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산
제조
산출
저작
가공
수법
창작
뉴스
"
제작
"(으)로 총 5,089건 검색되었습니다.
LED 조명 350개 켠 '테이프 발전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3.15
있는 힘이 점착제와 물체 표면이 서로 끌어당기는 힘보다 강하기 때문입니다. 테이프를
제작
할 때 점착제를 강한 압력으로 눌러 필름에 붙이기 때문에 강한 힘으로 결합해 있어요. 테이프 필름 겉면에는 릴리즈 코팅이 발라져 있어요. 릴리즈 코팅은 점착제가 달라붙지 않도록 막아주는 실리콘 ... ...
티타늄 인공심장으로 100일 간 일상 생활…세계 최초 사례
동아사이언스
l
2025.03.14
인공심장을 나타낸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호주의 한 심부전 환자가 티타늄으로
제작
된 인공심장을 이식받은 채 병원 밖에서 100일 이상 생활했다. 티타늄 소재 인공심장을 사용하고 3개월 이상 일상생활을 한 첫 사례다. 전문가들은 이식용 심장을 기다리는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 ...
췌장 조직 배양해 당뇨 치료제 개발 돕는 플랫폼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25.03.14
포함한 바이오잉크를 만들었다. 여기에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플랫폼을
제작
했다. 줄기세포로 만든 췌도세포와 혈관을 정밀하게 배치해 실제 췌장의 구조를 거의 완벽하게 모사한 플랫폼이다. 플랫폼에서 배양된 췌도세포는 인슐린과 결합단백질 발현이 증가하며 실제 췌도와 유사한 ... ...
원자 1개 두께의 2차원 금속판 단조하는 '나노 대장간'
동아사이언스
l
2025.03.13
구리를 뜨겁게 달군 뒤 망치로 두들겨 가공하는 단조 과정에서 영감을 받아 2D 금속판
제작
기술을 개발했다. 사파이어로 만든 단단한 모루 사이에서 금속을 녹인 뒤 비틀어 압착하는 방식으로 현재까지 구현된 2D 금속판 중 가장 얇고 넓은 형태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먼저 사파이어 기판 ... ...
넷플릭스 '중증외상센터' 자문 교수 "중증외상, 누구도 자유롭지 않아”
동아사이언스
l
2025.03.13
가능한 병원 중 하나이기에 초응급환자가도 치료할 수 있습니다.” 중증외상센터
제작
진과 소통중인 김태윤 교수. 이대서울병원 제공 Q. 극 중 골든타임을 항상 중요하게 표현하고 있다. 실제로 이 골든타임이 갖는 의미와 치료의 양상은. “중증외상은 적절한 시간 내 조치를 취하지 못했을 때 ... ...
韓美 개발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 8차례 연기 끝에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5.03.12
공식 참여 인원은 약 20명으로 4분의 1을 차지한다. 특히 핵심 과제인 3차원 우주 지도
제작
에서는 지도 정확도를 높이는 과정에 천문연과 서울대 연구진들이 크게 기여한다는 설명이다. 스피어엑스 프로젝트의 주요 목표는 3차원 우주 지도를 통해 은하의 분포를 파악하고 우주가 생겨난 이후 ... ...
디지털 시대, AI와 함께 성장하는 미래 세대, '디지털새싹'
동아사이언스
l
2025.03.11
디지털 시대, AI와 함께 살아가는 법 이 외에도 AI를 활용한 그림책 만들기, VR·AR 콘텐츠
제작
등의 활동이 함께 진행되며 학생들은 디지털 기술과 윤리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을 키우며 디지털 소양을 함양했다. '디지털새싹' 프로그램은 AI 시대를 살아갈 미래 세대에게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와 ... ...
조기 발견 어려운 '담도암' 발생 과정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11
결과를 도출해 발암 과정을 정밀하게 추적할 수 있었다”며 “유전자 검사 패널
제작
에 활용해 조기 진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유럽간학회 학술지 ‘간장학 저널’에 1월 18일 공개됐다. doi.org/10.1016/j.jhep.2025.01.007 (왼쪽부터) 박영년 연세대 의대 ... ...
3D 설계 데이터만으로 원하는 금속 성형 '뚝딱'
동아사이언스
l
2025.03.11
“기존 CNC 장비를 교체하지 않고도 개발된 모듈과 제어기술을 적용하면 추가 금형을
제작
할 필요 없이 맞춤형 생산이 가능한 유연성형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연구 총괄 책임자인 이호년 생기원 신산업부품화연구부문 수석연구원은 “개발한 기술을 이용하면 추가 금형 없이도 복잡한 형상을 ... ...
전도성 물질 없이 기계적 자극만으로 전기신호 전달
동아사이언스
l
2025.03.10
이번 연구결과는 고분자나 세라믹 같은 절연체를 사용한 새로운 형태의 전자장치
제작
가능성을 제시한다. 전기 신호 전달을 위해 사용되는 금속 물질 사용을 최소화하면 인체 적합성이 높고 신축성 있는 웨어러블 기기나 의료용 바이오센서 개선에 활용될 수 있다. 연구팀은 "전자 장비들의 신호를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