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리
대표자
대표원
대신
정치 위원
대리자
사절
스페셜
"
대표
"(으)로 총 2,227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게시판] '국가 연구개발(R&D) 삭감, 붕괴하는 연구현장 공동 심포지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20
성과공유회를 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활동에는 국제과학올림피아드에 참가했거나 국가
대표
선발 교육에 참여한 적 있는 수학·과학영재 대학생 40명이 멘토로 참여해 교육 소외지역 학생 120여 명 대상 멘토링을 진행했다. 이날 행사에는 멘토 27명, 학생 85명과 학부모, 대한수학회, 한국천문학회,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기술이 성과를 내지 못한다는 억지
2023.11.08
우물 안 개구리의 좁은 소견으로 왜곡한 착각일 뿐이다. 반도체 시장의 경우가 가장
대표
적이다. 우리의 반도체 기술은 여전히 세계 최고임에 틀림이 없다. 그런 성과가 반도체에만 한정된 것도 아니다. 올해 노벨상을 받은 양자점(quantum dot) 기술의 상용화에 가장 앞장서고 있는 것은 우리 ... ...
[사이언스게시판] IBS, '국제 가속기 및 빔 이용 컨퍼런스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07
원장은 취임 이후 인공지능(AI)·머신러닝 분야에 첨단기술을 도입해 과학기술혁신정책의
대표
싱크탱크인 KISTEP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직원들의 업무를 효율화하는 데 힘써온 공로를 인정받았다. ■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은 7일부터 10일까지 국제도량형위원회(CIPM) 산하 ... ...
[표지로 읽는 과학] 식물 생태계 복원 위해 초식동물 개체수 조절 필요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3.11.05
'게레눅'의 모습을 실었다. 아프리카 동남부에 서식하는 게레눅은 아프리카 초원에 사는
대표
적인 초식동물이다. 초식동물은 생태계를 유지하는 중요한 계층이다. 특히 자연 환경에서 식물의 풍부함과 다양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초식동물의 개체수 증가는 식물 풍부성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병주고 약주는' Y염색체의 두 얼굴
2023.11.01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지난주에 이어 여전히 미디어를 떠들썩하게 만들고 있는 전 국가
대표
펜싱 선수가 낚인 결혼 사기극의 전개는 드라마 작가도 상상하기 힘든 수준이라 어안이 벙벙하다. 상황에 따라 남녀를 오가고 때로는 자신이 성전환자라고 고백했는데 이게 다 먹혔으니 말이다. 특히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기술개발인의 날 기념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0.25
진행됐다. 산기협은 또 기업 기술 발전과 기술혁신 풍토 조성에 기여한 박기영 선우시스
대표
등 10명에게 기술경영인상을 수여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은 뇌신경과학 분야 국내외 최고 석학을 초빙한 'IBS 신경 및 교세포 기능 콘퍼런스'를 개최한다고 25일 밝혔다.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과 ... ...
[표지로 읽는 과학] 윤리 논란 넘나드는 인공 인간배아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3.10.21
나타나는 '원시선'이 출현하는 시기다. 줄기세포를 사용한 인공배아 모델을 제시한
대표
적인 연구는 제이콥 한나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 연구원팀의 연구다. 지난달 6일 '네이처'에 관련 논문이 게재됐다. 연구팀은 이 실험에서 기존 실험실에서 배양 중인 인간배아줄기세포를 분화되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근색은 없다!
2023.10.18
carotinoid)라고 부른다. 주황색인 카로틴과 함께 노란색인 루테인과 빨간색인 라이코펜이
대표
적인 카로티노이드다. 뿌리가 흰색(엄밀히는 옅은 노란색)인 야생 당근에는 루테인이 미량 들어있다. 여기서 나온 작물인 동양 그룹 당근 가운데 노란색은 루테인 함량이 높아진 것이고 자주색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노벨상도 혁신이 필요하다
2023.10.11
구조의 발견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는데도 노벨상을 받지 못한 로절런드 프랭클린이
대표
적인 예다. 훗날 수상 업적이 엉터리로 밝혀지기도 했고, 1949년 안토니우 모니스의 전두엽 절제술처럼 윤리적으로 용납할 수 없을 정도로 잔인한 시술을 확산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이종호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뒷담화'의 사회적 순기능
2023.10.07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사실 가십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다양한 이유로 많이 참여하는
대표
적인 사회적 활동이다. 정도는 달라도 다들 적어도 한 번쯤 자신에게 큰 상처를 준 사람에 대한 이야기를 하며 제 3자의 의견이나 위로를 구한 적이 있을 것이다. 또한 아무리 오래된 친구 관계라도 타인을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