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세
지리
땅모양
지리학
자모
모형
풍수지리
뉴스
"
지형
"(으)로 총 675건 검색되었습니다.
150년 주기 '난카이 대지진' 오나…"부산·울산 큰 피해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4.08.09
지역', '도카이 지역'으로 나뉘어져 있다. 해구는 심해저에서 움푹 들어간 좁고 긴 해저
지형
을 가리킨다. 필리핀판, 유라시아판, 북아메리카판이 충돌하는 경계라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전문가들은 과거 자료를 분석해 이곳에 응력이 쌓이면 100∼150년 간격으로 규모 8~9 대지진이 발생한다고 보고 ... ...
야생 바다사자 도움으로 '미지의 세계' 바다 지도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8.09
생물학과 연구원팀이 바다사자의 등에 센서를 부착해 수천 제곱킬로미터 넓이의 해저
지형
을 탐사하는 데 성공하고 연구결과를 7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해양과학 프론티어'에 공개했다. 바다사자는 대부분의 시간을 해저에서 보내며 대륙붕에서 먹이를 찾는다. 연구팀은 호주 씰 베이와 ... ...
1시간 동안 날았다...태양광으로 비행하는 초소형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4.07.19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초소형 비행 로봇은 통신 환경이나 연구를 위한
지형
을 관측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비행시간이 짧은 게 단점이다. 예를 들어 무게가 10g 이하인 비행 로봇의 경우 비행 시간이 10분 미만에 그친다. 앞서 연구자들은 초소형 비행 로봇의 효율을 ... ...
IBS, 고해상도 금성 지도 만드는 거대 우주 임무 참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6.26
2034년 금성궤도에 안착하여 관측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엔비전 임무에는 금성의
지형
을 탐구하는 2개의 탑재체와 금성 대기를 측정하는 탑재체까지 총 3개의 탑재체가 실린다. 이연주 CI는 이중 ‘벤스펙 수트(VenSpec Suite)’의 공동연구자로 참여해 대기 연구를 수행한다. 벤스펙 수트는 U, M, H로 ... ...
'달 뒷면 샘플' 인류 첫 영접…中 창어 6호, 25일 지구 귀환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중우 위에 중국과학원 지질지구물리연구소 연구원은 "창어 6호가 달의 특별한
지형
인 남극-에이킨 분지(SPA)에 착륙한 만큼 달 연구에서 가장 근본적인 과학적 질문인 달 양면의 차이점에 대한 질문의 답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창어 6호는 앞서 지난 2일 달 뒷면에 있는 거대한 분화구인 ... ...
"석유 나올 것"…'젊은 땅' 포항·영일만에 눈독 들이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6.16
않은 95% 이상 고순도라는 연구결과가 있다. 포항의 '선상지 삼각주'는 한반도 퇴적
지형
연구에서 빠지지 않고 언급되는 곳이다. 황 연구원은 1990년대에 세계 지질학계에 선상지 삼각주 개념이 생길 때 처음 포항에서 선상지 삼각주를 처음 찾아내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선상지 삼각주는 ... ...
거북이 걸음 품은 로봇 등장…이동하는 데 에너지 덜 소모
동아사이언스
l
2024.06.05
5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3월호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보행 로봇은
지형
및 환경에 따른 제약을 극복하고 이동성을 확대할 수 있지만 ‘바퀴형 로봇’에 비해 에너지 소모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연구팀은 무게 대비 에너지 효율이 높은 동물인 육지거북에 주목했다. 육지거북은 ... ...
여의도 1.5배 규모 장비로 해저 훑는다...탐해3호 첫 항해
동아사이언스
l
2024.06.03
파동이 해저
지형
에서 반사·굴절해 되돌아오면 이를 수진기에서 기록하고 분석해 해저
지형
이나 자원의 위치를 파악한다. 지질연 제공 ● 첫 임무는 이산화탄소 지중 저장 후보지 탐색 탐해 3호는 4m 높이의 파도에도 안정적으로 탐사가 가능하고 내빙 기능이 있어 한반도 주변뿐 아니라 전 세계 ... ...
명왕성에 선명한 하트무늬 생긴 이유 찾았다
과학동아
l
2024.06.01
있던 이유가 바로 마스콘 때문이라고 추측했다. 마스콘이 형성되지 않았더라면 충돌 후
지형
이 함몰돼 질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스푸트니크 평원은 회전 과정에서 극지방으로 이동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명왕성 정도의 질량을 가진 천체가 탈출 속도에 가까운 속도로 날아온 ... ...
우주인 뽑고 신약 개발 플랫폼 우주 설치…尹 "우주 광개토 프로젝트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수행한다. 지구-화성 통신 기술을 확보한 뒤 화성 궤도에서 화성의 대기 조성 및
지형
을 관측하는 궤도선을 2035년까지 개발해 발사한다. 이후 화성에 착륙해 화성 대기, 지질, 생명의 흔적을 찾는 착륙선을 개발해 2045년 화성에 착륙시킬 예정이다. 소행성 탐사로 미래 우주자원 채굴에도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