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스페셜
"
분리
"(으)로 총 778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상+]누리호 예상보다 17초 빠른 950초 만에 위성모사체
분리
…발사 긴박했던 순간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5t을 맞추기 위해 함께 우주로 향하는 1.3t 무게 위성모사체는 950초에
분리
됐다. 기존 예상
분리
시간은 967초였다. 누리호 2차 발사 순간 동영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누리호 2차 발사 순간 동영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 ...
"누리호 발사 성공 기준은 초속 7.5km 700km 상공에 위성 올려놓는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1분 뒤에 위성 모사체가
분리
된다. 1차적으로 성능검증위성이
분리
되면 위성모사체도
분리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누리호 비콘신호 수신 및 지상국 교신 일정.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 ...
과기정통부 "누리호 준비 상태와 기상 상황, 오늘 발사하기 적합"...추진제 충전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분리
한다. 967초에는 위성 모사체를
분리
한다. 성능검증위성과 위성 모사체
분리
성공 여부는 발사 약 30분 후 확인할 수 있다. 누리호는 길이 47.2m, 무게 200t으로 무게 1.5t의 인공위성을 600∼800㎞인 지구 저궤도(LEO)로 실어나르는 우주발사체다. 300t급 추력을 갖춘 1단은 75t급 액체엔진 4개, 2단은 75t급 ... ...
[누리호 2차 발사]발사와 관련된 세 가지 과학기술 상식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태양전지판이 태양을 바라보는 등 제자리를 찾은 뒤 이틀 간격으로 큐브위성이
분리
될 예정이다. 이번 발사의 성공 여부는 성능검증위성이 발사 42분 23초 후 남극 세종기지 지상국과 교신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달 6일 나로우주센터 위성준비동에서 연구진이 성능검증위성을 누리호에 ... ...
[누리호 2차 발사]성공을 위한 결정적 순간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약 413km 떨어진 해상에 착륙하고 2단은 발사장에서 2800km 떨어진 해상에 떨어진다. 페어링
분리
는 발사장에서 251km 떨어진 고도 191km에서 이뤄지는데 실제 낙하지역은 발사장에서 1514km 떨어진 해상으로 예측된다. 장 부장은 “실제 사람이 살지 않는 곳에 떨어지도록 발사 시퀀스를 구성했다”고 ... ...
[누리호 2차 발사]1차 발사와 무엇이 다른가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초속 7.5km의 비행 속도를 달성 후 성능 검증 위성을
분리
한다. 그런 다음 위성 모사체가
분리
된다. 이 과정이 모두 끝나면 임무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한다. 남극세종기지에서 발사 약 46분 후 성능검증위성과 최초로 교신하고, 이후 2시간 동안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지상국과 지속적으로 교신을 ... ...
[일문일답] 누리호 21일 오후 4시 발사..."한국이 우주로 가는 길 열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그런 문제는 크게 우려되지 않는다. 지난번 발사 클러스팅 점화 1~2단
분리
위성
분리
모든 이벤트 다 성공적이었다. 거기에 변수가 없다면 성공적인 발사를 할 수 있다. 가장 우려한 게 시험 발사체 운용할 때 수백종의 밸브가 들어가는데 정상적 기능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극저온 추진제 밸브 ... ...
누리호 기립 완료 "날씨 변수 없다"…21일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때문이다. 발사대 기립 상태에서 문제의 원인을 찾는 점검이 어려워 발사대에서
분리
된 누리호는 15일 밤 조립동으로 이송됐다. 6월 20일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전남 고흥 외나로도 나로우주센터 발사대에 기립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레벨 센서와 레벨 센서를 ... ...
누리호 보완 마치고 발사대로 이송 후 기립 작업...21일 날씨 또 변수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때문이다. 발사대 기립 상태에서 문제의 원인을 찾는 점검이 어려워 발사대에서
분리
된 누리호는 15일 밤 조립동으로 이송됐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레벨 센서와 레벨 센서를 연결하는 전기선인 하네스, 센서 신호를 받는 박스 터미널 중 하나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보고 점검에 들어갔다. 전날 ... ...
미국 5세 미만 코로나19 백신 접종 눈앞…효능 논란에 얼마나 접종할지 '미지수'
동아사이언스
l
2022.06.19
모더나와 화이자 백신이 효능 면에서 나란해 보였던 것과 달리 이 연령대는 처음으로
분리
된 모습”이라며 “보호가 가능하다는 확실한 증거가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화이자 백신은 접종 완료까지 11주가 걸리는 만큼 취약한 기간이 긴 것도 문제로 지적됐다. 오미크론 변이가 빠르게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