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GPS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
지피에스
지피에쓰
내비
내비개이션
내비게이션
뉴스
"
위치확인시스템
"(으)로 총 636건 검색되었습니다.
민간 최초 달 착륙 '오디세우스'…자금·기술 난관 어떻게 극복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4.02.23
인튜이티브 머신스의 달 탐사선 오디세우스. 연합뉴스 제공 미국 우주기업 인튜이티브머신즈의 무인 달 착륙선 '오디세우스(노바-C)'가 한국시간 23일 오전 8시 24분 달 연착륙에 성공했다. 민간 기업이 개발한 착륙선이 달에 착륙한 세계 첫 사례다. 미국의 경우 1972년 12월 아폴로 17호 이후 약 52년 ... ...
원전 안전 관리시스템 재편…연중 상시검사 도입·연구용 원자로 규정 합리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2.16
평가하는 규제방법론 개발에 착수한다. 불법 드론과 같은 신종 위협에 대해서는
위치확인시스템
(GPS) 기반 교란장비 등 신기술을 도입해 기술발전에 따라 변화되는 위협에 대응한다. 방사선 위험에 대한 전방위적인 안전망을 보다 촘촘히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생활주변방사선에 대한 ... ...
기후변화로 빙하 녹자 북극곰 몸무게는 하루 1kg씩 줄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14
20마리를 대상으로 여름철 활동량과 신체 변화를 추적했다. 북극곰들에게 카메라와 위성
위치확인시스템
(GPS) 추적기를 부착해 하루 에너지 소비량, 체질량 변화, 먹이, 행동, 움직임 등의 데이터를 수집했다. 북극곰들은 육지에서 동면 상태 유지, 움직임 줄이기, 열매 먹기, 조류 사냥 등 에너지 ... ...
사자·코끼리 생태도 바꿨다…사바나 먹이사슬 '싹' 바꾼 개미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토종 아카시아 개미들이 유입종 큰머리 개미에 밀려 사라지면서 생태계에 큰 변화가 생겼다 . 메레디스 팔머 제공 작은 개미들이 거대한 코끼리로부터 나무를 보호하고 사자의 사냥 성공률을 떨어트리기도 한다. 제이콥 고힌 미국 와이오밍대 동물생태진화학과 교수 연구팀은 아프리카의 토종 아 ... ...
"지구의 역사를 기록하는 시민과학자가 되어보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1.23
성신여대 식물분자계통학실 문현지 연구원.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지구사랑탐사대원들이 기록하는 식물 데이터는 기후변화로 바뀌는 식물의 생태를 연구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시민과학자 한명, 한명이 지구의 역사를 기록하는 일이기도 합니다." 지난해 한해 동안 지구사랑탐사대에서 제 ... ...
적은 광자 수로 민감도 최대치 '양자센싱'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16
적은 광자 수로 멀리 떨어져 있는 공간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양자 센싱 기술이 개발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적은 광자 수로도 기존 센서보다 높은 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는 분산형 양자센싱 시스템을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임향택 양자정보연구단 책임연구원 연 ... ...
방광 종양 90% 감소시키는 '나노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4.01.15
동물실험에서 나노로봇의 방광암 치료 효과가 확인됐다. wildpixel/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방광 종양의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데 도움을 주는 나노로봇 기술이 개발됐다. 소변 속을 헤엄쳐 들어가는 방식의 나노로봇 기술 기술로 이를 활용한 치료제가 개발되면 환자의 불편과 치료 비용을 크게 ... ...
우주쓰레기 태우는 게 최선일까…"금속 에어로졸 영향 고려해야"
과학동아
l
2023.12.23
우주쓰레기 도비라. 과학동아, Privateer Spac 제공 우주 쓰레기 문제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옛 소련이 최초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를 쏘아 올린 1957년부터 2023년까지 지구 궤도를 도는 위성만 어림잡아 1만1330개에 달한다. 우주쓰레기에 대한 우려가 지속될 수밖에 없다. 중요한 건 해결책이다 ... ...
봄 같은 12월-맹추위 1월?…한반도 극단기후 원인과 전망은
동아사이언스
l
2023.12.15
북극에서 눈과 얼음이 녹고 있는 모습. 북극 해빙의 융해는 이상기후의 원인인 '제트 기류'를 일으킨다. 위키미디어 제공 올 겨울 날씨가 예년과 달리 종잡을 수 없이 널뛰기를 하고 있다. 때늦은 가을 더위에 이어 12월 중순까지 영상 20도를 넘나들 정도로 포근한 날씨를 보였다가 16일 주말부터 맹 ... ...
인간 뇌 '기억 메커니즘' 따르면 AI 학습능력 좋아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1.30
이번 연구를 이끈 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수리 및 계산 과학 연구단 데이터 사이언스 그룹. IBS 제공 인간의 통합 기억 메커니즘을 모방해 인공지능(AI)의 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이창준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단장과 차미영 수리 및 계산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