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계
화학
뉴스
"
화학기계
"(으)로 총 900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체 주입 메타렌즈로 광 무선 통신 혁신
동아사이언스
l
2024.11.19
(왼쪽부터) 노준석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기전자공학과 교수와 김재경 기계공학과 통합과정생. 포스텍 제공 유체를 주입한 메타렌즈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혁신적인 광 무선 통신 플랫폼이 개발됐다. 나노구조체의 배열로 이루어진 평면 광학소자인 메타렌즈는 하나의 카메 ... ...
효율 좋은 항공우주산업용 배터리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1.19
(왼쪽부터) 배상윤 KAIST 기계공학과 박사과정생, 김성수 교수, 임수현 박사과정생. KAIST 제공. 친환경 에너지 기반 모빌리티, 항공우주 산업군 등에 활용되는 ‘구조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높아야 하고 하중을 지지하는 성능도 좋아야 한다. 에너지 밀도와 하중 지지 성능이 상충하는 구조 배터리 ... ...
[사이언스얼라이브2024] "시니어에 질문할 때 반응 걱정돼…현장에 시니어 꼭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4.11.18
13일 대전 KAIST 본원에서 고찬영 박사과정생이 동아사이언스와 인터뷰하고 있다. 이병구 기자 2bottle9@donga.com "시니어 과학자에게 질문하기 전 반응을 미리 걱정하는 스트레스가 있어요. 예전에 학부 강의를 들을 때 어떤 학생이 영어로 더듬더듬 열심히 질문했는데 '넌 그것도 모르냐'는 식으로 답이 ... ...
견과류 껍질로 친환경 선박 연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구팀이 캐슈넛 껍질로 생산한 바이오차(왼쪽)와 바이오중유(오른쪽). 에너지연 제공. 버려지는 캐슈넛 껍질을 친환경 바이오연료로 전환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제조 공정이 간단해 동남아 현지에서의 상용화가 기대된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헬렌 버먼, 2024 노벨화학상 숨은 공로자
2024.11.13
미국 럿거스대의 결정학자 헬렌 버먼은 1971년 문을 연 단백질정보은행(PDB)의 공동설립자로 1999년부터 15년 동안 소장으로 있으면서 오늘날의 PDB를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했다. 럿거스대 제공 매년 노벨과학상이 발표되면 필자는 노벨재단 사이트에서 해설을 다운로드받아 시간 날 때 읽어보곤 했다. ... ...
달 기지용 원자로 개발 '착착'…"아르테미스에 한국 역할 될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4.11.10
우주비행사들이 달 남극에서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상상도. NASA 제공 유인 달 탐사 미션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달 기지용 원자로 개발이 국내에서 착착 진행되고 있다. 2030년대 중반에는 달에서의 전력원으로 쓸 수 있다는 분석이다. 미국 주도의 유인 달 탐사 미션인 '아르테미스'에서 한국이 구체적 ... ...
[이덕환의 과학세상] 英 석탄 퇴출, 섣불리 흉내 낼 일 아냐
2024.11.06
지난 9월 폐쇄된 잉글랜드 노팅엄셔의 '랫클리프온소어'(Ratcliffe-on-Soar) 석탄화력발전소. 연합뉴스 제공 영국이 지난 9월 잉글랜드 노팅엄셔의 '랫클리프온소어'(Ratcliffe-on-Soar) 석탄화력발전소를 폐쇄했다. 1882년 토머스 에디슨이 세계 최초로 런던에 세웠던 홀본 비아덕트(Holborn Viaduct)발전소로 시작 ... ...
방충망처럼 생겼지만…실내 온도 낮추는 복사냉각 필름
동아사이언스
l
2024.11.06
노준석 포스텍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 교수(왼쪽)와 이헌 고려대 신소재공학과 교수. 포스텍 제공. 매년 기록적인 폭염이 극성을 부리면서 실내 온도를 낮추면서도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중요해지고 있다. 국내 연구팀이 방충망처럼 뚫린 구조체를 사용해 내부 ... ...
색깔 변화만으로 건물 노후화 진단하는 구조색 필름
동아사이언스
l
2024.11.04
금이 간 콘크리트 벽. 건물 등 구조물 변형과 안전성을 진단 또는 모니터링하려면 비용과 인력이 많이 든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팀이 건물의 변형에 따라 색이 바뀌는 필름형 센서를 개발했다. 비용과 인력이 많이 들었던 구조물 노후화 진단을 간편하게 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 대폭 향상…20.4%→24.0%
동아사이언스
l
2024.10.31
태양광을 흡수하는 태양전지를 나타낸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진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태양 에너지 활용 효율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효율인 광전효율을 기존 대비 약 4% 높일 수 있는 기술이다. 빛을 포집하는 성능을 극대화하는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