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굴대
중심축
회전축
핀
머리핀
못
장식핀
뉴스
"
축
"(으)로 총 50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빛을 향하는 식물 '굴광성'의 비밀
2023.12.13
흘러나와 세포 사이 공간을 채웠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식물은 자엽초 또는 하배
축
에서 파란빛 세기의 감소 기울기를 극대화하기 위해 세포 사이 공간을 만들어 공기로 채워 빛이 많이 산란하게 진화한 걸까. 만일 그렇다면 식물은 뛰어난 광학자라는 생각이 문득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 ...
스마트농장부터 자율선박까지…디지털기술로 '탄소중립'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1.23
건물 분야에서는 디지털 기술을 통해 노후 건
축
물의 에너지 효율을 개선한다. 농·
축
·수산 분야에서는 온도, 습도 등을 설정해 최적 생육환경을 제공하는 스마트 생산시설을 개발할 예정이다. 이어 폐기물을 자동 선별하고 처리하는 등 자원순환 시스템을 개발하고, 향후 신설 예정인 디지털 ... ...
[주말N수학] 초등학생 때 대학생 이긴 영재가 수학에 빠진 이유
수학동아
l
2023.11.04
이를 직선 그래프로 그릴 수 있어요. 일정한 크기로 y값이 늘어나기 때문에 x
축
위에서 두 점을 잡은 뒤, 그래프까지 위로 직선을 그리면 '그림 1'처럼 사다리꼴을 그릴 수 있어요. 그러면 사다리꼴 넓이, 모양 등 사다리꼴의 특성을 이용해 문제에 접근해볼 수 있어요. 나아가 2가지 등차수열이 문제에 ... ...
조선의 '코페르니쿠스'로 불린 홍대용
과학동아
l
2023.10.28
브라헤의 우주관을 접한 후부터 지전설을 주장했다. 김석문은 구형의 지구가 남북극을
축
으로 1년에 366회 회전한다고 주장했다. 홍대용보다 훨씬 앞서 지전설을 내세운 것이다. 김석문은 홍대용이 네 살 때 사망했다.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은 하늘에서 지구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기존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어둠 속 등불처럼 환한 '황금등불버섯'
어린이과학동아
l
2023.10.21
필요는 없어요. 그들 또한 다른 생명체와 마찬가지로 정교하고 복잡한 생태계의 한
축
을 담당하고 있는 중요한 일꾼들이니까요. 만약 언젠가 난생 처음 보는 버섯을 만난다면 버섯을 먹을 수 있는지 없는지 고민하기보다는 꽃을 구경하듯 버섯 그 자체의 아름다움을 감상해 보길 바랍니다. 그렇게 ... ...
[기술패권 시대 우리말] ⑩풀어드립니다…다단연소사이클엔진·우주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3.10.19
있다. 현재는 엔진의 고고도 환경시험 신뢰성 향상, 압
축
기의 압력비를 높이는 고부하 압
축
기 설계기술, 연소가스의 온도를 높이면서 유해물질 배출을 최소화하는 친환경 연소기 기술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이 밖에 높은 온도의 연소가스를 견디면서 터빈이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게 하는 냉각기술 ... ...
[주말N수학] 우리는 왜 '미분'에 관심이 생겼을까
수학동아
l
2023.09.30
함수 그래프의 한 점에서 접선을 긋고 이와 수직한 법선을 긋습니다. 그런 뒤 이 법선이 x
축
과 만나는 x절편을 원의 중심으로 놓고 x절편과 접점까지의 거리를 반지름(r)으로 하는 원을 그려요. 원과 함수는 오직 한 점에서만 만나게 되지요. 따라서 원의 방정식과 함수식을 연립하면 이 방정식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R&D예산 삭감과 과학기술 정책의 본질
2023.09.27
연구개발’이다. 우리의 과학자들이 연구개발에서 훌륭한 성과를 창출하고 노하우를
축
적(縮積)할 수 있도록 해주는 법과 제도를 만드는 것이 진정한 의미의 과학기술정책이라는 뜻이다. 다른 해석은 불가능하다. 과학자가 더 효율적으로, 더 열심히 일하도록 채찍질하는 것을 ... ...
"온실가스 주범 농·
축
산업, 과학기술로 체질 바꿔야 2050년 탄소중립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23.09.07
방법도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각 지자체가 나서서 해당 기술을 농
축
산업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그러면서 미국 뉴욕주 뉴욕시가 1970년대부터 낙농업 농장의 거름을 전기로 전환해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고 에너지원으로 사용한 사례를 들었다. 홀튼 교수는 "전 ... ...
무서운 태풍 분석 가능해질까…'와류' 존재 수학적 증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8.31
함수해석학, 편미분방정식 이론 등을 적용해 기존에 연구됐던 2차원 유체의 흐름을 넘어
축
대칭 조건이 포함된 3차원 유체의 흐름까지 계산할 수 있도록 했다. 구형 와류가 진행하는 방향의 앞면에는 강하게 상승하는 기류가 존재한다. 태풍이나 토네이도에서 확인되는 기류다. 최 교수의 연구를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