤄진
삼각형
고리 모양의 분자를 만든 뒤, 이를 저온의 염화나트륨(소금)과 구리로 된 환경에서 반응시킨다. 이후 전류를 이용해 일산화탄소를 반복 제거해 탄소만으로 된 고리를 만들었다. 사이언스 제공 연구팀은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야구공은 왜 날아갈까
2019.08.08
본성적인 운동을 한다. 이 모든 궤적을 그림으로 그리면 포탄은 전체적으로 직각
삼각형
의 모양을 따라 운동한다. 이는 우리의 경험과 잘 맞지 않는다. 포탄의 궤적을 정확하게 아는 것은 전쟁을 치를 때 아주 중요하다. 실제 포탄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명을 따라 움직이지 않는다고 해서 ... ...
[프리미엄리포트]빅뱅으로 시작한 우주, 종말이 있을까
과학동아
l
2019.07.13
년 쯤 지나면,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우주 안에는 우리은하와 이웃한 안드로메다 은하,
삼각형
자리 은하 정도만 남게 될 것이다. 시간이 더 흐르면 별을 만드는 재료가 점점 사라진다. 수소와 헬륨은 별이 탄생할 때 쓰였다가 별의 수명이 다하면 일부만 바깥으로 분출된다. 절반 이상은 별의 ... ...
1만배 커진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화이트 그래핀’ 합성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5.23
뜻한다. 육각형 구조인 그래핀을 60도 회전할 때마다 같은 모양이 나오는 6축 대칭이며
삼각형
구조인 h-BN은 120도마다 같은 모양이 나오는 3축 대칭 물질이다. 연구팀은 이 사실에 착안해, 표면대칭성이 낮은 구리 기판을 사용해 단결정의 h-BN을 가로∙세로 10cm의 대면적으로 제조하는데 성공했다. ... ...
[주말N수학] 수학자 다빈치 "수학이 빠진 과학에는 확실성이 없다"
수학동아
l
2019.05.04
앞두고 쓴 노트의 마지막 페이지에서도 면적은 같지만, 밑변과 높이가 다른 네 개의 직각
삼각형
을 작도하는 문제를 풀었습니다. 이 연구는 “수프가 식고 있다”는 말로 끝났지만, 다빈치가 평생 기하학 문제를 고민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학책에 입체도형 그렸다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 ...
안드로메다의 자세한 모습을 사진에 담다…제27회 천체사진공모전
동아사이언스
l
2019.04.08
심우주 분야 금∙은∙동상에는 다섯 작품이 선정됐다. 금상은 오상도 씨의 ‘외계은하
삼각형
자리은하(M33)’가 선정됐다. 아름다운 산광성운들을 많이 가지고 있는 M33은 안드로메다처럼 우리 은하와 가까워 크게 촬영할 수 있다. 특수파장 필터인 Ha필터를 이용해 산광성운들을 더 자세히 촬영했다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