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
재앙
재액
전등
사고
재해
재난
뉴스
"
화재
"(으)로 총 696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英 석탄 퇴출, 섣불리 흉내 낼 일 아냐
2024.11.06
구조물을 한순간에 잿더미로 만들었고 수많은 인명을 앗아갔다. 인류의 역사는 대(大)
화재
의 기록으로 가득 채워져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렇다고 인류는 에너지를 함부로 포기할 수 없었다. 불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편익(便益)이 애써 감수해야 할 위험(risk)보다 훨씬 더 컸기 때문이다. 실제로 ... ...
산불의 계절 11월…위험 예측, 진압 기술 고도화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11.04
확인하고 진화를 위한 관리 지점을 찾아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드론을 사용한
화재
진압에는 비폭발성 진화탄이 사용된다. 진화탄은 소화기의 주성분인 제1인산암모늄을 고압의 가스로 발생된 압력과 전기신호를 통해 압력분사하는 방식으로 불을 끈다. 헬기와 같은 대형장비가 접근하기 ... ...
ETRI, 최첨단 지능형 사물인터넷 기술 선보여
동아사이언스
l
2024.10.31
미세입자)을 신속하게 감지, AI를 활용해
화재
와 비
화재
를 구분하는 오경보 방지 AI
화재
센서 기술을 공개한다. 센서 음영구역에서의 안정적 디지털트윈 플랫폼 운영을 위한 가상센서 및 프레임워크 기술 및 체액 내 다양한 질병 표지 인자를 신속하게 측정하는 현장검사 진단센서 기술도 ... ...
[표지로 읽는 과학] 20년간 급증한 '강력하고 위험한 산불'은?
동아사이언스
l
2024.10.27
한다"고 제안했다. 산불에 대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선 빠르게 확산하는
화재
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10.1126/science.adk573 ... ...
AI로
화재
연기 구분해 소방력 낭비 막는 센서
동아사이언스
l
2024.10.23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이강복 ETRI 국방안전지능화연구실장은 "본 기술이 상용화되면 비
화재
로 인한 오경보 출동이 크게 줄어들어 연간 200억 원에 달하는 소방 출동 관련 비용 및 소방력 낭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
기후변화로 늘어난 산불 연기로 사망자도 늘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22
경제, 공중 보건에 미치는
화재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화재
관리 전략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 doi.org/10.1038/s41558-024-02149- ... ...
화재
에 강한 전고체전지…용량·안정성 개선 음극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0.21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이온을 전달하는 ‘전해질’을 기존 가연성의 액체에서
화재
나 폭발의 위험성이 극히 낮은 고체로 대체한 것이다. 고체라는 특성상 충·방전 과정에서의 안정성 확보 등 고도의 기술력이 요구된다. 특히 음극은 전지의 충전 속도와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소재가 매우 ... ...
불 나도 안 타는 배터리 나올까…배터리
화재
막는 기술 3
과학동아
l
2024.10.19
2023년 10월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에서 소방대원들이 전기차
화재
진압을 시연하고 있다. 전기차
화재
는 내연기관차
화재
에 비해 훨씬 더 많은 소방 인력과 소방수를 요 ... 것이 두려운 배터리
화재
를 막을 수 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10월호, 시사 이슈 전격 해부 전기차 배터리
화재
...
[사이언스게시판] ETRI '자율성장 AI 경진대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18
‘줄’ 10월호에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고 18일 밝혔다. 전고체전지는 전해질을
화재
나 폭발 위험성이 낮은 고체로 대체한 것이다. 연구팀은 주석 기반 합금계 소재인 ‘주석-철 화합물’을 전고체전지 음극재로 제시했다. 기술 검증을 위해 전고체전지 완전 셀을 제작한 결과 기존 리튬이온전지 ... ...
"전기차
화재
잘 활용하면 오히려 큰 기회 될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4.10.18
한국화학공학회 2024년도 가을 총회 및 국제 학술대회'에 참석해 최근 이어지는 배터리
화재
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정부가 기업에 계신 분들이랑 토의를 통해서 프로토콜을 같이 만들면 한국 브랜드의 장점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 교수는 다른 연구자들이 국내 최고로 꼽는 배터리 소재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