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증
공헌
증정
기부
증여
공연
제시
스페셜
"
기여
"(으)로 총 1,030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18세기 말 키 2.3미터 거구 시체의 해부
2023.03.14
많은 유명인들을 치료했다. 관찰과 실험을 통해 얻은 지식으로 영국 외과학의 발전에도
기여
했다. 그는 부검을 통해 질병양상을 확인하고, 수술 후 결과를 계속 비교관찰하면서 어떤 수술법이 더 나은 방법인지를 확인하고자 했다. 관찰과 실험에 기초를 두고 수술법을 개선해 간 학자로 여겨지고 ... ...
[과학게시판] 한계도전 R&D 프로젝트 킥오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10
원장은 “이번 우즈베키스탄과의 건설기술협력강화를 통해 현지 국민들의 안전에 크게
기여
할 수 있다”며 “건설연 현지 사무소를 통해 국내 기업 진출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밝혔다.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9일 대전 KISTI 본원에서 군수데이터 수집체계 구축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불안감과 두근거림 어느쪽이 먼저일까
2023.03.08
평균보다 높다. 심장 구조나 기능 이상이 불안감을 증폭시켜 병적 증상으로 발전하는 데
기여
했을 수도 있다. 그럼에도 아직까지 몸의 생리 정보가 특정 감정을 일으키거나 강화한다는 걸 직접적으로 증명하지는 못한 상태다. 예를 들어 생쥐에게 카페인을 투여한 뒤 행동 실험을 해서 불안감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제임스웹이 보여준 멋진 신세계
동아사이언스
l
2023.02.25
데이터는 초기 우주, 은하 및 별 형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생명체를 탐색하는 데
기여
할 것”이라며 “제임스웹이 향후 10년 동안 천문학, 특히 외계 행성과학 분야 연구를 발전시킬 것이라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덧붙였다. ... ...
[기후위기와 산림] 염분 많은 간척지에서도 나무가 자란다
2023.02.23
생명공학기술은 나무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환경적 제약 조건들을 극복하는 데
기여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산은 이미 대부분 조림되어 있으며, 나무를 심을 수 있는 넓은 평지는 부족하다. 논밭을 개간해서 나무를 심을 게 아니라면 새로운 땅은 훼손지이거나 간척지와 같이 식물이 자라기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존 섹스턴 미국 뉴욕대 명예총장에 명예박사학위 수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17
협업을 통해 글로벌 가치창출 선도대학으로 도약하기 위한 기틀을 마련하는 과정에
기여
한 공로를 인정해 명예이학박사 학위를 수여한다”고 설명했다. 섹스턴 명예총장은 2002년부터 2016년까지 총장으로 재직하며 2개의 해외 캠퍼스 및 다양한 해외 분원을 세계 각국에 설립했다. 뉴욕대의 랭킹 ... ...
[오늘과학] 분명히 목걸이인데...알고보니 흡연측정기
동아사이언스
l
2023.02.15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목에 걸고만 있어도 흡연 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해 금연에 도움을 주는 '스마트 목걸이'가 개발됐다. 나빌 알슈라파 미국 노스웨스턴대 파 ... 스마트 목걸이를 통한 실시간 피드백과 개입이 금연 프로그램의 성공률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
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커버링클라이밋나우] 빌 게이츠는 왜 '소 트림' 줄이는 연구에 투자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3.02.10
관한 정부간협의체(IPCC)’에 따르면 메탄은 현재의 지구온난화에 약 30% 정도
기여
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1월 롭 잭슨 미국 스탠퍼드대 지구시스템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미국 전역의 가스레인지에서 방출되는 메탄이 미치는 지구 온난화 영향이 휘발유 자동차 약 50만대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가 ... ...
[기후위기와 산림] 남한·북한 가리지 않는 기후위기...“북한은 더 심각”
2023.02.09
검토 가능한 사업으로 북한이 주력하는 산림복구를 지원하면서도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
할 수 있는 REDD+(Reducing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 REDD+) 사업이 있다. REDD+ 사업은 개발도상국의 산림 파괴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활동이다. 사업에 참여하는 나라들이 다양한 시나리오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해조류, 탄소제로 게임에 구원투수 될까
2023.02.07
등 다양한 가공식품에 주요 원료로 쓰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해야 해조류의 칼로리
기여
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홍조류인 아스파라곱시스속 해조류에는 할로겐화 메탄 화합물이 많이 들어있다. 이들 해조류 분말을 첨가한 사료를 먹은 되새김질 가축의 장에서 메탄 생성이 억제되면서 사료 전환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