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산출량
수확고
수량
생산고
뉴스
"
수확량
"(으)로 총 88건 검색되었습니다.
크리스퍼 가위 교정 식품이 식탁으로 들어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0
했다. 김 단장은 “크리스퍼 등장 초기엔 가뭄, 병충해 등에 강한 품종으로 개량해
수확량
을 높이는 연구에 관심이 집중됐다면 최근엔 사용자의 기호에 맞춘 신품종을 개발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품종 개량 분야에서 크리스퍼는 후발주자다. 익히 알려진 유전자변형(GM) 기술은 ... ...
스마트폰으로 질병을 진단하는 해외 앱들
과학동아
l
2017.07.27
93개 이미지의 질병을 99.35%의 정확도로 판별해 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작물 질병으로
수확량
의 50% 이상이 손실되고 있다”며 “작물의 질병을 빨리 진단하고 대처한다면 식량 공급이 늘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80% 이상이 소규모 농업을 하고 있는 개발도상국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 ...
스마트폰으로 사진만 찍어도…인공지능이 토마토 크기 측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25
생육측정 기반 스마트팜 2.0’ 앱으로 수집한 토마토의 생육 정보를 토대로 예측한
수확량
그래프를 살펴 보고 있다.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제공 ● 3D 영상 카메라로 과실 부피도 정확히 측정 만약 스마트폰에 3차원(3D)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깊이 인식 카메라가 탑재돼 있으면 2D 사진을 사용할 ... ...
컴퓨터공학자가 오렌지 질병 막는다?
2016.12.08
것입니다. 성충 나무이(psyllid)의 모습 - 위키미디어 커몬스 제공 그런데, 밀감류의
수확량
을 감소시키는 녹화병(綠化病, greening)이 있습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밀감류를 괴롭혀 온 이 녹화병을 막기 위해 과학자들은 연구를 해왔습니다. 최근 미국 농업연구소(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 ...
먹는 시금치로 지뢰를 찾을 수 있다고?
2016.11.02
있게 된 셈”이라며 “지뢰 위험지역에 적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농업 분야에서 작물
수확량
을 파악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지뢰 감지하는 시금치' 동영상으로 ... ...
아세요? 사탕수수가 벼보다 광합성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
2016.10.18
발달한 게놈편집기술을 적용할 경우 머지않아 C4 벼가 나올 수도 있을 것이다. 그 경우
수확량
이 50%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될 뿐 아니라 가뭄에 저항력이 높아져 재배가능지역도 넓어질 것이다. 지난 4월 호주 캔버라에서 열린 ‘C4 광합성 컨퍼런스: 과거와 현재, 미래’에는 1966년 논문의 저자인 ... ...
[멸종위기 못·친·소 투표 결과 발표] 멸종위기 동물의 대표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5.31
쪼아먹는 참새를 없애기 위해 1958년부터 참새를 모조리 죽이자 오히려 해충이 늘어 쌀
수확량
이 줄어든 일도 있었대. 그러니 친구들도 이제부터 모든 못친들에게 골고루 관심 가져 주길 바랄게. 그래야 생물다양성이 유지되서 우리 모두가 지구에서 함께 살아갈 수 있으니까 ... ...
식물은 햇빛 없이도 자랄 수 있다, O일까 X일까
2015.12.28
iStockphoto 제공 햇빛을 향한 식물 간의 ‘전쟁’은 치열하다. 이웃한 식물이 빛을 막아서면 그늘에 놓인 식물은 이웃을 넘어 빛을 차지하거나 빛이 덜 가려지는 ... 조절할 수 있을 것”이라며 “궁극적인 목표는 식물을 빽빽하게 모아 기르면서도
수확량
을 늘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 ...
레스베라트롤과 제니스타인 만드는 ‘생산 공장’ 토마토
2015.10.26
이용해 두 성분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토마토는 세계적으로
수확량
이 많은 만큼 유용 성분을 생산하는 ‘식물 공장’으로 제격이다. 존인스센터 제공 연구팀은 유용 물질을 만드는 외부 유전자를 토마토에 넣는 방식을 택했다. 먼저 레스베라트롤을 생산하는 유전자는 ... ...
야자열매, ‘떡잎’ 때 미리 품질 안다
2015.09.29
그럼에도 열매를 따기 전에는 품질을 알 수 없었다. 10여 년 전, 조직 배양기술을 적용해
수확량
이 20~30% 높은 야자나무을 개발했지만 여전히 껍질이 쭈글쭈글하고 기름이 적은 저품질 열매가 등장하는 문제가 있었다. 로버트 마른티엔센 미국 콜드스프링하버 연구소 연구원 팀이 이끄는 ... ...
이전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