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술부대
술고래
오스트레일리아
술꾸더기
술꾸러기
술보
술푸대
뉴스
"
호주
"(으)로 총 2,015건 검색되었습니다.
무려 5만 년 전 그려진 최초의 스토리텔링 벽화
과학동아
l
2024.09.21
그려진 물감층에 더 가까운 탄산칼슘 표본을 분석할 수 있다. 랑 카람퐝 벽화를 연구한
호주
그리피스대 및 인도네시아 국립연구혁신청 연구팀. Griffith University Nature 제공 그 결과 4만 3900년 전에 그려진 것으로 알려져있던 레앙 블루 시퐁 동굴 벽화는 약 6300년 더 오래된 5만 200년 전의 것으로 ... ...
이름 비슷한 아까시나무·아카시아나무 어떻게 다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9.21
제공 ● 아카시아나무 아카시아나무는 주로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며 아프리카,
호주
등 건조한 곳에서 자랍니다. 아카시아나무는 뿌리가 아주 깊고 넓게 뻗어 물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깊은 뿌리가 땅을 단단하게 잡아주기 때문에 땅이 깎여서 흘러내리는 침식을 방지합니다. ... ...
[현실이 된 영화 속 과학] ②인간의 감정에 공감하는 AI…'그녀(2014)'
동아사이언스
l
2024.09.20
내는 모습이다. 사람의 감정을 섬세하게 배려하는 수준까지 올라섰다는 평가다. 2022년
호주
라트로브대 연구팀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AI 챗봇 프로그램이 지식을 제공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환자의 감정 상태까지 배려한 답변을 하는 AI를 개발하고 국제학술지 '미래 세대 컴퓨터 시스템'에 ... ...
초고가 GPU 없어도 효율적 AI 학습시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19
수십에서 수백 배 가속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8월
호주
시드니에서 열린 국제 학술대회 ‘ACM 시그콤(SIGCOMM) 2024’에서 발표됐다. 기존에는 AI 모델을 학습하기 위해 개당 수천만 원에 달하는 고성능 서버용 GPU 여러 대와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400Gbps(초당 기가비트 ... ...
투명인간이 되는 두 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24.09.17
2020년 개봉한 ‘인비저블 맨’은 투명인간이라는 참신한 소재를 다룬 호러 영화다. ‘겟 아웃’ ‘어스’ 등을 제작한 공포영화 장인들이 연출했다. 유니버설 픽쳐스 코리아 제공 더위가 한풀 꺾인 9월에도 공포영화의 재미는 유효하다. 물리학자인 필자는 귀신이 등장하는 공포영화를 즐기지 않는 ... ...
땅을 사서 자연에 돌려준다?…국내 첫 '리와일딩' 시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9.16
나라가 골고루 야생 지역을 갖고 있지는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연구를 이끈 제임스 왓슨
호주
퀸즐랜드대 교수는 "야생이 사라지면 생태계를 유지하는 물질 순환, 에너지 흐름, 종 간 상호작용 등의 생태학적 과정도 사라진다"고 우려했습니다. 야생동물은 '가축화되지 않고 야생에서 살아가는 동물 ... ...
[의학바이오게시판] 돼지 피 영장류에 수혈, 하루 효과 지속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9.06
문제를 해결하는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뇌공학 솔루션 기업 와이브레인은
호주
시드니에서 2~6일 열리는 국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표준화 위원회 주관 BCI 심포지엄에서 한국 대표로 발표했다고 5일 밝혔다. 이기원 와이브레인 대표는 4일차 세션 오프닝 연자로 참여해 한국의 BCI ... ...
지진은 금 '덩어리' 만들어내는 연금술사
동아사이언스
l
2024.09.06
같은 힘을 받았을 때 분극이나 전압이 생기는 물질을 의미한다. 크리스토퍼 보이시
호주
모내시대 연구원 연구팀은 지진은 석영에서 전기장을 일으켜 금 퇴적물이 형성되도록 만들 수 있는 강력한 힘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실험실 실험을 통해 지진파가 광물 사이에 침투한 유체에 ... ...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 최종 선정…'청정수소 저장·활용' 추가 확정
동아사이언스
l
2024.09.05
동시 생산 통합 시스템’을 개발한다. 향후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호주
, 오만 등 해외 국가들로부터 대규모 수소를 도입할 전망이다. 운반은 효율성 측면에서 암모니아 등 화학적 저장을 통한 도입이 예상된다. 이는 암모니아를 수소 추출 없이 직접 연료전지의 원료로 활용해 ... ...
"휴대전화 사용, 뇌암 발병과 관련 없어…기지국도 뇌질환과 무관"
동아사이언스
l
2024.09.04
누명을 벗겨줄 수 있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WHO의 의뢰를 받아
호주
방사선 방호 및 원자력 안전 기관(Arpansa)이 이끄는 국제 공동연구팀이 1994~2022년에 발표된 관련 연구 논문 5000여 건을 검토하고 그 중 63편을 깊이 있게 분석한 결과 이같은 사실을 밝혀내고 지난달 30일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