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도
치밀
뉴스
"
세밀도
"(으)로 총 359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인구 99.999%가 기준치 초과 초미세먼지 마시며 산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10
초미세먼지 농도가 '나쁨' 수준을 보인 서울 종로 일대가 뿌옇다. 연합뉴스 제공 세계 인구 80억명 중 99.999%가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안전 기준치를 넘는 초미세먼지(PM 2.5)에 노출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초미세먼지 안전 지대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세계 인구의 0.001%로 10만명 당 1명에 불과하다 ... ...
공기를 전기로 바꾸는 효소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09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공기를 전기로 변환시키는 새로운 효소가 발견됐다. 이 효소를 사용하면 아주 적은 양의 공기로도 전류를 만들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향후 전기 에너지를 확보하는 친환경 기술로 발전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인다. 리스 그린터 호주 모내시대 연구원 연구팀은 극한 환경 ... ...
자율주행차에 쓰이는 '라이다'...미발굴 유적지 찾는 '첨병'
동아사이언스
l
2023.03.06
스페인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대 고고학과 연구팀은 스페인 북서부 갈라시아 지역에서 5~7세기 중세시대 거대 요새를 발견했다. 스페인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대 제공 스페인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대 고고학과 연구팀은 스페인 북서부 갈라시아 지역에서 5~7세기 중세시대 거대 요새를 발견했 ... ...
[박정연의 닥터스] "'싱글셀' 유전자분석으로 가장 정밀한 암 치료전략 세워"
동아사이언스
l
2023.02.20
박웅양 지니너스 대표(삼성서울병원 유전체연구소 소장). 지니너스 제공 2020년 한국 사망자 중 27%는 암이 원인이다. 한 해 암으로 치료받고 있거나 암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사람은 200만 명 이상이다. 매년 새로 암 진단을 받는 사람은 25만 명보다 많다. 3명 중 1명은 일생 동안 한 번은 암과 만나는 ... ...
간호법 제정 의료계 갈등 심화…이필수 의협 회장 “파업 고려”
동아사이언스
l
2023.02.13
간호법저지 보건복지의료연대 13개 단체가 13일 오전 국회 앞에서 총력투쟁 선포식을 진행하고 있다. 대한의사협회 제공 간호사 업무범위와 처우개선 등을 담은 간호법 제정안이 국회 본회의에 직회부되면서 의료계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제정안에 반대하는 보건복지의료 유관 단체들은 연대 파업 ... ...
[주말N수학] 달 궤도선 '다누리' 성공 이끈 정밀제어의 힘은 '수학'
수학동아
l
2023.02.11
Space Math는 미국에 기반을 둔 스타버스트는 우주 항공 분야의 스타트업을 전문적으로 발굴하고 지원하는 기업이다 Space Math 제공 ‘자동차는 문제가 생기면 길 위에 서 있으면 되고 배는 물 위에 떠 있으면 된다. 그러나 비행기는 하늘에서 문제가 생기면 언제든 추락할 수 있어 큰일이다. 그래서 어 ... ...
코로나로 뜬 원격진료...피부질환 분야 '눈부신 발전'
동아사이언스
l
2023.02.10
피부 질환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글로벌 대유행을 계기로 주목받은 원격의료가 피부질환 진단에서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텔레더마톨로지(원격피부질환진료)'로 불리는 새로운 분야로 자리잡으며 의학계에서 관련 연구가 쏟아 ... ...
집적도 올려 정보 처리·저장 동시 수행 뉴로모픽 반도체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08
왼쪽부터 한국재료연구원 김용훈 선임연구원, 권정대 책임연구원, 부산대 이제인 교수, 한국재료연구원 박병진 학생연구원. 재료연 제공 국내 연구팀이 기존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와 달리 정보 처리와 저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소자를 개발했다. 뉴로모픽은 사람 뇌를 모사해 전력 소모 ... ...
‘사랑의 호르몬’ 없어도 애착관계 형성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8
'사랑의 호르몬' 옥시토신을 차단한 후 애착관계 유지를 확인하는 실험에서 사용된 프레리 들쥐. 나스타시아 굿윈 제공 뇌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는 옥시토신은 ‘사랑의 호르몬’이라고 불린다. 감정을 조절하며 타인과 애착관계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인간뿐만 아니라 동물도 짝 ... ...
'다누리'에 실린 NASA 카메라 촬영 달 남극 사진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2
한국 달 탐사선 다누리에 탑재된 NASA 쉐도우캠이 촬영한 달 남극의 영구음영지역. 항우연 제공 한국형 달 궤도선 '다누리'에 실린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섀도캠이 달 남극의 영구음영지역을 촬영한 사진이 공개됐다. 섀도캠을 제작한 미국 애리조나주립대는 섀도캠 홈페이지(http://shadowcam.sese.asu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