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뉴스
"
초
"(으)로 총 5,44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꿈의 전자기파' 테라헤르츠파 이론적 고안·검증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04
고안한 뒤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검증했다고 4일 밝혔다. 테라헤르츠파는 파동이 1
초
동안 기가의 1000배인 테라 번 진동하는 전자기파다. 파장이 짧아 침투가 쉽고 광자 에너지는 낮아 시료 손상을 적게 입히는 전자기파지만 아직 만들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플라즈마와 레이저의 ... ...
유상임 장관 "국내에 '딥시크' 될 수 있는 AI 모델 10여 개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2.04
구입하기로 했던 일정을 4년 앞당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6년 말이나 늦어도 2027년
초
까지 모두 확보해야 한다는 계획이다. 올해 과기정통부는 1만5000개를 구입할 전망이다. 유 장관은 "가급적 빨리 GPU를 구입해 와서 현재 국내에 설치된 데이터센터에 도입해 연구자들이 GPU를 쓸 수 있게 할 것 ... ...
펨토
초
보다 짧은 순간 전이상태 분자구조 관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2.04
생화학 반응 등에 널리 응용되는 가장 보편적인 반응속도론이다. 전이상태는 펨토
초
(1000조분의 1
초
)보다 더 짧은 시간 동안만 존재하기 때문에 전이상태를 직접 실험적으로 관찰하는 것은 매우 어려웠다. 연구팀은 빛과 분자의 상호작용을 활용하는 분광학 기법을 통해 분자가 전이상태로 ... ...
"모르지? 알려줄게" 인간의 '무지' 인지하는 보노보
동아사이언스
l
2025.02.04
경고 소리를 낸다는 야생에서의 연구결과를 통제된 실험 환경에서 비슷하게 재현한 최
초
의 연구다. 연구팀은 "유인원이 동료의 무지를 안다면 더 자주, 빨리 지적할 것이라고 예측했고 실제로 그렇게 했다"며 "유인원은 먹이가 어디 있는지 정확히 알고 동시에 동료가 그 정보를 모른다는 사실도 ... ...
시민과학에도 AI 접목…'지구사랑탐사대 2.0' 플랫폼 오픈
동아사이언스
l
2025.02.03
지구사랑탐사대 2.0 플랫폼을 통해 가족 단위로 신청서를 받으며 탐사대원이 되면 4월
초
발대식을 시작으로 연말까지 생태 전문가에게 생물종별 탐사방법을 배우는 현장교육에 참여할 수 있다. 현장교육 외에도 대원을 위한 특별 강좌와 국내외 생태 탐사 프로그램도 제공된다. ● ... ...
日 독자 GPS 속도 빨라져…대형로켓 H3 4기 연속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2.03
이날 밝혔다. H3 5호기에 실렸던 무게 4900kg의 미치비키 6호 위성은 로켓 이륙 약 29분 3
초
후에 분리됐다. 미치비키는 일본의 '준천정위성시스템'이 설치된 위성이다. 일본만의 GPS 시스템인 준천정위성시스템은 일본이 다른 나라 위성의 도움을 받지 않고도 지상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2003년부터 ... ...
건물 수천 채 삼킨 LA화재…네이처 선정 1월의 과학 이미지
동아사이언스
l
2025.02.02
크리스마스트리용 전나무를 코끼리 등 동물들에게 제공하는 것이 연말 전통이다. 1월
초
베를린 동물원의 포유류 큐레이터인 플로리안 식스는 "동물들이 전나무와 싸우기도 하고 몸을 비비는 등 다양한 일을 하며 동물들이 행복해한다"고 전했다. - nature.com/immersive/d41586-025-00269 ... ...
2032년 지구 충돌 가능성 1.2% 소행성 발견…최대폭 100m
동아사이언스
l
2025.02.02
오랜 시간 소행성을 추적하며 궤도 예측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다. 과학자들은 올해 1월
초
부터 2024 YR4를 우선적으로 관측하고 있다. 2024 YR4는 매우 길쭉한 타원 궤도를 따라 움직이며 지구로부터 거의 직선으로 멀어지고 있어 궤도 파악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소행성이 지구 관측 시야 내에 있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호랑이 개체 수 회복에 성공한 인도
동아사이언스
l
2025.02.02
걸쳐 서식했지만 현재는 과거 서식지의 90% 이상에서 사라졌다. 야생 개체는 21세기
초
3600마리로 급감했다. 호랑이 개체 수를 회복하기 위한 각국의 노력이 본격화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야드벤드라데브 잘라 인도 야생동물연구소 연구원은 인도의 호랑이 복원 프로그램이 약 20년에 걸쳐 ... ...
[동물do감] 정전기로 벌새에 '무임승차'하는 진드기
동아사이언스
l
2025.01.30
전극을 향해 두 앞다리를 들어 올리며 머물렀다. 진드기는 전기장을 활용해 무려
초
속 150m의 속도로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드기의 앞다리를 살핀 결과 화학적 신호나 열, 전기장을 측정하는 다른 곤충이나 거미의 감각털과 유사한 구조가 확인됐다. 양쪽 앞다리를 제거한 진드기는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