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스페셜
"
가능
"(으)로 총 6,66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KAIST, 홀로토모그래피 기술의 첨단바이오 분야 적용 전략 소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30
재생의료, 암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홀로토모그래피 기술을 적용한 사례와 미래 발전
가능
성을 소개했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김종원 인공지능(AI)대학원 교수팀이 정구민 국민대 교수팀·에티포스·테너지소프트 연구팀과 공동으로 최근 자율주행 차량용 커넥티드 자동차 플랫폼 개발 연구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뢴트겐의 X선 발견보다 앞서 발견한 과학자들도 있다
2024.07.28
사진만으로 나이를 알아낼 수 있고 턱과 이의 사진을 이용하여 누구인지를 식별이
가능
한 상태다. ● 최초의 X선 발견자는 누구인가 뢴트겐이 X선을 발견한 것은 행운이 따른 우연이라 하기도 하고 지칠 줄 모르는 노력과 과학을 향한 열정에 의한 결과라 하기도 한다. 그런데 뢴트겐 이전에는 X선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데이트폭력'으로 이어지는 '가스라이팅'
2024.07.27
위험신호다. 물론 깨달았을 때에는 이미 가해자가 절대적인 통제력을 행사하고 있을
가능
성이 높으므로 피해자가 혼자 가해자의 덫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일은 쉽지 않다. 연예인 또는 유명 인플루언서 같은 사람들조차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에서 쉽게 벗어나지 못하는 것 또한 이를 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42억 년 전 생명체의 모습은?
2024.07.24
아세테이트를 먹이로 삼는 종류도 있었을 것이다)로 이뤄진 생태계의 일원이었을
가능
성이 크다. 루카 계열에서 모든 박테리아의 공통조상(LBCA)과 모든 아르케아의 공통조상(LACA)이 나왔고 그 뒤 아르케아에 포획된 박테리아가 세포내공생으로 미토콘드리아가 되면서 모든 진핵생물의 공통조상(LECA ... ...
[표지로 읽는 과학] 뒤집어 까자 촉매 효율이 증가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1
산화티타늄은 모두 환경친화적이고 지구에 풍부하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가 지속
가능
한 산업 촉매 기술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doi.org/10.1126/science.adp7379 ... ...
[과기원NOW] GIST "전문석사 학위과정 설치
가능
해진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18
달리 소재 균일도와 결정성을 유지하면서도 효과적인 페로브스카이트 결함제어가
가능
하다”며 “페로브스카이트 발광다이오드, 광검출기 등 다양한 페로브스카이트 광전자소자로의 응용 또한 기대된다”고 말했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이홍경 에너지공학과 교수와 LG에너지솔루션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교사자격증도 없이 교단에 서는 생성형 인공지능
2024.07.17
교육개혁의 피로가 누적된 결과일 수도 있다. 전 세계를 놀라게 만든 우리의 '발전'을
가능
하게 만들어놓은 교육을 통째로 부정하는 어쭙잖은 선무당의 해괴한 주장은 절대 용납할 수 없다. 이명박 정부의 철저하게 실패해 버린 어설픈 교육개혁을 다시 반복할 수는 없는 일이다. 교육부가 AI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젤라틴과 DNA의 차가운 '콜라보', 더위 식힐까
2024.07.10
the World'의 내용에 공감해서이다. '세상의 종말이 아니다'라는 제목과 '우리는 어떻게 지속
가능
한 행성을 만드는 첫 세대가 될 수 있나'라는 부제에서 짐작하듯이 이 책의 저자 한나 릿치 옥스퍼드대 글로벌개발프로그램 선임연구원은 각종 데이터를 인용하며 과학기술이 지구의 미래를 밝힐 힘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너지는 이공계 인력 양성 체계
2024.07.03
14.7%)이나 한꺼번에 삭감했다가 복원하는 상황에서는 안정적인 연구 수행이 도무지 불
가능
하다. 이공계 인력의 사기도 땅에 떨어져 버렸다. 과학기술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추락이 막장으로 치닫고 있다. 이제 과학자는 국가연구개발 예산을 나눠 먹고 갈라 먹는 '약탈적 이권 카르텔'로 전락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벼 고고학 연구로 작물화 비밀 밝힌 中 과학의 '힘'
2024.06.26
줄면서 잎이 위로 말린다. 그 결과 수분 손실을 막고 직립성을 도와 식물체의 생존
가능
성을 높인다. 작물 벼는 야생 벼보다 건조할 때 잎이 더 잘 말리는데 여기에는 기동세포 생김새의 차이도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동세포 한쪽 표면에는 물고기 비늘처럼 생긴 구조가 있는데 평균 개수는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