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제개발협회
개발
국제
협회
국제경쟁력
국제경제
경제
스페셜
"
경쟁력
"(으)로 총 670건 검색되었습니다.
누리호 실렸던 큐브위성의 도전은 끝나지 않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23
위성모사체로 이뤄져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 경험과 기술력 쌓아
경쟁력
높여야 큐브위성은 보통 수십 ㎏, 작게는 수 ㎏의 위성을 일컫는다. 크기는 작지만 영상 촬영, 과학 실험 등 우주임무를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오히려 중대형 위성들에 비해 개발에 따른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 ...
[우주산업 리포트] (마지막회) 한국 우주산업
경쟁력
높이려면
2022.08.26
꼭 필요하다. 발사체와 인공위성이라는 전통적 제품의 개발에 과도하게 집중하면 산업
경쟁력
강화에 한계가 올 수밖에 없다. 이미 오랫동안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고 있는 레드오션이기 때문이다. 우주개발의 영역과 내용이 확장되고 있는 것도 창의적 아이디어에 보다 집중해야 하는 또 다른 ... ...
[우주산업 리포트] 미국, 우주정책 대수술…상업적 우주개발 촉진 방점
2022.08.19
시스템을 우주에서 생산해 사출하는 것이다. 보고서에서 특히 주목해야 할 부분은 ISAM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업의 지속적인 참여를 독려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이를 위해 보고서는 “정부가 ISAM와 관련해 어떤 역량이 필요한지에 대해 구체적인 정의를 내려야 한다”라고 강조하며 “그래야만 ... ...
[우주산업 리포트] 푸틴 ‘복심’이라던 우주 수장의 퇴장...러 우주정책 전환점 되나
2022.07.22
로스코스모스의 부실한 정책과 주요 프로젝트에 대한 관리 미숙으로 러시아의 우주
경쟁력
이 하락하고 있다는 지적은 로고진 사장이 현직에 있을 때에도 있었다. 문제는 그런 지적을 받아도 로고진 사장은 꿋꿋이 자기 길을 갔다는 것이다. 지난 6월에는 로스코스모스의 비효율적 재정지출을 ... ...
전기차 주행거리·안정성 잡는 2차 전지 음극재 생산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18
한국화학연구원장은 “화학연에서 기술이전을 받은 기업 간 공급·수요망 확보 및 시장
경쟁력
강화의 우수 사례로 이번 성과가 전기차용 2차전지 시장을 선도하는 소재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사회가 이호왕 연구그룹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
2022.07.14
랜싯에 잘못된 전자현미경 사진을 제출하는 실수를 저지르기도 하지만 한국의 과학기술
경쟁력
이 걸음마를 떼던 1980년대 이 교수는 이미 세계적 수준의 미국 연구그룹과 경쟁하며 그들을 압도하지는 못했지만 선두그룹으로서 뚜렷한 성과를 남겼다. 세계최초 유행성출혈열 예방백신의 개발은 ... ...
尹대통령 ‘우주경제 비전 선포’ “우주경제시대 활짝 열어갈 것”
연합뉴스
l
2022.07.07
확보를 위해 위성기술과 누리호 성공으로 입증된 발사체 기술을 기업으로 이전, 산업
경쟁력
을 강화하고,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과 6G 통신위성을 통해 자율차·드론·UAM 등 새로운 서비스산업을 본격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2031년까지 달착륙선을 개발하고 아르테미스 프로그램 참여도 ... ...
[특별기고]우리는 제2,제3의 허준이를 만날 준비가 되어 있는가
2022.07.05
받은 필즈상 수상자의 탄생이라는 의미가 크다. 우리가 끊임없이 의심하고 국제
경쟁력
이 없다고 비하하던 우리 교육 체계에서 희망을 발견한 것 아닌가. 허 교수가 시인을 꿈꾸던 고등학교 시절에 학교에서 좌절하고 자퇴해서 검정고시로 대학에 진학한 이력은 흥미롭다. 입시 중심의 학교 교육이 ... ...
[우주산업 리포트]항우연 원장은 왜 세계 6위 우주 선진국 인도와 격차가 크다고 했을까
2022.07.01
있었다. NSIL의 출범과 두 번의 상업 발사는 인도 발사체가 세계 우주시장에서 어느 정도
경쟁력
이 확보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2016년 1월 인도 스리하리코타 우지센터에서 인도 위성 IRNSS-1E가 탑재된 PSLV 로켓이 발사되고 있다. EPA/연합뉴스 제공 이를 입증하는 또 하나의 사례가 상반기에 있었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지속가능한 연구실
2022.06.30
한 명의 단장 밑에 100명에 가까운 연구원을 몰아주는 구조를 선택했다. 어떤 실험이 과학
경쟁력
에 더 좋은 구조인지는 시간이 밝혀줄 것이다. 둘째, 박사후연구원의 급여가 혁신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지금처럼 교수 일자리수가 제한된 상황에서, 비정규직 포닥의 처우 문제는 심각하다 못해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